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달시간비

Search Result 630,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Mechanism improvement of the heat exchanger and the ventilator for the thermal efficiency increment of hot-air heater (온풍난방기의 열이용효율 증대를 위한 열교환부 및 송풍기 구조개선)

  • 이기명;박규식;최성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58-563
    • /
    • 2002
  • 시설원예에서 난방장치를 사용하는 겨울철 재배 농산물의 생산비 중 난방 연료비가 30%~37% 정도를 차지하여 비중이 가장 높다. 따라서 시설원예 농가에서는 난방비를 절감하는 것이 농가소득과 직결되므로, 난방장치의 선정이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재배 농산물의 생산비 중 30%-37% 정도를 차지하는 연료비를 절감하기 위해 기존의 온풍난방기와 다른 새로운 방식의 열교환기와 원심식 송풍블로워를 사용하는 블로워 송풍방식의 온풍난방기를 개발하고 개발된 온풍난방기의 가동으로 인한 난방 연료비 절감효과와 온실내의 균일한 온도분포를 획득하기 위해 8연동 비닐온실에서의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저 정압용의 전동기 축직결식 송풍팬을 대신하여 고 정압용의 블로워 송풍팬을 장착하고 열교환 면적을 크게 한 지그재그식 환류의 열교환실을 채용한 온풍난방기를 개발하였다. 나. 공시한 온실에서 기존 온풍난방기의 2일 가동시 DH당 연료 사용량이 평균 1.082$\ell$/$^{\circ}C$.hr 이며, 블로워 송풍방식 온풍난방기의 3일 가동시 DH당 연료 사용량은 평균 0.854$\ell$/$^{\circ}C$.hr로써 21%의 난방 연료비 절감효과가 나타났다. 다. 블로워 송풍방식 온풍난방기는 동일시간대 3$^{\circ}C$의 경시적 온도변화가 발생하였고, 기존의 은풍난방기의 동일시간대 온도변화는 최대 6.1$^{\circ}C$로 나타나 개발된 블로워 송풍방식 온풍난방기가 동일시간대 온실내의 온도변화를 크게 줄일 수 있었고 온도분포를 비교적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33$^{\circ}C$를 기준으로 한 열 회수 시간은 유입공기 온도가 52$^{\circ}C$ 및 64$^{\circ}C$ 일 각각 120분 및 140분으로 나타났다. (3) 제 3종 자갈: 축열조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52$^{\circ}C$와 64$^{\circ}C$ 일 때,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가 33$^{\circ}C$에 도달될 때까지 가열되는데 소요된 시간은 가열공기의 온도가 52$^{\circ}C$와 64$^{\circ}C$ 일 때 각각 180분과 150분이었고, 방열에 소요된 시간은 각각 240분 및 270분으로 나타났다. 방열과정 동안 축열조 출구의 최고 공기온도는 가열 공급공기의 온도가 52$^{\circ}C$$65^{\circ}C$일 때 각각 35.5$^{\circ}C$ 및 39.5$^{\circ}C$였다. 출구 공기온도 33$^{\circ}C$이상을 기준으로 한 에너지 회수시간은 유입공기 온도가 52$^{\circ}C$ 및 64$^{\circ}C$일 때 각각 140분 및 160분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갈이 작을수록 축열조 출구의 공기온도가 기준온도 33$^{\circ}C$에 도달되는 시간이 길었으며, 이것은 축열조내의 공극이 작고 비중량이 커 자갈층을 가열시키는 축열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작은 자갈일수록 방열시간도 다소 길어져 회수 가능 열에너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Parameter Estimation of Rainfall-Runoff Model Considering the Reservoir Dischage (저수지 방류량을 고려한 강우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에 관한 연구)

  • Lee, Ah-Reum;Lee, Do-Hun;Lee, Eu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22-182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계산된 유량과 실측 유량을 비교하여 Clark 단위도 방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오산천과 진위천 상류유역에 대하여 Arcview와 WMS로 지형자료에 대한 전 처리를 한후, HEC-HM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4개의 사상에 대하여 강우량, 기흥저수지와 이동저수지의 실제 방류량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Clark 모형의 매개변수를 Russel 공식, Sabol 공식 및 HEC-HMS 프로그램에 내장된 Nelder-Mead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각각 산정하여 회화 지점의 실측 유출량과 비교.평가하였다. 빈도가 큰 유출사상의 경우에는 Sabol 식을 적용한 결과가 Russel 식을 적용한 모의결과보다 첨두유량의 재현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유출량이 작은 경우에는 Russel 식을 적용한 모의결과가 우수하였다. 첨두가 중제곱평균제곱근오차, 잔차자승의 합, 절대잔차의 합 등 3가지의 서로다른 목적함수를 적용하여 매개변수를 자동 보정하였을 때, 목적함수에 따른 첨두유량의 오차는 거의 동일하였으며, 첨두시간에 대한 오차는 첨두가중제곱평균제곱근오차를 적용했을 때 가장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Clark 유역 추적모형의 자동보정을 통하여 추정한 매개변수인 도달시간과 저류상수는 강우사상에 따라서 변동하는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최적의 도달시간 및 저류상수는 홍수사상별로 추정되어야 하며 이 결과는 홍수량 산정을 위한 매개변수 추정과정의 비유일성 및 복잡성을 암시하고 있다.

