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구적 활용

Search Result 3,96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Tool to Support Metric-Based Project Management (메트릭 기반 프로젝트 관리 지원을 위한 도구 제안)

  • Kim Hyun-Chong;Hwang Young-Soon;Choi H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345-348
    • /
    • 2004
  • 측정 및 분석을 위한 도구 지원은 지속적인 측정 프로그램을 유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지속적인 측정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는 측정된 데이터가 프로젝트의 계획 및 제어에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도구를 의미한다. 하지만 대부분 프로젝트 관리도구는 측정된 데이터에 기반한 프로젝트 관리가 아닌 프로젝트 계획을 지원해주는 도구에 더 초점을 두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 및 분석활동을 통한 메트릭 기반 프로젝트 관리활동을 지원하는 프로젝트 관리도구를 제안한다.

  • PDF

A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Ehnancing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공개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문제해결력 향상 교수학습 모형개발)

  • Kim, GilYong;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499-502
    • /
    • 2009
  • 7차 교육과정은 응용소프트웨어를 얼마나 잘 다루는지와 같은 컴퓨터를 도구적 활용을 중점으로 구성되었다. 컴퓨터 과학의 기본원리를 적용하여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키고 이를 구현하기 이한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방법과 절차라는 대영역이 포함되었다. 정보과목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에서 다양한 문제를 이해 분석하여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있어 원활한 교수학습을 위한 다양한 방법과 도구들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상용소프트웨어들의 비용부담과 언어적 문법, 에러발생에 대한 해결에 비중이 높아 학습자가 겪는 인지적 부담을 감소 할 수 있는 EPl(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인 Scratch 프로그래밍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

A Design and Effect of Maker Education Using Educ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in Elementary Online Environment (초등 온라인 환경에서 교육용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수업 설계 및 효과)

  • Kim, Keun-Jae;Han, Hyeong-J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6
    • /
    • pp.61-71
    • /
    • 2021
  • In a situation where the online learning is expanding due to COVID-19, the current maker education has limitations in applying it to classes. This study is to design the class of online maker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in elementary school. Also, it is to identify the responses to it and to confirm whether it helps improve the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class was designed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redesign of the curriculum. Using interveiw, the responses of instructor and learners were identified. Pre- and post-test using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class consisted of ten steps including empathizing, defining making problem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and tool, designing algorithms and coding using remixes, etc. For computing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practical maker activities using educ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education can be practically applied even in the online environment.

Skemp's concept development of underachievers' analytic geometry using the exploratory software, GSP & Excel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해석기하에서 학습부진학생들의 개념형성에 관한 연구: 관계적.도구적 이해를 중심으로)

  • Yoon, In Jun;ChoiKoh, Sang Soo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5 no.4
    • /
    • pp.643-67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exploratory activities using Excel and GSP which are exploratory software, in learning analytic geometry affected on the underachievers' analytic geometry concept development process. The subjects of 5 students who received the 8th~9th grades from their examination of the last semester, participated in a total of 7 units based on Skemp's intelligent learning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two important cases found to nearly achieve the category $R_2$. One was reflective thinking could happen through exploratory software in category $R_1$. The other was the exploratory activities which could have the same effectiveness as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in category $I_2$, as Skemp mentioned that there is a room to be achieved in the elementary level when such relational understanding is achieved.

  • PDF

A Study on the Form Analysis Tools Based on the User's Emotional Response (사용자의 감성반응에 기초한 형태 분석 도구에 대한 연구)

  • Choi, Min-You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2 no.2
    • /
    • pp.233-242
    • /
    • 2009
  • Recently the studies on user-centered design and form-development have become issues of general interest as the key methods for successful design. For form analysis on user it is important needs that an integrated approach of existing methods and development of expert tool for designer. Moreover analysis methods and tools have to meet with the designers needs of visual result, clear direction, concrete formative factor, user's emotional response and designer-friendly interface. This study proposed the main concepts of form analysis tool based on the user's emotional response ; integrated management, variables set-up, visual result of analysis, in-depth analysis with data mining and correlation, and reinforcement of user-centered analysis. Specific analysis tool consists of 5 functions: Project Management, Analysis Frame Set-up, Data Input-output, Basic Analysis, and In-depth Analysis. The feasibility of proposed tool was verified by a case study of mobile phone design in under-graduate class.

