•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예산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7초

공공도서관의 성과평가에 관한 이론적 연구 (A Theoretical Study of the Public Library Performance Measurement)

  • 홍현진;이용남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5-67
    • /
    • 1999
  • 국내의 공공도서관들은 도서관조직의 성과에 대해 외부의 평가는 물론 자체적인 평가작업도 거의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에 따라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성과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시급하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성과평가 이론의 발전과정을 살피고, 이론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 실정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이 지표들은 공공도서관의 자료, 직원, 이용자 봉사, 시설, 예산${\cdot}$운영관리 등 5개 영역에서 총 62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표들 이외에도 일선 도서관에서 자체적으로 심층적인 성과 측정을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보다 다양하고 질적인 평가지표들이 제시되어 있다.

  • PDF

공공도서관에서의 지역사회 기반 봉사 확대를 위한 연구 (A Study for Enhancing Community-based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 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9-213
    • /
    • 2002
  • 공공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책임성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봉사의 제공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지역주민의 요구 파악과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봉사의 계획 과정을 통하여 구현된다. 예산 압박을 경험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에서는 과거 일정 기준에 의한 평균적인 봉사의 제공에서 벗어나 각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특성에 맞는 봉사를 확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70년대 이후 공공도서관 연구의 주요 과제라 할 수 있는 이용자 및 지역사회의 특징과 요구의 분석, 그리고 지역사회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봉사 계획의 수립과정에 관한 연구 성과들을 정리하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봉사의 확대를 위한 지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PDF

서울시 작은도서관 운영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mall Library Operations in Seoul)

  • 한문성;노영희;이근화;최만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5-2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작은도서관을 대상으로 작은도서관의 운영현황을 조사하고 중요도와 만족도 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861개 작은도서관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운영 만족도, 운영 개선사항, 운영사항에 대한 중요도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유형별 구분에 따른 공립과 사립에 구별 없이 작은도서관에 대한 운영지원 확대, 홍보 강화, 자원 봉사자의 교육 및 처우 개선, 장서의 질적향상 도모, 공간과 시설의 지속적 개선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획일적인 예산지원 및 지도관리가 아니라 운영주체에 따른 운영 특성을 감안하여 공립과 사립으로 구분하여 작은도서관 개선을 위한 방안을 설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Establishing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nd Operat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 장윤금;이혜은;전경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37-356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전 조사로 수행된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현황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8개 기관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즉 공간, 인력, 장비, 프로그램 및 지원 주체 등 5개 요소를 중심으로 운영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도서관의 규모, 예산, 사명과 역할에 따라 필요 요소의 조건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형별 구분과 이에 따른 지속가능한 운영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통해 기초적 수준인 '메이커 공방형', 중간 수준의 '메이커 스튜디오형', 권역 거점 수준의 '메이커 거점형(플랫폼)'의 유형별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도시개발변화에 따른 공공도서관 신축부지선정에 관한 연구 - 전주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ite Selection of Public Library by the Development of Urban Community)

  • 최흥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5-166
    • /
    • 2005
  • 본 연구는 도시개발 변화에 따른 공공도서관 신축부지선정에 대한 법적 검토사항을 살펴보고, 일반적인 부지특성과 입지기준을 고찰하였다. 또한 전주시를 대상으로 적합한 부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지역주민들의 정보문화활동에 관한 각종 지표 및 통계자료를 조사하였고, 이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공공도서관 설립 비전과 목적을 수립하고, 부지선정 계획을 단계별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도서관 신축부지선정과 지방정부의 도서관정책개발 및 예산확보의 타당성 근거로 활용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사서교사의 전문성이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경상북도 학교도서관의 운영실태분석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Teacher Librarian's Professionalism on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7-276
    • /
    • 2007
  • 본 연구는 교육인적자원부가 2003년도부터 5개년 계획으로 추진하는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을 통해서 2005년도 이전에 활성화된 경북지역의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도서관 담당인력(사서교사 vs. 일반교사)에 따른 도서관의 운영과 서비스의 효과 차이를 비교분석,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기본적으로 사서교사와 일반교사가 운영하는 각각의 도서관에 대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우편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직접 면담, 전화 면담, 이메일 등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설문조사내용은 도서관 담당교사의 도서관 기능에 대한 인식과 도서관 담당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활성화 이후 학교구성원(학교장/교감, 교사, 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관심 추이, 도서관 운영 현황-예산, 장서구성, 자료수집, 자료조직, 비도서 자료관리-, 교사와 학생에 대한 서비스의 종류와 효과, 도서관 행사, DLS와 홈페이지를 포함한 정보기술의 활용정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수집한 데이터를 사서교사와 일반교사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병원 내 의학도서관 운영현황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Medical Library in the Hospital)