  • PDF

Strength Optimization of Ventilating Container(I)-Experimental Analysis (통기성 상자 구조물의 강도적 최적화 연구(I)-실증 분석)

  • Park, Jong-Min
    •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 /
    • v.7 no.2
    • /
    • pp.19-24
    • /
    • 2001
  • The design criteria of ventilating container is not provided yet in Korea. This caused strength reduction due to the ventilating hole and bad ventilating performan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the present situation of ventilating container in Korea, to analyze the strength reduction on the atmosphere condition variation, and to provide the criteria for the optimum design of ventilating container. The ventilating area of container was $1.41{\sim}2.65%$, and strength reduction due to the varied pattern, size and location of ventilating hole was $8.5{\sim}20.2%$. The effect on the strength reduction from the pattern and location of ventilating hole was bigger than that from the ventilating area. Equilibrium arrival time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as shorter as the ventilating area was bigger, and temperature reached to the equilibrium state earlier than the relative humid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ventilating hole pattern between equilibrium arrival time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nd equilibrium arrival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f the ventilating area was the same.

  • PDF

Range estimation of underwater moving source using frequency-difference-of-arrival of multipath signals (다중 경로 신호의 도달 주파수 차를 이용한 수중 이동 음원의 거리 추정)

  • Park, Woong-Jin;Kim, Ki-Man;Son, Yoon-Ju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2
    • /
    • pp.154-159
    • /
    • 2019
  • When measuring the radiating noise of an underwater moving source, the range information between the acoustic source and the receiver is an important evaluation factor, and the measurement standards such as a receiver position, a moving source depth and a speed are set. Although there is a method of using the cross correlation as a method of finding the range of the underwater moving source, this method requires a time synchronization process.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method to estimate the range by comparing the Doppler frequency difference of the theoretically calculated multipath signal with the Doppler frequency difference of the multipath signal estimated from the received signal.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ime synchronization process.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performance, and the ranging error of the proposed method reduced by about 95 %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A Non-preemptive Priority 2-Class MAP/G/1 Queue with Individual Thresholds (다중 임계점을 고려한 비축출형 우선순위 2-계층 MAP/G/1 대기행렬모형)

  • Seo, Won-Ju;Lee, Ho-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66-872
    • /
    • 2005
  • 본 연구는 비축출형 우선순위 2-계층 대기행렬을 다룬다. 각 계층별 고객들은 마코비안 도착과정(Markovian arrival process, MAP)에 의하여 시스템에 도착하고, 각 계층마다 고유의 임계점을 갖는다. 시스템 내에 고객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서어버는 유휴해지고 어느 계층이든지 상관없이 계층에 부여된 임계점에 먼저 도달하면 서어버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우선순위가 높은 고객들을 먼저 서비스하는 비축출형 우선순위 서비스규칙을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각 계층별 고객들의 대기시간분포에 대한 라플라스(Laplace-Stieltjes) 변환과 평균 대기시간을 유도한다.

  • PDF

Curing Characteristics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Made with Coal Ashes (석탄회를 사용한 저강도 고유동화재의 경화 특성 분석)

  • Kim, Juhyong;Cho, Samdeok;Kong, Jinyoung;Jung, Hyuksang;Chun, B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1 no.11
    • /
    • pp.77-85
    • /
    • 2010
  •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curing characteristics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CLSM) made with coal ashes. It is found that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normalized by curing times, increases as decreasing the water contents of CLSM particularly during first three days. Dynamic cone penetrometer tests were also carried out to evaluate cost-effective CLSM lump strength characteristics with time. It takes around 10 days to reach target strength, 500kPa (penetration rate, 20mm/blow). Curing rate significantly decreases after 10 days elapsed regardless of CLSM formulation.