  • PDF

Development of ICT Lesson Plans for 1st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중등 수학과 1,2학년 ICT활용 교수.학습과정안 개발.연구)

  • Whang, Woo-Hyung;Kim, Min-Kyo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86-494
    • /
    • 2004
  • 본 연구는 ICT를 활용하여 수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을 만드는 과정을 통하여 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ICT활용 교육방법의 도입과 함께 예비 수학 교사들의 ICT활용 능력을 키우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로써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을 학교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단순히 방법적 측면에서의 도구적 교체가 아닌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한 학습과정의 질적 개선을 추구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둔다 수학교육론시간에 학부생을 대상으로 직접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을 만들었으며 중학교 수학 1, 2학년 교과 내용을 211개의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 및 교육과정 분석 교수학습 모형정립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내용적 연구와 함께 과정안의 구현을 위한 기술공학적 실습 과정을 병행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Improvement and Practical Use on the Website Measurement Scale (웹사이트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에 대한 연구)

  • Kim, Dae-Hwan;Bae, Young
    • Survey Research
    • /
    • v.10 no.1
    • /
    • pp.91-112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website measurement scale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tendency, and to test the practical use of it. The empirically current studies suggest the information, connectivity, practical function, lay - out, design, interlace, system, service as a website measurement scale. However. this study suggest a new website measurement scale including communication between internet users, platform for editing information. The test of a practical use about measurement scale progressed by a survey on computer access. A sample of 300 internet users answered the question based on a new website measurement scal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rimary factors of the website measurement scale are information, user interface, website service, and communication.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user's website preference changed as compared with the past.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information factor and communication factor. And the communication factor suggested on this study has effected in user's website satisfaction. Results imply that the idea of web2.0 is practically an important strategy for improving website satisfaction. And, because influence of primary factors on the website satisfaction has changed continually, strategic planning will have to be kept up.

  • PDF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Vocational Skills Education Using Data Analysis Tools R (데이터 분석도구 R을 활용한 직업능력 교육 선호도 분석 연구)

  • Lee, Hyung-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45-346
    • /
    • 2019
  • 데이터 분석도구 R은 대용량 데이터의 고급 분석과 통계 계산을 위한 스크립트 언어로 데이터의 자료 분석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 평균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새로운 직업들의 등장으로 인하여 사회 구성원들의 전직이나 이직에 대비하기 위한 다양한 직업교육 요구가 제시되고 있다. 또한 사회 구성원들의 교육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직업교육에 대한 요구 역시 보다 세분화되고 있으며 보다 높은 수준의 학습기회에 대한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능력 교육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고 직업능력 교육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의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도구 R을 활용하여 선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Developing a physical environment and a procedural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in 3D virtual reality (3D 가상현실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연습을 위한 물리적 환경 및 절차적 모형 개발)

  • Cheong, Dong-U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3-39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3D 가상공간인 세컨드라이프에서 예비교사의 성공적인 수업연습을 위한 물리적 환경 및 절차적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수행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연습 관련 이론 탐색 및 문헌 연구를 통해 성공적인 수업연습을 위한 필수조건들을 탐색하였으며, 이 조건들로부터 수업연습을 위한 절차적 모형의 시안을 개발하였다. 둘째, 세컨드라이프에서 수업연습을 위해 필요한 교실의 물리적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실의 물리적 구성요소는 교실공간, 칠판, 교사용 책걸상, 학생용 책걸상, 출입문, 창문, 게시판, 프리젠테이션 도구 등이었다. 셋째, 세컨드라이프에서 수업연습을 위해 필요한 의사소통 도구를 탐색하였다. 탐색 결과, 텍스트 대화 도구, 음성 대화 도구, 노트카드 사용 도구, 공지사항 사용 도구 등이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 결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세컨드라이프내의 교실 안에서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교사의 수업연습을 수행하였다. 이 수행결과에 기반하여 세컨드라이프에서의 예비교사의 수업연습을 위한 절차적 모형을 완성하였다.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에게 실제적 수업연습(field-based teaching practice)에 앞서, 3D 가상공간인 세컨드라이프에서 실험적 수업연습(laboratory-based teaching practice) 경험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Educational Application for Physical Computing using Android Smartphone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을 위한 교육용 앱의 개발)

  • Kim, Tae-Woo;Chun, Seok-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2 no.6
    • /
    • pp.639-649
    • /
    • 2018
  • Physical computing, a concrete operational activity using tools, can help children to understand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by observing interactions between a computer and the real world directly.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develop an android application to utilize students' smart phones as a tool of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The application includes one class designed to collect data using android smart phone sensors and another designed to transfer the data to a computer which students can use to learn programming. The physical computing application can be us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more easily in schools not equipped with physical computing t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