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달 시간 차이

Search Result 39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유역분할특성에 따른 유출비교에 관한 연구

  • Park, Gi-Bum;Go, Jin-Suk;Song, S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61-16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유역분할 특성에 따른 하천유역의 도달시간을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도달시간을 이용하여 홍수량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소유역 분할 수가 많을수록 각 방법에 따른 첨두홍수량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매개변수의 적용에 따른 차이가 수문곡선의 중첩으로 인하여 하류지점인 용곡지점에서 첨두치의 차이가 더욱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측자료와 비교한 결과 실측 자료의 경우 도달시간이 홍수량이 변하여도 일정하게 산정되는 반면 모델에 의한 계산된 홍수량은 실측홍수량과 비교하여 도달시간이 짧게 산정되었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Rainfall Critical Duration and Time of Concentration by Road Surface Conditions and Rainfall Intensity (도로표면 조건과 강우강도 변화에 따른 임계지속기간과 도달시간의 상관관계 분석)

  • Lee, Sung Ho;Kim, Jung Soo;Lee, Jae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4-204
    • /
    • 2019
  • 국지성 호우의 증가로 인해 도시 지역의 내수침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배수의 흐름이 집중되는 저지대 지역과 노후화된 하수관거가 설치된 지역에서 특히 피해가 집중되고 있으며, 이는 도로 측면에 설치된 빗물받이와 같은 하수시설에서 원활하게 배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강우 발생시 도로표면에 노면수가 정체되어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과거 도로 노면의 형상과 강우의 임계 지속시간을 고려한 적정 우수 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현재 발생하는 국지성 호우의 형태나 강우강도의 변화에 따른 유출량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도달시간 산정식에 따른 매개변수의 차이와 새로운 도달시간 산정식의 개발로 도달시간의 결과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의 침수피해를 막고 교통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로 조건을 고려한 도로 입구 및 하수관의 적절한 설계 등 다양한 연구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유출 모델인 SWMM 모형과 계산식을 이용하여 도로 표면의 폭과 길이, 도로 종횡단의 변화량, 재 산정한 강우강도에 따른 유출량을 계산하였다. 도로 표면의 폭과 길이, 경사를 다양하게 입력하였으며, 또한 각 Case에 따라 최대 유출량을 생성하는 임계지속기간을 결정하고 다양한 도달시간 산정식의 결과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달시간은 산정식의 매개변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도로표면의 길이와 횡단경사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횡단경사보다 종단경사가 클 경우 도달시간이 길어져 유량의 집중을 막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원거리 지진자료로부터 유추된 한반도의 P파 도달시간 이상에 대한 연구

  • Lee, Deok-Gi;O, Seok-Hun;Yun, Yong-Hun;Yang, Jun-Mo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5 no.2
    • /
    • pp.87-97
    • /
    • 2002
  • P wave travel-time delays have been analyzed and average travel-time anomalies due to lateral variation of the crustal structure have been calculated at the broad-band earthquake observatories of Korea Meteorology Administration (KMA) using the teleseismic deata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2000 to 2001. Maximum variation in the relative travel-time residuals is almost 1.5 seconds Azimuthal variation in the travel-time residuals is observed to indicate the existence of lateral P velocity heterogeneity beneath the stations with velocity contrasts of -4~4%. The estimated average travel-time delays are ranging from 0.05 to 0.3 seconds at the stations including Seoul, Chuncheon, Kanneung, Uljin, and Ulleung Island showing slow velocity contrasts of 0~4% P through the crust. Faster velocity contrasts of 0~4% have been observed at the stations including Seosan, Taejeon, Daegu, Seoguipo, and Busan showing average travel-time delays ranging from -0.05 to -0.3 seconds.

  • PDF

A Study on Estimating Time of Concentration using Topographical Data with Fine Spatial Resolution (상세 지형정보를 이용한 홍수도달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

  • Kim, Gwang-Seob;Kim, Jong-Pil;Choi,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91-1195
    • /
    • 2010
  • 도달시간 또는 집중시간이란 어떤 유역에 강우가 발생하였을 때 유역의 최상류부에서 내린 강우가 유역의 최하류부 출구점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유역출구점에서의 첨두홍수량은 도달시간만큼 지체되어 발생하고, 하천의 치수 시설물을 설계하는데 있어 기준이 되므로 정확한 홍수도달시간의 산정은 매우 중요한 과업 중 하나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Kirpich 공식, Rziha 공식, Kraven 공식, SCS(NRC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공식 등을 이용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한 후 그 유역에 적절한 것을 채택하는 방식으로 홍수도달시간을 산정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식들은 모두 유역의 지배적인 유로의 연장과 하도경사에 의해 결정되어 홍수의 이동특성을 물리적으로 반영할 수 없으며, 유역면적이나 하도 경사에 따라 적용성이 한정되어 있다. 또한 각 경험식들에 따라 산정된 도달시간은 경우에 따라 수십 배의 차이가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유역의 홍수도달시간을 산정하기 위하여 상세 지형정보를 이용하며, 임의의 격자점에 내린 강우의 흐름방향을 결정하고 인접 격자점에서 유입되는 홍수의 이동경로를 보다 물리적이고 현실적으로 모의하고자 하였다.

