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운전자

Search Result 80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V2V Beacon Service Implementation for Traffic Accidents Prevention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V2V 비콘 서비스 구현방법 연구)

  • Kim, Minyoung;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224-226
    • /
    • 2018
  • 자동차 운전자는 운행 할 때 도로 주변을 살펴 여러 상황에 대비한다. 운전자가 주의하여 운전해도 갑자기 도로에 생긴 장애물 때문에 교통사고가 발생 될 수 있다. 만약 운전자가 사전에 도로위에 장애물 발생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면, 교통사고는 어느 정도 감소 할 수 있다고 예상 된다. 본 논문은 운전자가 운행 할 때 사전에 도로위의 장애물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비콘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BLE(Bluetooth Low Energy)을 기반으로 하여 무선 통신 인프라가 없이도 V2V 통신을 구현하여 사전에 도로 사용자가 설치한 장애물을 알려주는 비콘 장치와 장애물 정보를 수집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로 구성된다.

  • PDF

Drivers' Rational Belief Formation under Bounded Traffic Environments (한정된 교통환경하에서 운전자의 합리적 신념형성에 관한 연구)

  • Do, Myeong-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3
    • /
    • pp.87-97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drivers' rational belief formation under a bounded traffic environment. This is to escape the criticism that excessive rationality (e.g., a driver's calculating ability and memory capacity) is required of drivers. Under bounded traffic environments. drivers do not have structural knowledge of traffic conditions and others' decisions. Simulations are carried out using a program coded in C. Consequently, the author found the learning process of drivers and the value of information can be differentiated by route cond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river groups. Also, it was found that rational drivers form different beliefs about traffic conditions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traffic environment in a bounded traffic environment.

Determination of Letter Size of Traffic Sign depending on Driver's Visual Acuity (운전자 시력기준에 의한 도로표지의 글자크기 결정 연구)

  • Kim, Sang-Gu;Chung, Bong-J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1 no.6
    • /
    • pp.155-163
    • /
    • 2012
  • At present the letter sizes of traffic sign are variously designated as 22 cm through 60 cm, however the basis for determination has not been found so far. Driver's visual acuity for getting a driver licence is required higher than 0.5. In order to interpret the information of traffic signs effectively, the minimum requirement of driver's visual acuity must be applied to determine the letter size of traffic sign. Therefore we reviewed that a driver with visual acuity of 0.5 could read the current letter sizes of traffic sign. In addition, a methodology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letter size of traffic sign satisfied with the driver's visual acuity of 0.5. This study established scenarios that were composed of visual acuity, reaction time, the number of lane and the letter sizes of traffic sign for each scenario were proposed. Current letter size of traffic sign would not be difficult for drivers with minimum visual acuity of 0.5 to recognize the contents or information of traffic signs.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research has an advantage that can consider a human factor like driver's visual acuity for the design of traffic signs. There is also a meaning of making a basis for the letter size of traffic sign.

Ergonomic Research of the Map-Rotation and the Text-Rotation Method of the Navigation System Digital Map (항법장치 도로지도의 진행방식 및 지형지물 문자정보 회전에 관한 인간공학적 연구)

  • Cha, Du-Won;Park, Beo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1
    • /
    • pp.47-58
    • /
    • 1998
  • 자동차 항법장치의 디스플레이는 도로, 교통정보, 부가정도 등 ITS 정보를 운전자에게 직접전달 하는 부분으로 그 핵샘부품인 도로지도는 정보의 정확성 및 신뢰성의 획득과 함께 운전자의 안전 및 수 행도 향상 항법장치의 사용성 향상을 위하여 운전자가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획 득할 수 있도록 운전자 중심의 설계가 실시되어야 한다. 이에 97년 G7 Navigation 시스템 제작기술 프 로젝트의 일환으로 실시된 본 연구는 지도의 회전방법(map-rotation)방법인 Heading-Up 및 North-Up 과 지도상 지형지물 명칭 문자정보의 회전(text-rota-tion)을 실험변수로 하여 운전자의 반응시간 에러발 생 정신적부하의 측면에서 교차로 유형별 지도진행방법에 따른 인간공학적 평가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한국인의 정보인지 형태에 적합한 항법장치 도로지도 진행방법을 제시하며 각 진행방법의 특징 및 운전자의 정보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추출한다.

  • PDF

교통망 신뢰성을 고려한 운전자 통행행태모형

  • 임용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479-486
    • /
    • 2001
  • 일시적인 행사, 도로공사 또는 교통사고로 인해 도로용량이 저하되거나 도로가 폐쇄되는 경우, 운전자들은 당초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함에 따라 스케쥴 지체를 경험하게 된다. 이는 교통망의 신뢰성이 저하됨으로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들 비 반복적인 혼잡요소들을 운전자의 경로선택행위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교통분야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신뢰성이라는 개념을 운전자 행태모형에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코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Road Safety Estimation Method using Driving Simulator and Eye Camera (차량시뮬레이터 및 아이카메라를 이용한 도로안전성 평가기법 개발)

