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건물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1.258초

도서관 장서 보존을 위한 환경 조절

  • 이병목
    • 도서관문화
    • /
    • 제30권6호통권259호
    • /
    • pp.51-53
    • /
    • 1989
  • 이 자료는 1982년에 발표된 미국의 연구도서관협의회 보존 편람(RLG Preservation Manual)가운데 1983년도 미국도서관협회 연차총회, 도서관행정 및 경영 부회, 도서관건물 및 건물 분회 (1983 ALA Annual Conference, LAMA Buildings and Equipment Section, Buildings for College & University Libraries Committee)에서 발췌 소개된 내용을 우리말로 전역한 것이다.

  • PDF

대학도서관 정책의 반성과 과제 (Review and Plan of the Policy for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전명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31-444
    • /
    • 2002
  • 대학도서관의 정책은 도서관의 장서, 사서, 건물, 이용자를 관리하는 방향을 결정한다. 대학도서관의 장서는 종이자료와 디지털자료를 구비하여 최대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건물의 관리는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화시켜야 하며, 이용자는 수서, 검색, 대출 모든 부분에서 되도록 손수봉사(Self-service)를 하게 한다. 사서들은 자질을 높여서 수시로 변화하는 사회 환경 속의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서 전문직의 규범이나 원칙을 만들고, 대학도서관의 기본목표를 설정하고 정책과 절차, 규칙을 성문화하여야 한다. 국가의 역할은 대학도서관에 지원금을 배분하되, 그 운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아야 한다.

  • PDF

도서관 심벌에 대한 사례조사 및 분석연구

  • 김순희
    • 도서관문화
    • /
    • 제45권3호통권346호
    • /
    • pp.26-44
    • /
    • 2004
  • 도서관 심벌(Symbol)은 시각적으로 도서관의 존재 및 우수성을 전달하는데 매우 효과가 높은 것으로, 도서관 마케팅 및 PR을 촉진시키기 위한 중요한 기법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 심벌에 대한 제작경위와 의미 등에 관하여 살펴봄으로써 도서관 심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궁극적로 도서관 마케팅 및 PR을 촉진시키기 위해 도서관 심벌이 많이 활동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조사된 29개국 35개 국립도서관 및 협회의 46개 심벌을 분석한 결과 도서관을 나타내는데 책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다음으로는 도서관 건물, 도서관 명칭, 고유문화, 사람 등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의 공식 심벌과 15개의 대회(Conference) 심벌을 분석한 결과 매년마다의 대회를 나타내는데 IFLA의 공식 심벌이 공통적으로 사용되면서, 개최지의 고유문화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국립도서관 및 협회의 심벌은 특정 도서관을 나타내기 위해 해당 도서관 건물, 책 등을 사용하였으며, IFLA 대회의 심벌은 고유문화, 상징적 건축물 등을 사용하여 IFLA 대회가 어느 나라(지역)에서 개최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주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일제강점기 대구부립도서관 건물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Building of Daegu City Libra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조용완;김종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45-168
    • /
    • 2020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대구부립도서관 건물의 변천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당시의 신문기사, 도서, 공문서, 관보, 잡지기사, 통계, 도서관의 공식 역사자료, 관련 연구 등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이들에 대해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구부립도서관에 관한 기존의 연구와 공식 역사자료들은 관련 자료의 서지정보와 원문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대구부립도서관 조례 제정일, 최초 도서관 건물, 도서관 신축 건물의 착공일, 준공일, 개관일 등에서 여러 오류들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대구지역의 도서관 역사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들을 제언하였다.

재건축 아파트 단지 내 작은 도서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J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uilding a Small-Size Public Library in the Area of the Reconstruction of Old Apartment Complex: A Case Study of J Apartment Complex in Seoul)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429-448
    • /
    • 2008
  • 우리나라에 공공도서관이 많이 없다. 그 이유는 국민들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과 중앙 및 지방정부의 도서관건립에 대한 인색한 투자와 함께 효과적인 공공도서관 건립정책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제 선진국과 같은 작은 도서관 건립 및 운영 정책을 펴야 한다. 지역 재개발 및 아파트 재건축 추진은 이들 지역에 작은 규모의 마을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서울에 있는 J아파트는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시점에서 새로운 위치로 옮겨가는 동사무소와 우체국을 하나의 건물로 신축하고, 이 건물 내에 공공도서관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을 이들 시설들과 함께 1층에 배치한다면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세 기관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처럼 재개발 및 재건축 지역에 공공기관 혹은 상엽시설과 함께 복합건물 형태로 작은 도서관을 건립하는 것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부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 PDF