  • 노영희;신영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61-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병원 내 의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서비스 대상, 장서, 시설 및 환경, 직원, 서비스 등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현황을 조사하고, 해당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도서관의 수요조사 및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병원 내 의학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병원 내 의학도서관이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고 도서관 서비스의 질을 높임으로써 도서관의 위상을 높이려면, 조직상 독립부서로 분리되어야 한다. 둘째, 병원 내 의학도서관에 대한 장서, 규모, 인력에 대한 법적 기준 제정이 필요하다. 셋째, 체계적인 병원 내 의학도서관 운영을 위해 도서관 고유업무와 행정업무가 구별될 수 있도록 전문직 사서의 지원과 인력 충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병원 내 의학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예산 지원, 사서의 전문화 교육,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타 도서관과의 네트워크 활성화 등의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2천년대 출판진흥정책은 어떻게 변화돼야 하는가

  • 정혜옥
    • 출판저널
    • /
    • 통권98호
    • /
    • pp.20-21
    • /
    • 1992
  • 한국학과가 설치되어 있는 외국의 어떤 대학에서는 사서들이 도서구입 예산을 받아도 한국에서 어떤 책이 나오는지 몰라서 구입하지 못한다는 얘기를 한다. 일년에 한번씩 국내 출 판물 중 외국인들이 관심가질 만한 책의 해제를 만들어 세계 각국의 도서관이나 연구기관, 교수들에게 배포하는 것도 도서수출을 늘리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 PDF

공공도서관 기부 사례에 대한 도서관담당자의 인식 분석을 통한 기부활성화 방안 연구 - 도서관 전문단체의 도서기증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ctivation Plans for Don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Perceptions of Donation Cases at Public Libraries among Staff Members in Charge: With a focus on the book donation project by a professional organization of libraries)

  • 박현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9-208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부족한 운영 예산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서관에서의 기부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공공도서관에서 수행되었던 기부 사례를 분석하였다. 2016년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실시한 출판계 기증도서 보급사업에 참여한 공공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에서의 기부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사업에 참여한 결과와 2016년 공공도서관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한 기부활동의 결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도서관 기부 관련 선행연구 및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여 공공도서관 기부활동의 한계점과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 현황변화 비교분석 - 한국, 북미, 영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Academic Libraries between South Korea, North America, and the United Kingdom)

  • 최재황;이종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83-30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북미, 영국 대학도서관 통계지표를 비교하여 국내 대학도서관 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의 학술정보통계시스템, 미국의 대학 및 연구도서관 협회 통계보고서, 영국의 대학 및 국립대학 도서관협회 통계보고서를 활용하여 비교 가능한 통계지표를 식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와 북미 주요 대학 간의 비교에서는 대부분의 지표에서 북미 대학의 도서관 여건이 국내에 비해 우수하였는데, 특히 북미 대학이 국내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소장 장서 수, 도서관 직원 수, 자료구입비가 월등히 많았다. 다음으로 국내와 영국 대학을 비교한 결과, 국내 대학이 영국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소장 장서 수, 도서관 건물 연면적, 도서관 열람석 수 등에 우위를 보이는 반면, 영국 대학은 국내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도서관 직원 수, 자료구입비, 상호대차 신청 건수, 도서관 이용자 PC 수 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인력, 예산 투입에 대한 국가와 대학 차원의 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