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래시각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4초

다변측정감시시스템 신호 입력 시각 정밀 측정을 위한 DRS(Delayed Reference Sample)를 이용한 Cross Correlation 방안 연구 (Study of Cross Correlation Using DRS(Delayed Reference Sample) for Precision Time Measurement of Input Signal on Multilateration)

  • 장재원;이상정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44-250
    • /
    • 2018
  • 다변측정감시시스템은 탑재 트랜스폰더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지상에 설치된 여러 수신기에서 획득하고 각각의 수신기의 신호 획득시간의 차를 이용하여 표적의 위치를 계산한다.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계산 방법을 이용하는 다변측정감시시스템의 위치 정확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는 신호 입력 시각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이다. 수신기에서 신호 입력 시각을 측정할 경우 수신기의 기준 클럭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샘플링하고 동일한 샘플링 레이트를 가지는 기준 샘플(Reference Sample)을 Cross Correlation 기법에 적용한다. 따라서 신호 입력 시각의 정밀도는 기준 클럭에 비례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준 샘플과 이를 샘플링 레이트보다 작은 시간으로 기준 샘플을 지연시킨 다수의 샘플(DRS, Delayed Reference Sample)을 수신기의 입력신호와 Cross Correlation을 수행하여 신호 입력 시각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Matlab을 이용하여 타겟에서 송출하는 트랜스폰더의 펄스 신호를 구현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DRS와 입력신호와의 Cross Correlation을 수행하였다. 이 결과로 부터 신호 입력 시각 정밀 측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IoT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인접거리의 시각화 컴포넌트 구현 (Implementation of a Component for Visualization of Proximity using IoT Ultrasonic Sensors)

  • 김준영;김성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830-1833
    • /
    • 2015
  • 모든 사물이 통신으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 시대가 도래 하면서, IoT센서를 통한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도 쉽게 방대한 센서 데이터를 저장, 수집 후 쉽게 데이터 시각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시각화를 접근성이 용이한 웹 브라우저에서 구현하였고, 웹 브라우저에서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웹의 다양한 비표준 플러그인(Flash, SilverLight, ActiveX 등)을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HTML5, CSS, Javascript를 사용해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고 초음파 센서를 사용한 데이터의 실시간 차트 구현을 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향후, 초음파 센서데이터를 활용한 전후방 장애물 감지 센서, 도난 경보 시스템, IoT센서 데이터 시각화 서비스 등에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ata Visualization EducationProgram for 3r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우지선;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481-490
    • /
    • 2022
  •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빅 데이터 시대가 도래하게 되어 우리는 주변의 수많은 데이터와 생활하고 있다. 초등학생들도 예외는 아니다. 따라서 초등학교부터 데이터 처리하는 것을 학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초등학생들은직관적인 사고를 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바로 그림으로 표현하는 데이터 시각화가 중요한 학습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생활 속의 데이터를 시각화해 봄으로써 이것이 정보 처리 역량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연구한다.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데이터 시각화 도구를 이용하여 8차시의 데이터를 조직화하고, 시각화한 후에, 상호작용의 절차를 체험하는 것으로 데이터 시각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7개 학급에 186명의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수업 전과 수업 후 지식정보처리 역량 요소를 평가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지식정보처리 역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데이터 시각화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다.

고기능 CMOS 이미지센서기술의 응용

  • 오타준
    • 광학세계
    • /
    • 통권110호
    • /
    • pp.58-66
    • /
    • 2007
  • 고기능 CMOS 이미지 센서는 현재 차재나 시큐리티 등의 응용을 목표로 실용화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정보통신으로의 응용도 가시광통신 등의 보급에 따라 이후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바이오 의료 관계는 아직 연구단계에 있지만, 앞으로 고령화 사회가 도래할 것을 생각하면 필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단 실제 장착기술뿐 아니라 윤리적인 면도 포함하여 난제가 산재해있어 지금부터 착실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앞으로의 발전에 기대가 된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고기능 CMOS 이미지센서의 보고 예에 대해 차재.시큐리티 응용에서는 광다이나믹레인지화, 3차원거리계측에 대해, 정보통신기술응용에서는 광ID태그, 광무선LAN을 기술하겠다. 그리고 바이오의료응용으로서 바이오이미징과 인공시각에 대해서 서술하고,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 정리하겠다.

  • PDF

JProtein : Java3D 기법을 이용한 단백질 구조 뷰어 (JProtein : A Protein Structure Viewer based on Java3D Technology)

  • 문남두;변상희;김진홍;한인섭;이명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7호
    • /
    • pp.1517-1526
    • /
    • 2004
  • 공공 데이터베이스의 이용 가능한 단백질 데이터의 양적 증가와 함께 포스트지놈 시대가 도래되면서, 단백질의 3차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단백질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단백질의 3차 구조를 시각화할 필요가 있다. 최근 많은 시각화 도구들이 이미 그 구조가 알려진 단백질을 시각화하기 위해 Java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단백질 시각화 도구인 JProtein 시스템은 Java3D 기법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Java3D 3D 표현을 위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APIdl다. JProtein 시스템은 시각화된 아미노산 내의 원자들간의 각도 및 거리 정보를 제공하며, 단백질 분자구조에 대해 여러 가지 3차원 표현 모델을 지원한다. 특히, JProtein 시스템은 비동기식 스테레오 뷰와 함께 동기식 스테레오 뷰를 지원한다.

