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 활용

Search Result 17,953,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Methods for screening time series data according to data quality and statistical status (품질 및 조건 기반 시계열 데이터 선별 활용 방법)

  • Moon, JaeWon;Yu, MiSeon;Oh, SeungTaek;Kum, SeungWoo;Hwang, JiSoo;Lee,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99-40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불완전한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기 전 데이터를 선별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시계열 데이터의 품질은 수집 네트워크와 수집 기기의 시간적 변화와 같은 가변적 상황에 의존적이므로 불규칙적으로 이상 혹은 누락 데이터가 발생한다. 이때 에러를 포함하였다는 이유로 일괄적으로 데이터를 제거하여 활용하지 않거나, 혹은 누락 데이터의 구간을 조건 없이 복원하여 활용한다면 원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시계열 데이터의 구간에 대한 누락 데이터의 통계적 정보를 축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활용 목적과 활용 가능한 품질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활용 불가능한 데이터라고 판별하고 미리 분석 등의 데이터 활용 시 자동 제외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실험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활용 목적과 상황에 적응적으로 누락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빠른 활용 판단이 가능하며 보다 나은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Flood Damage Map with Crowdsourcing Data (크라우드 소싱 데이터를 적용한 홍수 피해지도 활용방안 연구)

  • Lee, Jeongha;Hwang, Seo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0-310
    • /
    • 2022
  • 최근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웹(Web)상에는 다양한 데이터들이 실시간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해당 내용은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재난과 관련 상황에서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데이터가 활용되기도 하며 기존의 수치 계측 데이터가 아닌 하나의 센서 역할을 하는 개인의 비정형데이터의 업로드가 다양한 재난 모니터링 부분에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홍수 등의 자연재해 발생 시 개개인의 업로드 한 웹 데이터에는 시간에 따른 인구의 유동성이나 간단한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여 실제 피해의 정도를 보다 빠르고 다양한 정보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홍수 발생 시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수문 데이터는 피해의 규모가 크게 예측되는 대하천 위주로 관측이 이루어지며 관측지역과 데이터의 양이 한정되어있어 비정형데이터를 함께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에 있는 비정형 데이터들을 추출해내는 웹 크롤러를 구성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추출한 데이터들에 대해 강우 사상과 공간적 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크라우드 소싱 데이터를 적용한 홍수 피해지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erception of Educational Big Data Utilization and Current State of Data Utilization of Officials of the Provicial Office of Education (교육청 공무원의 데이터 활용실태 및 교육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인식 연구 - A도교육청을 중심으로)

  • Shin, Jong-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9
    • /
    • pp.39-47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the actual state of data utilization and the perception of big data utilization by officials of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for big data utilization. An online survey of 440 people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types and sources of data used for work varied, and data collection and refining were the most difficult parts. The infrastructure for data utilization was insufficient and the most necessary factor. The purpose of big data utilization wa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olicy agenda.

제조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기술 활용

  • Jang, Yeong-Jae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1
    • /
    • pp.30-35
    • /
    • 2012
  • 빅데이터의 패러다임과 함께 데이터의 활용과 이를 통한 기업 운영 혁신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소셜 미디어 분석이나 고객 마케팅 분석등과 같은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의 활용 사례가 속속히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산업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과 가치에비해 빅데이터의 제조업에 대한 응용에 관한 연구나 관련 문헌은 타 산업이나 응용분야에 비해 미약한 편이다. 본 글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이 제조업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세가지 다른 형태의 데이터 분류 - 제조장비 운영데이터, 운용 통합데이터, 고객 경험 데이터 - 를 통해 소개하고 각 분류별 실제 사례를 통해 제조업체에서 실질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Flood monitoring and prediction using online unstructured data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한 홍수 모니터링 및 예측)

  • Lee, Jeong Ha;Hwang, Seo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8-118
    • /
    • 2019
  • 현재 홍수예보는 정형데이터인 유량 및 수위 등을 활용하여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사람들이 체감하는 홍수에 대한 위험도는 홍수예보 발령과는 달라 홍수예보가 이뤄지지 않은 지역에서 인명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수위 측정이 이뤄지지 않는 소규모 하천이나 사람들의 유동성이 큰 도심지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체감 정도 및 인구의 유동성을 고려한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해야 한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Commuinty, SNS)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정형데이터 센서 이외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개개인이 작성하는 글은 실시간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인구의 유동성 및 시 공간적 데이터를 얻기에 유용하여 활용성이 매우 높은 비정형데이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2018년에 발생했던 강우사상과의 패턴을 비교하여 홍수예보에서의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홍수와 관련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시 공간적 정보 및 추출이 가능한 웹 크롤러(Web Crawler)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와 실제 홍수사상을 비교 분석을 한 결과 강우량 및 수위와 해당 지역에 대한 데이터의 양이 유사한 패턴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리드타임을 충분히 확보한다면 홍수예측에 활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주요-대4-시드사업인 '커뮤니티 빅데이터 패턴 해석을 통한 수난(水難) 발생 및 규모 예측 기술 개발(20190126-001) '로 수행되었습니다.

