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로물류 DB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GIS 기반 도시물류시설 DB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Logistics Infrastructure Database using GIS)

  • 백태경;김흥관;신용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2-101
    • /
    • 2007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부산시 물류관련 기반시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각 시설들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도시물류체계는 도시 혹은 지역간의 물류흐름과 도시 내 물류흐름을 통괄하는 개념으로 동북아물류 비지니스 중심도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부산시에서 발생하는 물류기반시설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물류시설에 대한 시설확충이나 제도개선 등의 종합적인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물류체계에 필요한 수송계획과 경로선택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물류관련기반시설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물류시설정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GIS를 기반으로 하여 구축되어진 도시물류기반시설DB는 항만시설을 포함하여 주, 보조간선도로망, 철도노선, 화물통행제한구역, 가변차로, 승용차속도제한지역, 지하철 노선망, 공항시설, 터미널시설, 시경계 유출입지역, 창고시설, 도심상업시설, 기타 사회기반시설에 관한 DB이다. 부산시의 도시물류시설현황을 정리한 결과, 부산시의 간선교통망은 도로,철도 연안수송,국제수송시설로 나뉘며, 육상운송중심의 물류체계로 복합운송체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축되어진 도시물류기반시설DB는 도시물류기본계획 수립 및 도시기본계획 수립 시에 기초자료로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인천광역시 지역물류정책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riority of the Local-Logistics Policy i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 노경준;송상화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9-77
    • /
    • 2016
  • 본 연구는 Fuzzy AHP와 IPA 분석을 이용하여 인천광역시 지역물류계획의 주요정책 가중치를 도출하고 현재수준을 포트폴리화 하여 향후 정책방향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전문가와의 Indepth-Interview를 통해 가중치와 현재수준에 대해 가능한 객관적으로 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IPA 분석결과 국제물류거점 조기확충, 광역간선도로망구축, 인천지역교육기관의 전문화 및 특성화는 현상유지 및 지속적인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물류유통단지조성사업, 항만배후수송망 개선, 인천항 항만배후단지 활성화,등은 개선보다는 현재의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인천시물류정보DB활성화, 화물차전용차로, 전용출입로 도입, 종합물류지원센터 설립 등 은 점진적인 투자나 개선이 필요하다. 물류 R&D사업발굴 및 역량강화, 항공물류전문기업 도입과 네트워크구축사업은 중점적인 예산투입과 관심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 물류정책이 기반시설이나 항만물류에 전통적으로 중점을 두고 있으며, 앞으로 글로벌 물류거점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현재정책을 유지하면서 항공물류전문기업 도입과 물류정보화사업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우편 물류 환경에 새주소 체계 도입에 따른 영향과 대응 (Impact and Correspondence for Introduction of New Address System in Postal Logistics Environments)

  • 박정현;김호연;박종흥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B)
    • /
    • pp.216-22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도로명과 건물 번호에 기초한 새주소 체계를 우편 물류 환경에 도입하므로 발생되는 문제점과 영향 요소를 기술하며 각각의 영향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을 모색한다. 새주소 체계는 우편물의 접수 및 구분 및 배달 과정에서 모두 영향을 주며 현재의 정보 시스템이나 우편물 구분 장치에도 직.간접을 영향을 주어 단기적으로는 새로운 주소 체계를 관리하는 우편 주소 관리 시스템 도입이 요구되고, 아울러 기존의 지번 주소와 새주소의 매칭 테이블 구축 및 집배구 수작업 구분 환경 개선 등이 요구되며, 중.장기적으로는 새주소 DB 구축을 통한 우편물 구분 장치의 새주소 인식 기능 개선 및 새주소 체계에 적하한 우편번호 및 집배구 체계 도입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