  • PDF

Target Localization Method based on Extended Kalman Filter using Multipath Time Difference of Arrival (다중경로 도달시간차이를 이용한 확장칼만필터 기반의 표적 위치추정 기법)

  • Cho, Hyeon-D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6
    • /
    • pp.251-257
    • /
    • 2021
  • An underwater platform operating a passive sonar needs to acquire the target position to perform its mission. In an environment where sea-floor reflections exist, the position of a target can be estimated using the difference in the arrival time between the signals received through multipaths. In this paper, a method of localization for passive sonar is introduced, based on the EKF (Extended Kalman Filter) using the multipath time difference of arrival in underwater environments. TMA (Target Motion Analysis) requires accumulated measurements for long periods and has limitations on own-ship movement, allowing it to be used only in certain situations. The proposed method uses an EKF, which takes measurements of the time differences of the signal arrival in multipath environments. The method allows for target localization without restrictions on own-ship movement or the need for an observation time.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simul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depth of the target was performed repeatedly, and the localization error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water depth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orrelation with the estimated position error was assessed by analyzing the arrival tim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Development of an Estimation Method for Travel Time (도달시간 산정 방법의 개발)

  • Jeong, Jong-Ho;Keum, Jong-Ho;Yoo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6
    • /
    • pp.715-727
    • /
    • 2002
  • The travel time of a flood through a river reach can be estimated by dividing the river length by the mean velocity with which the flood passes downstream. It is closely related to storage constant for the watershed routing of a flood. There are so many empirical formulas available for the estimation of travel time but the results computed generally show great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 formulas. In the present study, the mean velocity data computed in the process of water surface profile computation for a probability flood through more than 100 different river reaches were collected along with the mean river bed slope of each river reach. And then, a regression analysis is made between the mean river bed slope and the mean velocity, which showed a wide scatter along the mean regression curve, which appears to be due to the different in the magnitude of probability rainfall and size of watershed area. Therefore,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remove the effect of these factors and generalized empirical equation is proposed to relate the mean velocity to mean river bed slope of a reach. Hence, if the mean river bed slope of a river reach is estimated from the longitudinal river profile, the mean velocity can be computed by the generalized equation along with the probability rainfall and watershed area of the river reach under consideration, which leads to the estimation of travel time through a river reach.

Analysis of Turbid Water Distribution in Daegok and Sayoun Reservoir (대곡.사연댐의 호내 탁수거동 분석)

  • Lee, Sang-Uk;Kim, Jeong-Kon;Noh, Joon-Woo;Park,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94-1697
    • /
    • 2008
  • 하절기의 태풍 및 장마시 유입되는 탁수는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저해하는 요소로서, 현재 일부댐에 이러한 탁수의 장기화를 방지하고 탁수로 인한 하류부의 영향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선택취수시설이 설치되어 운영중에 있으며, 많은 댐을 대상으로 탁수발생 현상에 대하여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탁수거동 분석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화강수계의 대곡천에 위치한 대곡댐 및 사연댐에 대하여 강우시 호내에 유입된 탁수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CE-QUAL-W2 모형을 구축하였다. 유입 탁도자료는 2007년 하절기 강우시 실측된 결과를 이용하였으며, 탁수가 유입된 이후 일별로 호내에서 측정된 수심별수온 및 탁도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보정하였다. 유입 이전의 조사시 표층 및 심층의 수온차이가 $1^{\circ}C$ 미만으로서 수온성층이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탁수 유입시 탁수층이 중층 이하에서 바닥층까지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정결과 침강보다 자연적인 소멸 등의 침강 외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탁도가 저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댐축에의 탁수층 도달시간을 검토한 결과 대곡댐은 18시간 이내, 사연댐은 30시간 이내에 댐축에 도달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댐별 저수용량이 각각 9월 14일 기준으로 $10.3\;Mm^3$$17.2\;Mm^3$으로서 60% 가까운 차이를 보이나, 9월 18일 기준으로 $18.2\;Mm^3$, $24.2\;Mm^3$로 나타나 각각 $7.9\;Mm^3$, $7.0\;Mm^3$의 저수용량증가를 나타내었다. 실제로 유입된 양의 차이는 크지 않은 반면에 초기 체적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10.3\;Mm^3$, $17.2\;Mm^3$의 약 60% 차이)으로써 이러한 탁수층이 댐축에 도달하는 시간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verting Vertical-Slice Tomography Measurements in the East Sea using Explosive Charges (동해에서 SUS-해양음향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수직단면 역산)

