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로공사

검색결과 985건 처리시간 0.032초

도로비탈면 녹화공사 평가방법의 개선 방안 연구 - 절토부 토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s for Roadside Slope Revegetation - Focus on the Cut-soil Slope -)

  • 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87-200
    • /
    • 2020
  • Despite the eco-friendly route plan, road slopes were collapsed due to road construction, resulting in human and property damage. To solve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established guidelines in 2009 to conduct a test-bed for slope recording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the site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divided them into recording quality and economic evalu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183 construction methods of cut-soil sections at 60 sites from 2012 to 2018 for road slope afforestation research. Straw net+seedspray, vegetation media spray method 1T, 3T were used the most, and vegetation media spray method 3T(patent) was excellent in quality, and straw net+seedspray was excellent in economic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rket unit price and the construction unit price, vegetation media spray method submitted the construction unit price at up to 60% lower than the market unit pri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key factors of the greening method evaluation, the economic assessmen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all evaluation items. Problems in the evaluation method of revegetation were first identified as problems in the allocation of points and secondly as problems in the evaluation criteria. A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conomic assessment criteria, the method was proposed to evaluate the same method based on market unit price when the same method was constructed, and not to conduct an economic assessment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market unit price between methods, or to add weight to the scores. Based on the monitoring data of 60 road slopes, this study drew up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However, with regard to scoring, research on appropriate scoring is needed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수치해석을 이용한 원지반 부착식 판넬옹벽의 투수성 평가 (Evaluation of Drainage Capacity of Precast Concrete-panel Retaining Wall Attached to In-situ Ground Using Numerical Analysis)

  • 권용규;이재원;황영철;반호기;이민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43-50
    • /
    • 2021
  •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은 지형적인 특성으로 도로와 도시 개발에 따라 산지를 굴착하고 옹벽을 설치하는 공사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Panel식 옹벽은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높으며, 일반적으로 Bottom-up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옹벽을 설치하기 위해 1:0.3정도의 기울기로 굴착 후 옹벽을 시공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경사굴착으로 인해 추가 토공처리가 필요하며, 되메움과 다짐불량에 의한 안정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Top-down방식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하지만 Panel을 사면에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모르타르로 인해 옹벽과 사면 사이에 불투수층이 생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사면에 불투수층을 고려하여 배수시스템들의 역할이 우기시 사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재생첨가제를 적용한 순환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공용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Reclaimed Asphalt Concrete Mixture with Rejuvenator)

  • 가현길;문성호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4호
    • /
    • pp.125-134
    • /
    • 2022
  • 국내에서는 폐아스팔트를 통한 순환골재를 생산, 도로 자원으로 재활용하여 폐자원 활용에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부처에서 제시한 순환아스팔트 의무사용량 40%를 아스팔트 포장에 적용할 경우, 품질저하가 발생하고 현재 제한적인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순환골재 30%를 혼입한 순환아스팔트에, 재생첨가제를 사용하여 제작한 혼합물에 대한 품질 시험 및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품질시험 및 성능평가를 통해 일반 가열 아스팔트를 대체하여 순환아스팔트를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는지 검토하였으며 실험 결과, 일반 가열 아스팔트와 순환아스팔트의 값은 유사하여 대체하여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순환아스팔트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이고 폐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추후 연구를 통하여 재생첨가제와 순환골재의 적정비율을 선정하여 순환골재 혼입비율을 높이고, 보다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순환 아스팔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Back-to-Back 보강토옹벽의 옹벽폭비에 따른 최적 보강길이비 산정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for Optimal Reinforcement Length Ratio According to Width-to-Height Ratio of Back-to-Back MSE)

  • 박춘식;김동광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2호
    • /
    • pp.69-76
    • /
    • 2020
  • Back-to-Back 보강토옹벽은 좁은 구간에 양립하는 옹벽의 형식을 가지기 때문에 벽체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보강재가 겹치게 되어 보강재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응력 변화와 일체화된 상태에서 전체가 거동하는 문제 등으로 설계단계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나 현재 국내에 정형화된 설계기준이나 지침이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Back-to-Back 보강토옹벽에 대해 옹벽폭 대 높이비(옹벽폭비, Wb/H)에 따른 최적 보강길이비에 대해 고찰하였다. 옹벽폭비는 FHWA 설계기준의 Case II에 해당하는 1.1H, 1.4H, 1.7H, 2.0H, 높이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3.0m, 5.0m, 7.0m, 10.0m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조건에서 수치해석을 통해 FHWA 설계기준의 적정성과 옹벽의 높이 및 옹벽폭비에 따른 최적 보강길이비를 제안하였다.

