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구

Search Result 15,114,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A Method for Testing Tool Development in a Product Line Practice (테스팅 도구 개발의 프러덕 라인화 방안)

  • 천은정;최병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112-114
    • /
    • 2002
  • 다양한 자동화된 테스팅 도구들이 존재하지만 프러덕 라인(product line)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레벨과 방법론을 수용하기에는 부족하다. 또한 기존 테스팅 도구는 특정 기법과 레벨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기법을 사용하기 원할 경우 적용하고자 하는 기법이 적용된 다른 테스팅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테스팅 도구 개발에 있어서 프러덕 라인화 방안을 제안한다. 프러덕 라인 개념에 따라 표준에 정의된 테스트 활동들의 공통점과 방법론과 기법에 따른 차이점을 도출하여 추상화 시킨후 컴포넌트로 개발한다. 개발된 컴포넌트를 조립 시 컴포넌트의 구현된 차이점들을 리스트로 만들어 컴포넌트를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된 제품이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개발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기 위해 각 컴포넌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제로 구현하지 않고 명세하여 자동 생성되게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안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법론과 기법이 적용된 테스팅 도구로 테스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개발된 컴포넌트를 재사용 할 수 있다.

  • PDF

An Efficient Checkpoint and Recovery Facility on UnixWare Kernel (Unix Ware 커널 수준의 효율적인 검사점 및 복구 도구)

  • 홍지만;한상철;윤진혁;박태순;염헌영;조유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39-141
    • /
    • 2000
  • 검사점 및 복구 도구는 응용 프로그램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안정된 저장소에 저장을 하고, 결함이 발생하였을 경우 가장 최근의 검사점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복구하게 하는 도구이다. 특히 검사점 및 복구 도구는 장시간 수행되는 프로세서에게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결함으로 인해 장시간 수행되는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중간 결과를 잃어버리지 않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UnixWare 커널 수준의 검사점 및 복구 도구인 Kckpt의 설계 및 구현 내용을 제시하고, Kckpt의 성능을 사용자 수준에서 구현한 검사점 라이브러리와 비교한 결과를 제시한다. Kckpt를 사용함으로 해서 UnixWare는 소스 코드 수준에서 사용자가 초기화한 장소에서 검사점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행 가능한 파일만을 가진 사용자에게도 완전한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Kckpt를 사용자 라이브러리 수준에서 구현한 검사점 도구와 성능을 비교한 결과 오버헤드가 훨씬 줄어들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flash authoring tools for handsets' screen saver and its service system (휴대폰 배경화면을 위한 플래시를 이용한 컨텐츠 저작 도구 및 서비스 구축)

  • On, Hwang-Seok;Koh, Hye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455-45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대부분의 데스크탑 컴퓨터 환경에서 브라우저의 플러그인으로 설치되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플래시 컨텐츠 양식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배경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컨텐츠 제작 도구와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구축에 대하여 기술한다. 컨텐츠 저작 도구는 휴대 단말기의 개인화 특성에 기반을 두어, 사용자가 영상, 사운드와 저작 도구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아이템, 컨텐츠의 전환 효과, 아이콘 및 텍스트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구성하고, 자동 생성 도구를 이용하여 모바일 플래시 컨텐츠를 생성한다. 생성된 컨텐츠는 미리보기 엔진을 통해서 휴대 단말기에서의 동작을 에뮬레이션해 준다. 저작된 컨텐츠는 전송 기능을 통해 휴대단말기로 전송되어 배경 화면으로 활용된다. 상기 컨텐츠 저작 도구를 활용해 개발된 서비스 시스템은 현재 상용 서비스 중에 있다.

  • PDF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on the Web (웹 환경을 이용한 보안 취약점 점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Jang, Seung-Ju;Choi, E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d
    • /
    • pp.82-85
    • /
    • 2007
  • 본 논문은 웹을 이용한 보안 취약점 점검 도구를 개발한다. 본 논문은 보안 취약점 점검 도구들을 이용하여 웹 상에서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점검을 통해서 결과를 보여주는 환경을 개발한다. 개발된 웹 보안 취약점 점검 도구는 쉽게 자신의 서버 컴퓨터의 취약점을 점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보안 취약점 점검 도구의 기능은 포트 스캔, SQL injection 취약점 점검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트 스캔 취약점 점검 도구의 기능은 열려져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포트 점검을 통하여 불필요하게 열려져 있는 포트를 점검한다. 이런 점검을 통해서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차단한다. SQL injection 기능은 DB에서 SQL 구문의 취약점을 점검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보안 취약점 점검 기능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ing the Launching Time of Android Applications in Real-time (안드로이드 응용 프로그램의 런칭시간 실시간 측정 도구 구현)

