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데이터 분배 서비스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73초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빅 데이터 서비스 분배 방법 (Service Distribution Method of Big Data for Smartphone User)

  • 정윤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5-276
    • /
    • 2014
  • 스마트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서비스 받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자가 많아지면서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속도가 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빅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서비스 속성 및 특징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배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서비스 목적, 데이터 속성, 시간과 접속 횟수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분할하여 서비스 제공을 자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 서비스 정보를 서버에 보관하여 추후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려는 서비스의 질과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 PDF

국내 이동통신 서비스의 추가 주파수분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ditional Spectrum Allocation for Domestic Celluar Mobile Service)

  • 김종호;이재욱;박덕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3-259
    • /
    • 2003
  • 최근 각 이동통신사업별로 기존의 CDMA 방식을 이용하여 IMT-2000의 서비스에 해당되는 대용량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각 사업자 별로 할당된 현재의 주파수대역으로는 영상서비스를 기본으로 하는 대용량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새로운 주파수대역의 추가 분배가 필요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ITU-R에서 제시하고 있는 권고안을 기초로 국내 이동통신서비스 확대에 요구되는 추가 스펙트럼 요구량을 산출하였으며, 디지털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스펙트럼 효율의 정량화 및 추가 소요 주파수 대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정량화 하였다.

  • PDF

cdma2000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상호 인증과 키 분배 프로토콜 (Efficient mutual authentication and key distribution protocol for cdma2000 packet data service)

  • 신상욱;류희수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59-6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DIA.METER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하부 구조를 가지고 Mobile IP 액세스 기법을 사용하는 cdma2000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서 MN(mobile node)와 AAAH(home AAA server)간의 상호 인증과 Mobile IP 개체들간에 안전한 세션키 분배를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DIAMETER AAA 하부 구조론 가정하며 DIAMETER AAA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인증과 키 분배 프로토콜의 시큐리티 요구 사항들을 모두 만족한다.

  • PDF

암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안전한 인터넷 뱅킹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e Internet Banking System using Cryptography Library)

  • 김진묵;유황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제13회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447-464
    • /
    • 2000
  •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급속도로 발전하는 인터넷 환경의 웹 서비스 중에서 인터넷 뱅킹 시스템은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 중의 하나지만, 아직까지 많은 보안상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보안상의 문제들 중에서 사용자 인증에 관한 부분, 데이터 암호화에 관한 부분, 키 분배 문제에 관한 부분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해 공개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암호 라이브러리인 Crypto++3.1을 이용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전한 인터넷 뱅킹 시스템인 SIBS(Secure Internet Banking System)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SIBS는 빠른 데이터 암호화 처리를 위해 IDEA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데이터 암호화에 사용할 키를 분배하기 위해서 Diffie-Hellaman키 분배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또한, 사용자의 인증을 위해 X.509형식의 인증서를 이용하기 위해서 SSLeay를 설치하여 인증서(Certificate)를 발급 받는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인터넷에서 SIBS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해 빠르고 편리한 접근이 용이하고,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지식이나 특별한 조치가 없이도 빠른 데이터 암호화 처리와 인증서를 이용한 확실한 사용자 인증을 보장 받을 수 있다.

  • PDF

NOD 시스템에서 오디오와 비디오 데이터 Push에 따른 Precaching 연구 (A Study on Precaching according to Push Technology for Audio and Video Data in NOD(News On Demand) System)

  • 박성호;김광문;송기욱;정기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23-327
    • /
    • 1998
  • 컴퓨터와 통신망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언론 기관에서 전자신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되는 전자신문은 텍스트 위주의 정적인 정보를 주고 서비스 하며,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찾아 다니는 pull 기술을 기반으로 서비스한다. 그리고 사용자 맞춤 기능을 제공하기 못하므로, 불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을 낭비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지원하는 NOD(News On Demand)시스템에서 텍스트 데이터 뿐아니라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push 하므로써 서버의 load를 분배시키고 사용자에게 실시간성을 제공하는 NOD 분배 서버를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데이터인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사용자 시스템으로 Push할 때, 사용자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상태 등을 고려하여 실시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정 Push 량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측정하였다.