수치지형도 데이터를 활용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건축외피의 최적향 산정 프로세스 (A Process of Optimization for the Best Orientation of Building Façades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 by Utilizing Digital Topographic Map Data)

  • 최승주;한승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3-129
    • /
    • 2022
  • 건축물의 친환경성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는 건축물의 LCC를 비롯하여 다양한 가치판단에 직결된다. 그러나 전통적 설계방식은 친환경성이 최적화된 건축물 대안을 제시하는 데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계획 단계에서 기후, 도시와 같은 미시적 측면의 지역조건을 계획에 반영하여 친환경성이 최적화된 건축물 대안을 도출할 수 있는 의사결정 보조도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부기관인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의 등고선, 건물,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건축대지 인근 지역의 3차원 모델링 작성 및 태양환경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작했고,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축 건축물 입면 방향과의 일사량 및 일조시간을 비교하여 최적향 산출 가능 여부를 검토했다. 그 결과, 도출된 최적향이 기축 건축물의 정면향 대비 더 높은 일사량 및 일조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비교분석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개발 알고리즘이 태양입사 환경관점에서 유효한 입면 방향을 산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강철도 복합교량 케이블의 장력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Method of Cable Tension for Railway Steel Composite Bridge)

  • 최정열;이수재;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407-41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약 3년간의 장기계측을 바탕으로 공용중인 복층 교량인 상부 도로교의 신축이음 신축량과 하부 철도교의 케이블 장력 간의 상관관계를 입증함으로서 온도변화에 따른 케이블 장력 평가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케이블별 장력 평가 경험식을 이용한 장력 예측결과는 진동법을 이용한 장력과 3% 이내로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용중인 케이블의 장력 예측 및 평가에 실험적인 기법인 진동법과 함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신축량 경험식으로 산출한 추정온도를 케이블 경험식에 적용한 결과, 현장시험 진동법 측정결과와 비교시 높은 신뢰수준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추정온도를 반영한 장력 평가 경험식은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케이블의 장력 예측 및 유지관리방안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모터 그레이더 평탄작업용 블레이드의 설계개선을 위한 개별요소법 해석 (Discrete element analysis for design modification of leveling blade on motor grader vehicle)

  • 송창헌;오주영;조정우;김문규;석정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423-438
    • /
    • 2021
  • 모터 그레이더의 블레이드는 도로공사시 골재를 산포하고 평탄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그레이더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 부품의 설계개선 연구를 진행하였다. 블레이드와 골재 입자의 접촉, 절삭, 산포 과정을 모사하기 위하여 동해석 코드에 개별요소법을 도입하여 전산해석 모델을 수립하였다. 블레이드 설계인자를 4가지 선별한 후 작업 시나리오를 수립하였다. 실험계획의 직교배열을 통해 각 인자의 수준조합별 9개 모델에 대해 평탄화 작업에 대한 동해석을 수행하고, 각 설계인자의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이후 유의한 인자를 분산분석을 통해 선별하여 최적화기법으로 점진적 반응표면법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블레이드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인자의 최적값을 제안하였다.

개선된 교량 기초세굴 점검방법 및 3D 하상지도 구축 연구 (A Study on Improved Inspection Method of the Foundation Scouring and Establishment of 3D Underwater Surface Map)

  • 최현철;고준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161-170
    • /
    • 2022
  • 하천에 설치된 교량의 유지관리는 시설물 안전점검과 그 결과에 따른 보수·보강의 절차를 거쳐 이루어진다. 그 동안 교량 상부구조의 안전점검은 접근성이 용이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하천에 설치된 교각 기초부의 세굴여부에 대하여는 직접조사가 곤란하여 이론에 근거한 관리에 머물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천에 설치된 교량 기초의 세굴을 음향측심기 및 VRS 등을 활용하여 하상 지반고의 형상을 3D 형태로 구현하였다. 이로써 교량 설치 당시의 하상 지반고와 비교·분석 등을 통해 세굴양상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해당 교각 기초의 국부세굴 여부 파악 및 장기하상저하 예측을 위한 초기치 자료로 활용한다면 기초세굴로 인한 교량붕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터널 내 화재발생에 대한 콘크리트 세그먼트 라이닝의 내화성 평가 및 내화방법에 대한 고찰 (Review of fire resistance evaluation and fire resistance method of concrete segment lining for fire in tunnel)

  • 손무락;천주현;조영근;김범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21-139
    • /
    • 2023
  • 도로, 지하철, 철도 등의 다양한 터널이 건설 및 운행 중에 있다. 터널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라이닝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TBM터널 공사에서는 콘크리트 세그먼트 라이닝이 주로 설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터널 내 화재가 발생할 시 터널내 구조물인 콘크리트 세그먼트 라이닝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기준, 내화성 평가 및 내화방법에 대해서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하고 관련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실무자가 터널화재에 대한 콘크리트 세그먼트 라이닝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C.S.G 재료의 일축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인자 (The Factors Affecting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C.S.G Materials)

  • 김기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0호
    • /
    • pp.33-45
    • /
    • 2006
  • C.S.G(Cemented Sand and Gravel) 재료는 댐 수몰지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는 굴착토와 하상자갈에 소량의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재료를 총칭하는 것으로 최근 댐, 도로, 호안등의 건설재료로 그 활용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C.S.G 재료의 강도특성은 입도분포, 단위시멘트량, 재령, 그리고 함수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북댐 유역의 하상자갈을 3가지 종류의 입도분포로 재구성하여 재령, 단위시멘트량 그리고 함수비의 혼합 비율에 따른 일축압축강도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C.S.G 재료의 일축압축강도는 상기 영향 인자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입도분포와 단위수량은 C.S.G 재료의 강도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실험적 결과를 토대로 각 영향인자를 고려한 강도 예측식을 제안함으로써 설계 및 시공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