A study on the robust context-dependent acoustic models by considering the state splitting and the time variant of speech (음성의 시간변이와 상태분할을 고려한 강건한 문맥의존 음향모델에 관한 연구)

  • 오세진;김광동;노덕규;정현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229-231
    • /
    • 2003
  • 일반적으로 음성은 시간함수로 표현되며 음성인식에서 표준모델을 모델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음절 단어, 연속음성을 발성할 때 자음과 모음에 따라 발성시간에 차이가 있으며 이를 잘 모델링하는 것 또한 음성인식에서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건한 음향모델을 학습하기 위해 시간의 변화와 상태분할과정에서의 모델의 변화를 고려하여 다양한 구조의 초기모델을 작성하였다. 각 초기모델에 의한 HM-Net 문맥의존 음향모델은 음소결정트리 기반 SSS 알고리즘(PDT-SSS)을 이용하였다. PDT-SSS 알고리즘은 미지의 문맥정보를 해결하기 위해 문맥방향과 시간방향으로 목표 상태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태분할을 수행하여 모델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음성의 시간변이를 고려한 강건한 문맥의존 음향모델을 작성하기 위해 설정한 각 모델의 구조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어공학센터의 452 단어를 대상으로 음소와 단어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음소인식의 경우 상태수 2000개에서 2상태 구조의 모델에 비해 4상태 구조가 약 11.4% 향상된 인식성능과 39.2초의 인식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또한 단어인식의 경우 상태수 2000개에서 1상태 구조의 모델에 비해 4상태 구조가 약 5% 향상된 인식성능과 4상태 구조에서 한 단어를 인식하는데 평균 0.8초가 소요되었다. 따라서 강건한 문맥의존 음향모델을 작성하기 위해 수행한 초기모델의 구조에 관한 연구가 향후 음성인식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Concentration Time and Storage Coefficient Considering Regional Trend in Urban Stream Watershed (지역적 성향을 고려한 도시하천 유역의 도달시간 및 저류상수 공식 개발)

  • Bae, Deg-Hyo;Kim, Yong-J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6
    • /
    • pp.479-489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quations for concentration time and storage coefficient considering regional trend in urban stream watershed for reliable hydrological analysis. The 13 basins located in Jungrang, Tan, Anyang, and Hongje stream are selected for the data collection and formula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stepwise multiple-regression analysis is used for the development considering watershed, urban, and precipitation characteristic indices. The developed formulae are compared with the domestic and foreign empirical formulae and evaluated the accuracy in urban stream area. It shows the computed value from the equ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s more accurate than those from other empirical formulae. The error sum, average error and RMSE of computed values from the developed equations in this study are the lowest. The formulae considering the regional trend of urban stream watershed are worth in terms of showing better results than the domestic and foreign empirical formulae. It can be concluded the developed formulae can be useful in urban stream watershed.

Hydrological Survey and Analysis of the Mountainous River Basin (산지하천 유역의 수문조사와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02-306
    • /
    • 2016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이고 하천경사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하여 홍수 관리에 매우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홍수기간의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는 인명과 재산의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최근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것은 홍수의 위험성 및 자연재해의 발생을 증대시키므로 이에 대한 하천유역 단위의 홍수량 예측 및 재해방지를 위한 설계기법의 개선과 개발, 신뢰성 있는 수문정보 획득을 위한 정밀 수문조사는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수문조사의 방향은 새로운 국면에 접하였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수문조사 방법을 통해 획득했던 수문량의 초과치를 벗어난 극대값의 수문량 관측 및 측정을 극복하는 문제, 홍수량 산정 및 예측을 위한 새로운 설계기법의 개발 또는 기존 방법의 개선 등 문제 해결을 위한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 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나 시 공간적으로 모두 충족된 수문자료를 획득하기에는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중 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Test-bed 유역(설마천 유역/차탄천 유역)의 운영이 요구되며, 이를 통하여 얻어진 수문자료는 상기에 기술한 문제를 해결 가능하게 한다. Test-bed 유역에서 생성되는 수문자료에는 강우량, 하천수위, 지하수위 및 기상 등의 관측자료와 유량측정성과 자료가 있다. 관측된 수문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유출량 분석, 증발산량 분석, 지하수함양량 분석 등 기본적인 수문특성을 분석하였다. 홍수량 예측 설계기법 개선으로는 홍수도달시간 산정방법을 검토하였으며, 최대강우강도-도달시간관계를 이용하여 도달시간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RDAPS 예측강우량과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홍수량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유역 단위의 수문조사를 통해 생성된 수문자료는 다양한 분석과 설계에 응용되므로 지속적인 Test-bed 유역의 운영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 PDF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Lead on Kaolinite (카올리나이트의 납 흡착 특성)

  • 장경수;강병희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4
    • /
    • pp.24-30
    • /
    • 2002
  • The laboratory adsorption batch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Pb on kaolinite. The characteristics such as adsorption equilibrium time, adsorption capacity, adsorption isotherm were studied, and also the effects of pH and the mixing ratio on the adsorption of Pb on kaolinite were investigated. Test results show that the adsorption equilibrium state was reached within 24 hours, and the adsorbed amount of Pb increased, but the adsorption efficiency over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198 mg/l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Pb. And the adsorption constant, 1/n was obtained 0.9584 by Freundlich isotherm equation. Regardless of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Pb. the adsorbed amount of Pb as well as the adsorption efficiency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values and converged to a certain constant value above 8 of pH values. And also the adsorbed amount of Pb increased with the mixing ratio, but its efficiency increased with the mixing ratio up to 8 and then showed the decreasing tendency above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