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 표준

Search Result 4,475, Processing Time 0.064 seconds

과학기술데이터 신뢰성 평가를 통한 참조표준 확립에 관한 연구

  • Chae, Gyun-Sik
    • STIMA Bulletin
    • /
    • s.5
    • /
    • pp.24-37
    • /
    • 2006
  • 과학기술테이터는 엄격한 평가기준에 의해 신뢰성과 정확성이 보장된 참조표준(standard reference data)값을 지닐 수 있어야 한다. 참조표준은 측정표준을 바탕으로 구하여진 결과 값을 표준화시키는 작업으로서 테잍의 생산조건, 실험환경, 측정방법, 데이터 처리 등이 검토되어 참조데이터(reference data)와 구분된다. 참조표준은 '공인된 수치데이터'로 표현되고 이는 측정결과의 신뢰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불확도(uncertainty)로 표기된다.본고에서는 참조표준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평가되지 않은 과학기술 데이터가 어떤 평가 과정을 거쳐 참조표준으로 분류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소재물성분야를 예로 살펴보았다.

  • PDF

과학기술데이터의 신뢰성

  • Kim, Chang-Geun;Bang, Geon-Ung;Chae, Gyun-Sik;Park, Ju-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31-31
    • /
    • 2010
  • 국가표준기본법에 명시되어 있는 3대 표준분야는 측정표준, 성문표준, 참조표준이다. 특히, 참조표준은 엄밀한 평가 과정을 거쳐 그 신뢰성이 보장된 수치 데이터를 의미한다.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평가기준 수립, 평가기준에 의거한 데이터 평가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체계를 갖추기 위하여 국가참조표준센터가 2006년에 설립되었으며 2010년 현재 17개의 데이터센터가 지정되어 각 담당 분야별로 참조표준을 확립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참조표준의 개념, 체계 그리고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Verifying and Improving Usability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n Metadata Management (메타데이터 관리 국제 표준 활용성 향상 및 검증 방안)

  • Jeong,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9-12
    • /
    • 2014
  • 이 논문에서는 ISO/IEC JTC 1/SC 32/WG 2에서 개발한 메타데이터 관리 표준에 대한 검증 및 활용성 향상 방안을 제안한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데이터라고 정의하며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해석 및 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정보로서, 데이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데이터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된다. ISO/IEC JTC 1/SC 32는 데이터 교환 및 관리를 위한 표준을 개발하며 특히 WG 2는 메타데이터 관리를 위한 다양한 표준을 개발한다. WG 2에서 다양한 많은 표준을 개발하였으나 검증 및 활용성 측면에서 몇 가지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WG 2에서 개발한 표준에 대한 검증 및 활용성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서술한다.

  • PDF

A Study on Design of Metadata Management Demonstration System for damage prediction from storm and flood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메타데이터 관리 시범 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

  • Lim, So Mang;Baeck, Seung Hyub;Hwang, Eu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2-472
    • /
    • 2017
  • 재해로 인한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이를 예방하기 위한 풍수해 피해예측의 필요성이 증가하였고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타 부처 및 각 지자체에서는 각종 재해지도들을 작성하여 만들어진 재해지도는 작성 유형과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와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데이터 정보를 표준화 시키고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 연계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메타데이터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데이터 변화의 근원과 변화의 흐름을 말한다. 메타데이터 관련 표준으로는 ISO19115(국제표준), KSXISO19115(국가표준), TTAS.KO-10.0139(유통목록 표준), TTAS.IS-19115(관리용 표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표준을 준용하여 풍수해 피해 예측지도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및 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메타데이터 관리 시범 시스템 구축을 위한 표준, 정보의 특성, 사용자 수준 등을 고려하여 설계 기본방향 설정하였으며,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정보 메타데이터 표준안 수립에 반영하였다. 그 결과, 메타데이터 패키지는 총 9개의 섹션(클래스)으로 구성하여 정의하였고 하위개체를 설정 및 연계하여 메타데이터 개체셋 정보를 구성하였다.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메타데이터 관리 시범 시스템 설계 제시를 위해 DB항목 조사 및 도출, 데이터 연계 활용 모델 구축, 프로토타입 개발순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표출 대상 데이터 항목별 분류, 방재활용 단계, 지역구분 등을 주제로 데이터 Mapping 자료를 작성하였고, 설계 기본 방향에 의하여 설정된 기준으로 데이터 항목별 메타데이터 DB를 작성하여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메타데이터 관리 시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표준 데이터 및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표준 데이터 모델 구축에 활용 가능하며 표준화 연계활용을 위한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국제 표준 지문 데이터포맷에 대한 표준 적합성 시험 도구의 설계 및 개발

  • Jang, Ji-Hyeon;Kim, Hak-Il
    • Review of KIISC
    • /
    • v.17 no.5
    • /
    • pp.66-75
    • /
    • 2007
  • 이기종 지문입력기간의 호환 성능은 인터페이스 표준을 준용하면서 데이터 표준을 준용한다는 전제하에 알고리즘의 호환성이 이루어졌을 때 다른 시스템과의 충분한 호환성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호환 가능한 시스템이 만들어졌을 때 이를 평가하여 시스템 간 호환성 정보를 평가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ISO/IEC JCT1/SC37의 지문 데이터 포맷기반의 데이터 포맷 표준 적합성 시험 도구 설계 및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지문 데이터포맷 적합성 시험도구는 지문 데이터 표준에 요구된 사항들이 정의된 것처럼 제대로 구현되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개발한 시험도구는 다양한 지문센서에 기반한 국내 제품을 이용하여 데이터 포맷 적합성 평가를 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 제품의 데이터 포맷이 표준에 적합하게 개발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전개 중인 바이오 인식 관련 국제 표준을 국내 지문인식기기에 적용 및 확산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겠다.