  • Oh Suntaek;Na Jungyul;Choi Jee Woong;Shim Taebo;Choi Jin Hyuk;Jurng Mun Sub;Park Joungso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81-184
    • /
    • 1999
  • 동해 울릉분지에서 1998년 8월 수중 폭발성 음원인 SUS를 이용하여 수온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양음향 토모그래피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관측해역 중앙에 수직선배열 수신기(수심 270-360m, 10개)를 설치하고 수신기를 중심으로 반경 30km와 603m에서 항공기를 이용하여 SUS charge(244m)를 36개 지점에 투하하였다. 역산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AXBT를 이용하여 각 지점에 대한 수직 수온관측이 동시에 수행되었다. 도달시간 계산을 위해 폭발수심 및 시간은 실험식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음선경로별 도달시간을 관측하였다. 수직단면 수층을 여러 충으로 나누어 격자별 음선 전파거리를 계산, 표준해양에 대한 도달시간 차이를 이용한 역산 결과는 관측결과와 비교했을 떼 각각의 결과는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인 경향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한국증권시장(韓國證券市場)에서 거래가격분포(去來價格分布)와 가격제한폭(價格制限幅)의 영향(影響)

  • Park, Jong-H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9 no.2
    • /
    • pp.243-270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시장이 미국시장과 다른 점을 이용하여 시가와 종가를 비교하여 동시호가방식(同時呼價方式)과 접속매매방식(接續賣買方式)의 차이를 추정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와 거래가격에 대한 가격제한폭(價格制限幅)의 영향(影響)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가격제한폭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수익률이 아니라 절대가격변동(絶對價格變動)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별 그리고 하루중 가격변화의 분포는 정규분포라고 할 수 없다. 2) 종가가 아니라도 가격제한폭의 영향을 받으며 상한가가 하한가보다 2.5배 이상 주가 변동을 제약한다고 할 수 있다. 시간대로는 종가를 제외하고는 오전종가에서 그 영향이 가장 크다. 3) 동시호가와 접속매매 방식에서 분산과 자기상관계수의 일관성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시가의 분산이 종가의 분산보다 크다는 결과는 거래방식의 차이뿐만아니라 하루중 첫번째 거래와 마지막 거래라는 특정 시간대의 가격이기 때문에 갖는 특성도 중요하다. 4) 각 시간대 별 가격 변화가 동일한 분포를 갖는가를 비모수 검증 방법에 의해 검증했을 때 접속매매인 오전종가와 오후 접속매매 종가의 분포는 다르다고 할 수 없었으며 시가와 종가는 다른 시간대의 분포와 유의하게 달랐다. 5) 하루중 어느 시간대에 가격변화의 분산이 가장 큰가를 검증한 결과 오전시가에서 오전종가까지 시간에서 분산이 가장 켰다. 그 다음으로는 오후 접속매매 종가에서 오후동시호가 종가까지로 이 시간대는 거의 시간차가 없다는 점에서 놀라운 현상이라 하겠다. 6) 종가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간대에서 가격반전현상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거래시간 동안은 시장에 새로운 정보가 계속 도달하지만 비거래시간에는 정보가 도달하지 않아 이전 정보에 대해 조정하게 되며 이 조정에서 관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PDF

Effects of Breed and Sex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Traits of Performance-tested Pigs (품종과 성이 검정돈의 행동특성과 경제형질에 미치는 영향)

  • Kim D.H.;Lee D.J.;Ha D.M.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12 no.1
    • /
    • pp.13-20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breed and sex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traits of performance-tested pigs. Totally 32 tested pigs in 4 different breeds were assigned for behavioral observation. Behavior was recorded for 4 hours(each 2 hours, before and after none) of tested pigs in each tested pen. The average daily gain, age at 90 kg and feed efficiency on the basis of the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8,477 performance-tested pigs in which pure breeds of Duroc, Yorkshire, Landrace and Berkshire at the Korea Swine Testing Sta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ffect of bre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traits studied. Average daily gain were the highest(P<0.05) in Duroc and ages at 90 kg were the highest(P<0.05) in Berkshire. In feed efficiency of male, Landrace and Yorkshire were the most efficient. Th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superior to those of female, however, the age at 90 kg was not different. Overally, females were superior to males in various traits examined. Berkshire breed had more proportion of time spent in ventral tying and sitting whereas the proportion of time spent in walking, drinking and eating was less than that of other breeds. The male pigs showed more time spent in standing and social behavi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