일제강점기 한국 대학 및 전문학교 도서관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ity and College Librarie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 정해성;여지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05-423
    • /
    • 2007
  •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의 대학과 전문학교를 대상으로 이 대학과 전문학교에 있었던 도서관의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부속기관으로서의 도서관은 경성제국대학도서관과 보성전문학교도서관이며, 나머지 도서관은 계 또는 과 단위의 부서에서 도서관을 운영하였다. 독립된 건물을 사용한 도서관은 경성고등상업학교 도서관과 보성전문학교도서관, 숭실전문학교 도서관이었고 나머지 대학 및 전문학교 도서관은 공용건물을 사용하였다. 직원수는 경성제국대학부속도서관이 1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의 도서관은 1명에서 4명 사이의 직원으로 운영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 위치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Librarians' Perception of School Library Location)

  • 이영모;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76
    • /
    • 2015
  • 학교도서관은 다양한 정보자료 및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는 독서를 통한 창의력 향상 및 인성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사에게는 학생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교수방법을 개발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실시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은 더 이상 도서 보관의 장소가 아니며 학교교육 과정의 중심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 과정의 중심공간인 학교도서관의 주이용자인 학생 및 교사가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학교도서관의 위치로 운영자인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적합한 위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시설에 관한 연구와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 분석하고 전국 학교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의 '소재건물, 층수, 건물 내 위치, 면적' 등의 요인들은 사서대상 위치 만족도 조사에서 유의미한 수치가 발견되었으며, 사서들의 학교도서관 위치 인식 전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도서전문을 싣는 데이터베이스 시대의 도래

  • 다비다샤프
    • 디지털콘텐츠
    • /
    • 5호통권84호
    • /
    • pp.44-49
    • /
    • 2000
  • 지식의 보고 도서관. 도서관은 출판물로 가득한 창고이다. 그러나 사이버 시대의 도서들은 사상공간에 차곡차곡 쌓이고 있다. 그간 디렉토리만을 실을 수밖에 없는 현실을 벗어나 이제는 도서 전문을 싣는 시대로 바뀐다. 물론 사이버 도서관은 거창한 건물도 필요가 없다. 가상의 세계. 그렇지만 현실의 세계 공간을 차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실존하는 세계.미래의 도서관은 3차원의 세계를 뛰어넘고 있다. 더불어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것의 한계를 짚어가며 데이터베이스의 새영역을 열어간다.

  • PDF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기준 도출에 관한 연구 (Constituents Analysis of Guidelines for Public Library Space)

  • 김선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10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이 공간운영을 계획할 때 참조할 수 있는 기준과 권장사항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도서관이 새로운 공간계획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FLA의 도서관 공간산출법, 호주의 NSW 도서관의회에서 제공하는 공공도서관 공간운영기준 그리고 프랑스의 대학도서관을 위한 공간운영 권장사항을 조사 분석하였다.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공공도서관을 위한 공간운영권 장기준(안)을 제시하였다. 권장기준(안)은 공공도서관의 영역을 장서공간, 이용자공간, 사무공간, 문화공간, 지원공간 그리고 선택적 공간으로 구분하였으며, 구분된 각 개별 공간이 전체 도서관건물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장서공간을 기준으로 영역별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기준을 적용함에 있어 개별 도서관의 건물사정과 제공하는 서비스가 도서관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분위기와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제2회 전국도서관인 큰모임 지상중계

  • 대한출판문화협회
    • 출판저널
    • /
    • 통권104호
    • /
    • pp.24-25
    • /
    • 1992
  • 지방자치제도가 정착된 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은 지방정부의 책임하에 발전돼 왔다. 즉, 선진국의 도서관들은 시미니들의 적극적인 참여속에 그 지역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 건물, 장서 등을 개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 있어서 관주도적인 획일적인 도서관 운영은 볼 수 없다. 우리도 지자제시대에 걸맞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