  • Kim, Hak-Bong;Lim, Je-Hun;Kim, J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95-96
    • /
    • 2012
  • 응용 프로그램의 런칭시간에 관한 많은 연구를 통해 런칭시간이 길수록 사용자가 불편을 느낀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런칭시간을 최적화하는 다양한 연구가 있어왔다. 이런 연구의 일환으로 본 논문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의 런칭시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했다. 이 도구는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내에 존재하며 응용 프로그램이 화면에 모두 그려지는 순간을 런칭의 끝으로 보고 런칭시간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이 도구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 런칭시간 최적화 기법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도구를 이용하여 모바일 시스템에서 "미리 읽기"(prefetching) 기법이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미리 읽기" 기법은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효과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3D Culture Character Modeling Tools for Establishment (창업을 위한 3D문화캐릭터 모델링 도구에 관한 연구)

  • Park, Hea-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72-37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도래한 4차산업사회 속에서 문화콘텐츠인 캐릭터를 무료 3D모델링 도구를 이용하여 디자인하고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하여 개인맞춤형 캐릭터를 제작 및 판매 하고자 하는 사업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단계로서 3D 모델링 도구의 전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3D 캐릭터 모델링 도구들 중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기 편한 도구들을 정리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제작하고자 하는 캐릭터의 특성에 맞는 도구를 선택하고 학습하여 성공적인 창업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obile app authoring tool with category builder and hybrid app generator (카테고리 빌더와 하이브리드앱 생성기를 통한 모바일앱 저작도구)

  • Hyun, Cheol;Kim, S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9-70
    • /
    • 2012
  • 본 연구는 콘텐츠 배포를 위한 앱 제작에 있어 모바일앱 개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저작도구에 관한 것이다. 카테고리 빌더란 콘텐츠의 특성과 수요자의 특성을 분석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모바일웹을 생성할 수 있는 도구이며, 하이브리드앱 생성기는 모바일웹 코드를 기반으로 네이티브 코드와 통합된 하이브리드 모바일앱을 생성하는 도구이다. 모바일앱 저작도구는 모바일앱의 분류에 맞게 사전에 카테고리를 빌드 후 제공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을 수정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은 HTML5 표준에 맞는 모바일웹페이지로 생성된 후 하이브리드앱으로 변환한다. 제안된 모바일앱 저작도구는 모바일앱 개발의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 PDF

A Methodology to Support Programming Transparency for Distributed Programming Tool (분산프로그래밍 도구의 프로그래밍투명성 지원 방안)

  • 이상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52-54
    • /
    • 2003
  •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동작할 프로그램을 보다 쉽게 작성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분산프로그래밍 도구들이 개발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도구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도구가 요구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을 숙지하여야 하는 부담을 감수해야 한다. 이런 부담은 분산프로그래밍 도구가 만족할 만한 프로그래밍 투명성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고, 프로그램 작성시, 문제의 본질에만 집중하는 것을 방해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투명성을 지원하는 분산프로그래밍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테스트를 위하여 독자적인 분산실행환경을 설계하였으며, 이 환경에서 동작하는 분산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단위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분산처리를 위하여 특별히 정의된 문법(Syntax)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으며, 후처리만을 통하여 설계된 분산실행환경에서 분산프로그램의 역할을 수행한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Supporting Tool of O-O Framework (객체지향 프레임워크의 설계 지원도구에 관한 연구)

  • 김형록;김강태;배제민;이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561-563
    • /
    • 1998
  • 객체지향기술의 주요 목표는 구조화된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것과, 좀더 확장가능하고 재사용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재사용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에 d있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분야 중 객체지향 프레임워크의 설계 지원도구에 대해 연구하였다. 객체지향 프레임워크는 분석과 설계 정보의 재사용을 포함하는 넓은 스케일의 재사용을 제공하는 재사용가능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계 프로세스로 우선 3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분석으로 객체를 추출하고, 객체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며, 객체들간의 연결관계를 정의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공통구조를 추출한다. 객체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며, 객체들간의 연결관계를 정의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공통구조를 추출한다. 여기에 영역 전문가로부터의 영역지식과 기존의 해결안인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여 프레임워크의 구조를 설계한다. 그리고 이런 설계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도구들이 필요한데 이들 설계 지원도구로는 공통구조를 모델링하기 위한 모델링 도구와 영역지식에 대한 관리도구, 디자인 패턴 지원도구가 포함된다.

A Visual Analysis Tool for LOTOS Specifications (LOTOS 정형명세의 시각적 분석 지원 도구)

  • Jo, Su-Seon;Lee, Gwang-Yong;O, Yeong-Ba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12
    • /
    • pp.3117-312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LOTOS 정형 명세의 확인을 위한 시각적 분석 지원 도구의 개발을 소개한다. 이 도구는 대표적인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데 명세의 시각적 시뮬레이션과 시각적 확장 기능이 그것이다. 정형 기법 지원도구에서 명세의 분석을 위한 시각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시스템 개발에 실질적인 적용 사례가 드문 현실에서, 산업계 등으로 정형기법을 확산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정형 기법 지원 도구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 부분을 소홀히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LOTOS 명세 작성자로 하여금 비주얼 전이 트리를 이용하여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명세를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