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발전

검색결과 894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의 도서관 발전 계획(제안)

  • 김중한
    • 도서관문화
    • /
    • 제10권9호
    • /
    • pp.10-17
    • /
    • 1969
  • 이 글은 1959년 도미 이후 현재까지 10여년간 미국에 체재하면서 미국 도서관계에서 많은 활약을 하고 계신 우리나라의 유일한 도서관학 박사이신 김중한 박사께서 지난 5월 국제회의에 참석차 잠시 귀국하여 고국의 관계를 보고 돌아 가신 후 고국의 도서관계가 보다 더 바람직한 내일이 건설되기를 염원하는 뜻으로 집필해 주신 글이다. 다만 현실적으로 아직 실현 시키기에 어려운 것도 없지 않다. 그러나 근대화의 걸음을 재촉하여 총력적인 작업을 추진하고 있는 우리 나라가 급진적으로 사회현상이 발전해 가고 전문화되어 감에 따라 사회가 도서관에 대한 인식이 성열되고 보다 더 적극적인 요구가 부원간 도래할 것이라고 하는 신념을 갖고 있는 우리들에게 새로운 진로가 될 수 있는 좋은 제언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글이 팔자인 김박사께서도 서두에서 밝힌 바와 같이 한국의 도서관 발전 장기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대화의 테마와 한 아이디어로 제시하고 있는 만큼 충분하고 객관적인 분석 비판 검토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믿으며, 항상 고국의 관계 발전과 성장을 위해 염려와 격려를 아끼지 않으시는 필자에게 애심으로 감사를 드리는 바이다.

  • PDF

익산시 공공도서관 발전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Public Library in Iksan)

  • 이현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429-45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익산시 공공도서관의 시설과 운영에 대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도서관 발전 전략을 수립하였다.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는 도서관 시설에 걸맞은 선진국 수준의 도서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서의 충원이 절실하다. 익산시 도시 정책과 특성을 살려 각 도서관에 맞게 '역사문화', '근대 향토문화', '보석 귀금속', '식품클러스터', '여성', '행정 복지', '환경과 생태' 등의 주제로 도서관 특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인 영어도서관 운영과 청소년 도서관 설립으로 교육도시 익산에서 도서관의 역할이 강화될 수 있다. 도서관의 특성화 중심 운영은 익산시 공공도서관의 전반적 기능과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다.

공공도서관에서 '도서관의 친구'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Friends of Libraries Groups in Public Libraries)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5-307
    • /
    • 2005
  • 이 연구는 외국의 공공도서관에서 '도서관의 친구'가 어떻게 시작(설립) ,되었고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에 '도서관의 친구' 모임을 만드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외국 공공도서관에서 '도서관의 친구' 모임은 지역주민들에 의해서 처음 조직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공도서관의 자원봉사자 모임을 활용하여 '도서관의 친구' 모임을 만들 수 있겠다. 공공도서관에서 '도서관의 친구'모임을 만들어 활용하는 데는 사서와 도서관협회가'도서관의 친구'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 PDF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 연구 (The Contribution Strategy of Public Library to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20
    • /
    • 2015
  • 이 연구는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공공도서관이 수행하는 업무와 지역문화발전의 상의적 수수관계를 바탕으로 기여도를 평가하고 한계를 적시하였다. 이어 공공도서관과 밀접한 지역문화를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대중문화, 여가문화로 구분하고 이들의 발전과 진흥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기여전략(장서개발과 이용서비스 중심의 핵심역량 제고, 디지털 정보해득력 교육 지원기능 강화, 독서생활화를 위한 독서촉진과 저변확대, 평생학습(문화)프로그램 제공서비스의 최적화, 시설 공간의 개방화 및 친숙성 증대, 지역 유관기관과의 연계 협력사업 확대)을 제안하였다.

국내 사립대학도서관 자동화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ical Analysis of University Library Automation in Korea)

  • 조인숙;장경숙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4호
    • /
    • pp.1-2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사립대학도서관 자동화 발전과정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도서관자동화 분야의 역사를 정립하고,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대학 홈페이지 방문조사, 전화인터뷰를 병용하였다. 대학도서관 발전과정을 선행연구자들의 사례와 대학도서관 자동화 현황 분석을 통하여 핵심이 되는 특징을 도출하여 '도입기', '성장기', '안정기', '도약기'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대학도서관 자동화 현황 분석을 문헌조사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의 표본은 국내 사립대학 109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의 도서관 발전과 독서진흥을 위한 민간단체와 정부의 협력에 관한 고찰 (NGO-Government Partnership for the Dynamic Development of Korean Libraries ann the Promotion of Reading)

  • 한상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31
    • /
    • 2006
  • 우리나라의 도서관들은 21세기에 들어서 역동적인 변화를 추구하였는데 그 이유 중의 하나는 도서관관련 시민단체들이 꾸준히 시민의 입장에서 도서관 문제를 바라보고, 문제점을 도출해서 규명하구 이를 널리 사회에 전달하고 해결책에 대한 소통구조를 활성화 시켰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각각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민단체하고 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살리기국민연대'와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즉, 이들 단체의 역사, 활동 그리고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을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와 어떻게 협력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지속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