An Implementation of ISO/IEC 13249-8 with Oracle (오라클을 이용한 ISO/IEC 13249-8 구현)

  • Joo, Young-Min;Lee, Suk-Hoon;Kim, Jang-Won;Jeong, Dong-W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89-92
    • /
    • 2011
  • 국제 표준 ISO/IEC 11179는 메타데이터를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 표준으로서 메타데이터의 공유 및 재사용으로 인하여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현재 많은 나라에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들이 구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들은 국제 표준을 기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에 접근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의 부재로 인해 사용자가 상이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에 접근할 때 각각 다른 접근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국제 표준 ISO/IEC 13249-8 MRA(Metadata Registry Access)가 제안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국제 표준으로 제정중인 MRA에 기반하여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개발한다. SQL 표준에 있는 사용자 정의 타입을 오라클 환경에서 사용하여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를 물리적으로 구축하고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에 접근하는 멤버함수를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에 접근하기 위한 MRA 인터페이스를 검증하고 평가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상이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들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XML과 EDI에서 제품데이터(STEP) 이용

  • 유상봉;윤홍규;김철환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07b
    • /
    • pp.535-547
    • /
    • 1999
  • 최근 인터넷의 보급과 전자거래의 확산을 통한 산업 정보화의 필요성이 인식되고 국가와 기업체에서 이를 위한 다양한 과제가 추진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거래 표준 중 제품 정보의 공유 및 교환의 표준으로 개발된 STEP(STandard for Exchange of Product model data), 문서 표준인 XML, 그리고 EDI 표준인 EDIFACT(EDI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의 최근 동향과 상호 데이터 교환의 필요성을 소개한다. 그리고 상호 스키마 레벨의 매핑 관계 정의와 구현을 통한 이들 CALS 표준간의 데이터 교환 기술을 제시한다. 이러한 데이터 변환 기술은 전자거래의 B-to-B 및 B-to-C에 모두 적용되어 제품 데이터의 활용을 원활히 한다.

  • PDF

Development of Standard Reference Data for Industrial Application (산업에서 활용되는 참조표준 개발 현황)

  • Kim, Chang-Geun;Park, Ju-Geun;Chae, Gyun-Sik;Bang, Geon-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20
    • /
    • 2009
  • 국가참조표준센터가 2006년에 설립된 이후 우리나라에서 필요로 하는 참조표준 개발이 궤도에 오르기 시작하였다. 일차적으로 참조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기본 체제로서 국가참조표준체계가 지경부 고시에 의해 확립되었고 이 체계에 따라 현재 12개의 데이터센터가 지정되어 각기 분야별로 참조표준을 확립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참조표준 개발 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함과 동시에 산업계에서 이것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제시하였다.

  • PDF

The Taxonomy of Dirty Data for MPEG-2 TS (MPEG-2 표준을 위한 오류 데이터 분류)

  • 곽태희;최병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691-693
    • /
    • 2001
  • DASE(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는 데이터 방송을 위한 국제 표준으로 MPEG-2 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Transport Stream) 형식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소스코드 대신 입력 데이터 명세 정보만을 공개하는 특성상 DASE 시스템의 오류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데이터에 오류를 삽입하는 방법이 적합하고 이를 위해 MPEG-2 표준을 위한 오류 항목을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위한 데이터 분류인 Kim’s et al 분류를 근거로 하여 MPEG-2 표준을 위한 오류 항목을 개발하였다. 이는 DASE 시스템의 오류 삽입 테스트 기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상파 DMB 국내표준화와 국제표준화

  • Kim, Dae-Ju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5
    • /
    • pp.80-84
    • /
    • 2008
  • 지상파 DMB는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인 Eureka-147 표준에서 규정한 스트림 모드를 통하여 MPEG-4 AVC 비디오 압축 데이터, MPEG4 BSAC오디오 압축 데이터, 그리고 대화형 데이터 방송을 위한 MPEG-4 BIFS 데이터를 MPEG-4 S와 MPEG-2 TS로 다중화한 후, RS(204, 188) 및 길쌈 끼워 짜기에 의한 추가 오류 보호 메커니즘이 적용된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초기 시스템의 주요 목적은 오디오 방송이었으나, 국내에서 이동 수신에 탁월한 DMB의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동영상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을 표준화한 규격이다. 모바일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을 위한 표준 방식은 정보통신부에서 2003년 결정되었고 세부적인 표준 규격초안은 차세대방송포럼에서 만들어져 TTA DMB 프로젝트그룹에서 제안되어 심층적인 토론을 통해 2003년 10월 1차 버전이 제정되었다. 국내표준은 개정과 후속표준을 제정하였고 국제표준화가 추진되어 2005년 6월 유럽표준으로, 2007년 12월 ITU국제표준으로 제정 반영되었다. 본고에서는 독자들은 직관적 이해력을 돕고자 시배열 표로 지상파 DMB송수신 정합표준에 대한 국내표준화 추진 현황을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