  • Doh, Tcheol-Woong;Kim, Won-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7 no.4 s.26
    • /
    • pp.185-202
    • /
    • 2005
  • In this research, to get over restrictions of a field expreiment, we modeled a planning road through the 3D Virtual Reality and achieved data about dynamic response related to sector fluctuation and about driver's visual behavior on testers' driving the Driving Simulator Car with Eye Camera. We made constant efforts to reduce the non-reality and side effect of Driving Simulator on maximizing the accord between motion reproduction and virtual reality based on data Driving Simulator's graphic module achieved by dynamic analysis module. Moreover, we achieved data of driver's natural visual behavior using Eye Camera(FaceLAB) that is able to make an expriment without such attaching equipments such as a helmet and lense. In this paper, to evaluate the level of road's safety, we grasp the meaning of the fluctuation of safety that drivers feel according to change of road geometric structure with methods of Driving Simulator and Eye Camera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 geometric structure and safety level. Through this process, we suggest the method to evaluate the road making drivers comfortable and pleasant from planning schemes.

  • PDF

RF통신을 이용한 차량속도제어 시스템

  • 송병환;박기현;한민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668-671
    • /
    • 2000
  • 본 논문은 노변과 차량간의 RF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에서 노변의 RF송수신기는 운전자에게 도로의 제한속도를 포함하여 사고의 발생, 도로의 결빙과 같은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차량의 속도가 제한속도 이상일 경우에는 차량 내 제어장치가 작동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속도 이하가 되도록 한다. 현재 도로를 주행중인 운전자는 제한속도표지판을 보아야 그 도로의 제한속도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칫 제한속도표지판을 인식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에 운전자는 무의식중에 과속운전을 할 수도 있다. 과속운전으로 인한 문제점은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교통사고의 상당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크다. 따라서 본 개발 시스템은 운전자가 과속운전을 할 수 없도록 과속운전시 2∼3차례 경고방송을 하고 그래도 운전자가 속도를 줄이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차량의 속도를 제한속도이하가 되도록 한다.

  • PDF

Estimating the Effect of VMS on Drivers' Legibility and Perception (도로전광표지의 운전자 판독성 및 정보 인지 특성 비교 연구)

  • Jeong, Jun-Hwa;Lee, Suk-K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944-956
    • /
    • 2013
  • Drivers need lots of information when they drive on the highway, however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be provided information which is appropriate formation. In order to offer the suitable information, adequate size, quantity, and frequency of provided information are required for the drivers. To evaluate propriety of the expressed message of VMS that provides real-time traffic conditions, first of all, the amount of message about legibility distance and viewing should be estimated. In this research, drivers' characteristics of VMS message design were also review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VMS. And legibility distance, the amount of viewing information, and ratio of viewing information were analyzed on the currently operating VM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appropriate size, quantity, and frequency were concluded by the legibility and memory of message on the real driving conditions. Consequently, these design methods of VMS could be expected to improve the transmitting capability of highway information to drivers.

Investigation and Application of Car Drivers' Mood State (운전자의 무드(mood) 파악 및 활용에 대한 연구)

  • Kim, Yun-Gyeong;Lee, Gyeong-Sil;Seok, Hy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3-116
    • /
    • 2009
  • 보다 바람직한 운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운전 시의 기분 혹은 감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으로 도로 소통 상황, 계절, 날씨, 운전 시각, 운전 지역을 추출하였으며 운전자 개인의 감정상태를 결정짓는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요인은 배제하였다. 운전 경력 3 년 이상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감성 상태는 긍정/부정, 흥분/안정의 2 가지 축으로 나뉘어 측정하였다. 운전자의 무드는 중립을 기준으로 양 극단보다는 중립에 가까운 상태에 주로 분포하였는데 긍정/부정에는 각각 고루 분포한 반면, 흥분/안정에서는 안정 쪽에 더 많이 분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섯 가지 외부 요인들이 모두 운전자의 무드에 영향을 미쳤으며 도로 소통 상황이 긍정/부정과 흥분/안정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감성의 긍정/부정 축에서는 계절, 날씨, 소통 상황, 그리고 운전 지역이 유의미하였으며, 감성의 흥분/안정 축에서는 운전시간과 소통 상황이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확장시켜 운전자의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운전자를 위한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Driver's Preferences of Prividing Direction Information in Road Signs (방향표지 정보제공 방법에 대한 운전자 선호도 연구)

  • Chong, Kyu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4 no.6
    • /
    • pp.69-76
    • /
    • 2015
  • Although traffic information has been actively analyzed using big data, it has not been used as much with the consideration of driver characteristics. Among th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oad signs can directly affect the driver. Road signs must provide the optimal information that enables drivers to reach their destinations with ease as well as information suitable for navigation systems. However, present road sign rules provide standardized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road type or siz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providing road information that will help drivers determine their behavior. First, the minimum character size that can be used on a road sign for each design speed wa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visibility and decipherability of a road sign. Instead of conventional diagram-based direction guidance, a scenario using split-based direction guidance was crea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vided information, a three-dimensional simulated road environment was constructed, and a driving simulator was used for the test. At a simple plane intersection, the driver was not greatly influenced by directional guidance, but at a complex, three-dimensional intersection, the driver preferred summary-based directional guidance, which is instinctive guidance, over diagram-based guidance. On the basis of the test results, a secondary verification test that applied split-based guidance at a three-dimensional intersection confirmed that the driver had no problems in making dec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