  • PDF

cdma2000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상호 인증과 키 분배 프로토콜 (Efficient mutual authentication and key distribution protocol for cdma2000 packet data service)

  • 신상욱;류희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07-11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DIAMETER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하부 구조를 가지고 Mobile IP 액세스 기법을 사용하는 cdma2000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서 W(mobile node)와 AAAH(home AAA server)간의 상호 인증과 Mobile IP 개체들간에 안전한 세션키 분배를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DIAMETER AAA 하부 구조를 가정하며 c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인증과 키 분배 프로토콜의 안전성 요구 사항들을 모두 만족한다. 또한 1xEV-DO에 대한 패킷 데이터 세션 하이재킹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제안된 기법에 의해 분배된 키를 1xEV-DO 무선 인터페이스 패킷 데이터 보안을 위한 키 생성에 적용한다.

데이터 분배 서비스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Data Distribution Service System)

  • 박충범;권기정;차다함;최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A)
    • /
    • pp.153-154
    • /
    • 2007
  • 응용프로그램에서 담당하던 데이터 교환을 대행하는 통신 미들웨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동적으로 네트워크 도메인을 형성하고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를 빈번히 주고받는 통신환경에서는 데이터 중심 발간/구독 방식의 데이터 교환이 유리하며 OMG의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표준규격에서 이러한 방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MG의 DDS 표준 규격을 준수하고 시스템 관리 자동화가 가능한 데이터 분배 서비스 시스템인 ReTiCoM을 설계하였다.

  • PDF

PKMv2 RSA 기반 인증에서의 DH키 분배를 적용한 WiBro 무선네트워크의 인증 및 TEK 생성 (WiBro Network Authentication and TEK establishment using DH key distribution on PKMv2 RSA based authentication)

  • 이형섭;조치현;김경태;윤희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10-1013
    • /
    • 2007
  • 와이브로 서비스는 고속 이동 인터넷 환경 속에서 고속으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무선인터넷 서비스와 달리 이동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제공한다. 이렇게 이동하는 단말에게 양질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보안기술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단말(Mobile Station)과 RAS(Radio Access Stations)간의 인증을 바탕으로 상호 키(TEK:Traffic Encryption Key)를 분배하고 TEK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전송하게 된다. 기존의 인증 프로토콜에서는 RAS에서 단독으로 키를 생성하는 방식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프로토콜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Replay Attack에 대해 DH(Diffie-Hellman) 키 분배(Key Distribution) 방식을 적용하는 프로토콜을 제안함으로써 취약점에 대비 하였다. 이를 통해 RAS에 집중되는 키 생성에 대한 오버헤드를 단말에 분산 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안된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기존의 프로토콜을 사용했을 때보다 보안강도를 높일 수 있다.

  • PDF

데이터 센터 환경에서의 전력 절감을 위한 OS-based Request 분배 기법 (OS-Based Request Distribution Scheme for Power Saving in Data Center Environment)

  • 김용헌;이진;김정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A)
    • /
    • pp.510-513
    • /
    • 2011
  • Green IT의 실현을 위해 컴퓨팅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하고 전력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단일 시스템에서 데이터 센터와 같은 다중 시스템 레벨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데 데이터 센터에서는 전력 절감을 위해 정책을 수립하는 방법으로 Green IT를 실현하게 된다. 대다수의 전력 절감 정책은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를 상황에 맞게 변경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디바이스의 빈번한 전력 상태 변경은 추가적인 전력과 컴퓨팅 오버헤드를 발생시키고, 서비스 품질과 직결되는 성능 저하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센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일 시스템에서 OS를 통해 수집 가능한 정보를 기반으로 요청되는 서비스에 따라 추가적인 오버헤드 없이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찾고 작업을 분배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DID 플랫폼 기반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MyData Service Model Based on DID Platform)

  • 박소현;김현준;이강효;하태균;김경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68-270
    • /
    • 2023
  • 기존 Web2.0 시대의 플랫폼 기업은 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개인 데이터로 다양한 비즈니스를 창출해왔다. 하지만 데이터 제공자인 개인은 해당 수익에서 제외되는 모순된 상황에 놓였다. 이에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적극 관리·통제하면서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인 마이데이터(MyData)가 등장했다. 국내에서는 '20.8월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 신용정보법, 정보통신망법)이 통과되면서 신용정보법에 근거해 금융 분야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존하는 마이데이터 플랫폼은 중앙화된 시스템으로 본래 취지와 다르게 개인의 데이터 소유권과 통제권을 보장하기에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마이데이터 플랫폼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Web3.0 등 변화하는 환경에서 개인의 데이터 주권을 보장하고, 데이터 가치를 공정하게 분배받을 수 있는 DID 플랫폼 기반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모델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