  • PDF

재난정보관리를 위한 재난안전데이터 표준화 기술 개발

  • Kim, Byeong-Sik;Lee, Dong-Seop
    • Water for future
    • /
    • v.52 no.1
    • /
    • pp.40-51
    • /
    • 2019
  • 본 연구를 통해 재난안전데이터의 공동활용을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의 데이터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4차 산업혁명에서의 데이터의 위치와 빅데이터에서의 데이터 융합, 공공데이터 이용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재난안전정보 뿐만 아니라 데이터는 수요자 중심의 활용과 이용으로 새로운 데이터의 가치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재난안전정보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동활용을 위해 재난안전정보 관점에서 비정형 자료의 데이터 수집,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및 데이터의 표준(안), 재난안전정보의 교환 표준(안) 및 공동활용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재난안전정보의 공동활용 체계를 구축하여 정보공유 및 재난안전정보의 추적, 활용이 가능하게 하여 신속하게 대국민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경험기반의 재난관리 및 지능형 재난관리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earning model management platform based on hash function considering for integration from different timeseries data (서로 다른 시계열 데이터들간 통합 활용을 고려한 해시 함수 기반 학습 모델 관리 플랫폼)

  • Yu, Miseon;Moon,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45-48
    • /
    • 2022
  • IoT 기술의 발전 및 확산으로 다양한 도메인에서 서로 다른 특성의 시계열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단일 목적으로 수집된 시계열 데이터만 아니라, 다른 목적으로 수집된 시계열 데이터들 또한 통합하여 분석활용하려는 수요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파편화된 시계열 데이터들을 선택하여 통합한 후 딥러닝 모델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해시함수 기반 학습 모델 관리 플랫폼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특정되지 않은 데이터들을 기반하여 모델을 학습하고 활용할 경우 생성 모델이 개별적으로 어떤 데이터로 어떻게 생성되었는지 기술되어야 향후 활용에 용이하다. 특히 시계열 데이터의 경우 학습 데이터의 시간 정보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해당 정보의 관리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시 함수를 이용해서 생성된 모델을 계층적으로 저장하여 원하는 모델을 쉽게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ICT Convergence Technology and between Heterogeneous Industry Data with User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사용자의 행동패턴 정보를 이용한 ICT 융합 기술과 이종 산업간 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 Cho, Kyeong-Rae;Jeon, You-B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1084-1087
    • /
    • 2015
  • 최근 사용자들의 대량의 디지털 데이터들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종산업간 빅데이터가 제한된 시간에 빠르게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백업 고속화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종 산업사이에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이용한 ICT 융합기술과 데이터 융합기술이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사업부문 측면에서 빅데이터 활용 분야와 그룹차원의 데이터 활용 관점과 이종 산업간 데이터 활용 융합 관점 기업 간 또는 이종 산업 간에 데이터를 융합하여 각자가 구축해 놓은 기반을 함께 활용하는 사례를 통해서 각 기업간의 유 무선 융합 신규서비스 발굴 등을 고찰해 보았다.

Verifying and Improving Usability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n Metadata Management (메타데이터 관리 국제 표준 활용성 향상 및 검증 방안)

  • Jeong,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9-12
    • /
    • 2014
  • 이 논문에서는 ISO/IEC JTC 1/SC 32/WG 2에서 개발한 메타데이터 관리 표준에 대한 검증 및 활용성 향상 방안을 제안한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데이터라고 정의하며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해석 및 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보로서, 데이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데이터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된다. ISO/IEC JTC 1/SC 32는 데이터 교환 및 관리를 위한 표준을 개발하며 특히 WG 2는 메타데이터 관리를 위한 다양한 표준을 개발한다. WG 2에서 다양한 많은 표준을 개발하였으나 검증 및 활용성 측면에서 몇 가지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WG 2에서 개발한 표준에 대한 검증 및 활용성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서술한다.

  • PDF

A Study on Metadata for Using Construction Information (건설 정보 활용을 위한 메타데이터 연구)

  • Kim, Jin-Man;Hwang, Doo-Won;Song, Young-Woong;Choi, Yoon-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848-852
    • /
    • 2007
  • Recently the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have been occurred to the various demand of information. Also information quantity is increasing. But using information have been stated in low why large information quantity. The other side, the various Metadata have been proposing in the many field for an effective search and an application. So the Metadata for using construction information must be built. In this study, we have founded information of construction companies, present condition of information, concept of Metadata and recent report. And we have presented the Metadata system model and building process of information system. We have analyzed the Metadata element of construction. This study is the foundation for the Metadata using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