UCC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 (Accessibility Analysis and Improvement on the UCC for Multimedia Contents)

  • 박성제;강영무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98-109
    • /
    • 2007
  • 최종사용자 중심의 웹 플랫폼을 제공하는 웹 환경인 웹2.0시대가 도래했다. 또한 UCC(User Created Contents)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사용자들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참여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용자의 능동적 참여"라는 웹2.0의 목적을 고려할 때, 노약자나 시각장애인과 같은 기반 정보접근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사용자들의 접근성 고려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 역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사용자들의 웹 기반 UCC 서비스 활용에 있어 문제점을 파악 분석하여 그들의 원활한 접근이 가능한 웹 기반 UCC 서비스에 대한 효율적인 구현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구현방안에 의한 테스트 페이지 구현을 통해 시각장애 사용자들의 반응시간을 기존 UCC 서비스와 비교.분석함으로써 제시한 방법론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TDOA 기반 위치탐지를 위한 DOP을 이용한 시각동기화 주수신기 선택 기법 (Method of Master Receiver Selection Using DOP for Time Synchronization in TDOA-Based Localization)

  • 김산해;송규하;곽현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9호
    • /
    • pp.1069-1080
    • /
    • 2016
  • 수동형 감시시스템과 같은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기반의 위치탐지시스템은 다수의 수신기를 이격 설치 후에 수신기 간 시각동기화를 수행하여 동일한 시각으로 설정하고, 수신기에 수신되는 목표 신호의 도래시간차인 TDOA를 이용하여 쌍곡선(또는 쌍곡면)의 교점을 구함으로써 목표의 2차원(또는 3차원) 위치를 추정한다. 시각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수신기 중에 하나가 주수신기(Master)가 되어 나머지 종수신기(Slave)들의 시간을 보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해야 한다. TDOA 기반의 위치탐지 시스템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수신기 중에 선택되는 주수신기에 따라 위치추정정확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다수의 수신기 중에 최적의 수신기를 주수신기로 선택해야 고려하는 시스템의 배치구조에서 최적의 위치추정 성능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목표와 수신기의 기하학적 배치 기반의 DOP(Dilution Of Precision) 정보를 이용하여 낮은 복잡도와 짧은 수행시간을 가지면서 시스템 내에 자동화가 용이한 주수신기 선택 방법을 제안한다.

학교도서관 정책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chool Library Policy)

  • 이재원;조현양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7-126
    • /
    • 2006
  • 지식정보화사회의 도래와 제7차 교육과정 시행에 따른 사회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국민들은 학교도서관에 다양한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학교도서관 정책과정을 교육정책 평가모형에 근거하여 정책의제설정, 정책결정, 정책집행 과정으로 구분하여 문헌정보학의 시각이 아닌 정책학 행정학의 시각으로 분석하는 틀을 개발하고 이 틀을 이용하여 학교도서관 정책을 과정별로 평가하였다. 이 평가를 토대로 반세기만에 나온 학교도서관 정책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보다 나은 정책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효율적 경제성 평가방안 (An Efficient Economic Evaluation Method for Remodeling Project)

  • 김경중;우경섭;박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261-266
    • /
    • 2001
  • 개발의 시각이 보존으로 바뀌면서 리모델링의 개념이 도래하였다. 경험이 부족한 국내 리모델링사업에서 경제성 검토단계는 사업주체에게 있어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한 분야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리모델링 사업수행 시 경제성검토 단계에서 리모델링 전과 후의 가치를 비교할 수 있는 방법들을 다양한 시각으로 고찰하여 건물의 실제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건축분야와 부동산분야의 경제성 평가기법들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 및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건축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경제성 평가기법에 부동산분야의 감정평가기법을 응용한 혼합형 평가 기법을 구축하여 그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 사례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PDF

IoT-Home 환경에서 가전제품 사용 로그 기반 데이터 시각화 기법 (A Data Visualization Method based on Home Appliance Log Data in IoT-Home Environment)

  • 백승태;명노영;정진용;문성훈;유헌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65-968
    • /
    • 2016
  • IoT 환경이 도래하면서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전송, 데이터 처리와 같이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인프라에서 실제 IoT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분석은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하다. IoT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분석에 대한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 특히 IoT 서비스 중에서도 IoT 홈 서비스의 경우 데이터에 내재된 개인정보 문제 때문에 데이터의 수집이 어렵고, 분석에 필요한 형태를 갖추기도 어렵기 때문에 기계학습기법의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진형(Discret) IoT 홈 서비스의 데이터 분석을 위해 DAG기반 데이터 시각화 기법을 제안한다. 해당 기법을 통해 IoT 홈 서비스 디바이스들간 연관성, 각 디바이스의 사용 지속성 및 사용패턴과 같은 데이터 분석을 위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