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 배치

Search Result 867,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A Distributive Placement Policy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quests for Video Data (비디오 데이터의 요청 정도에 따른 동적 분산 배치 기법)

  • 안유정;원유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113-115
    • /
    • 2000
  • 주문형 비디오 서버와 같은 작업을 하는 멀티미디어 서버에서 검색 요청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는 데이터 배치 기법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특히 사용자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몇몇 비디오 데이터들은 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동시에 요청되기도 하지만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요청되기도 하므로 인기있는 비디오 데이터일수록 데이터의 서로 다른 많은 부분이 동시에 검색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배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의 인기도 즉 요청 정도에 따라 스트라이핑 폭을 동적으로 결정하는 배치 정책을 제안하고 실험읕 통해 기존의 정책과 비교한다.

  • PDF

수치지도 주기 데이터의 가공 및 자동배치에 관한 연구

  • 김대식;신소영;서동권;박현열;최장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2.11a
    • /
    • pp.127-135
    • /
    • 2002
  • 수치지도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중 주기 데이터는 POI(Point of Interest)라는 원시 데이터의 정확한 위치 및 부가적인 속성정보를 요하는데, 이는 실사와 입력 그리고 여러 단계의 가공 체계를 통하여 구축된다. 본 연구는 구축된 POI로부터 주기 데이터로의 가공 공정에 대해서 수행하였고, 이를 다양한 수치지도 사양에 유연하게 적용하고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자동배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그 결과로 시가지도 영역과 시가지도 외 지역으로 나누어 배치전과 배치 후 결과를 지도 레벨별로 분석하고, 연구 수행 중에 도출된 장점들과 향후 보완점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 PDF

A Data Placement Scheme for the Characteristics of Data Intensive Scientific Workflow Applications (데이터 집약 과학 워크플로우 응용의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배치 기법)

  • Ahn, Julim;Kim, Yoonhee
    • KNOM Review
    • /
    • v.21 no.2
    • /
    • pp.46-52
    • /
    • 2018
  • For data-intensive scientific workflow application experiments that leverage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large amounts of data can be distributed across multiple data centers in the cloud. The generated intermediate data can also be transmitted through access between different data centers.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execution resul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data since the intermediate data generated is used. However, existing data placement strategies do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define a data-intensive tasks and propose runtime data placement in that interval. Through the proposed data placement scheme, we analyze the scenarios considering the number of times in the data intensive tasks defined in this study and derive the results. In addition, performance was compared by analyzing runtime data placement times and runtime data placement overhead.

A Study on Energy-Efficient Deployment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적 배치에 관한 연구)

  • 문준수;이상학;이승관;정태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10-12
    • /
    • 2004
  • 무선 센서네트워크는 센싱 지역에 분산되어 있는 초소형 센서 노드들이 감지/처리한 데이터를 수집노드로 전송하여 원격의 사용자가 센싱 지역의 상황인지를 가능하게 하는 유비쿼터스 컹퓨팅의 기반 네트워크이다. 전력 사용이 극히 제한된 센서 노드를 이용하여 무선 센서 망을 구성, 유지하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망의 형태와 이에 따른 네트워크 배치 전략을 필요로 한다. 클러스터 기반 네트워크의 형태는 밀집도가 높은 센서네트워크에서 데이터병합을 수행하고 노드간 에너지 소비 균형을 이루기 위한 효과적인 구조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기반의 단일 홉 전송 구조에서 데이터 수집률을 높이고 노드간 에너지 사용의 균형을 이루게 하여 네트워크의 생존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네트워크 배치 방법을 제안하였다. 클러스터링 기법에 따른 에너지 소비 모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노드의 적절한 밀집도를 산출하였다. 싱크로부터 멀어질수록, 센서필드의 중앙보다는 외곽에 노드의 배치를 조밀하게 배치하여 네트워크의 생존시간을 늘렸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효율적인 네트워크의 배치가 노드간 에너지 소비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네트워크의 생존시간을 늘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 -Time Analytics System for Network Packet Trend Analysis (네트워크 패킷 트랜드 분석을 위한 실시간 스트림 데이터 분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Park, Seo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72-75
    • /
    • 2016
  • 스마트폰, 센서, 소셜미디어, 웹 서비스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의 폭증으로 인하여 빅데이터의 분석 및 활용에 대한 요구가 커져가고 있다. 특히 스마트 기기의 발달과 사용자 이용 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스트림 데이터는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지만, 기존의 하둡을 이용한 분석 시스템은 응답시간이 지연되어 빠르게 결과를 조회할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증가하면서 람다 아키텍쳐가 등장하였다. 람다 아키텍쳐는 데이터 처리 과정을 배치 레이어와 스피트 레이어로 나누고, 스피드 레이어에서는 배치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스트림으로 유입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가장 최근의 데이터를 빠르게 조회 할 수 있도록 결과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람다 아키텍쳐를 활용하여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대용량의 스트림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실시간 분석과 동시에 배치 분석을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Visualization Tool for Standard Cell Placement (표준 셀 배치를 위한 가시화 도구)

  • Kim, Dong-Hyun;Hur, S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694-696
    • /
    • 2005
  • VLSI 셀 배치문제는 셀(노드)과 넷으로 구성된 회로를 최소의 비용과 제약조건을 만족하면서 칩 위에 배치하는 문제로 지금까지 여러가지 다양한 배치 알고리즘들이 제시되어왔다. 배치 알고리즘은 입력으로 회로정보를 받아서 결과를 숫자 데이터로 출력하기 때문에 알고리즘 개발자는 배치결과를 숫자 데이터로 분석할 수 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실험 결과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2003년 발표된 밴치마킹에 관한 논문[1]에 따르면 뛰어난 성능을 가진 대표적인 알고리즘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실제 최종 배치된 결과에서 셀들의 오버랩 현상과 균일하지 못한 배치 등 몇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알고리즘 개발자가 실험 결과를 가시화해서 직접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는 가시화 도구를 제안한다. 또한 가시화 도구는 결과분석을 통해 보다 향상된 알고리즘 개발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Server Data Placement for Energy Saving (에너지 절약을 위한 서버 데이터 배치 기법)

  • Lee, Kyung-Jin;Kim, Euns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195-19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서버에서 특정 서버를 즉시 종료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서버 데이터 배치 기법은 현재 시스템의 부하를 파악하여 부하가 줄어들게 되어 특정 서버를 종료하여도 요청 부하를 충분히 서비스 가능할 경우 서버를 종료한다. 반대로 부하가 증가하게 되어 추가의 서버 사용이 필요하게 되면 서버의 전원을 켬으로써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서버의 성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에너지 소비를 크게 절약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Points to be Considered for Efficient Placement of Data in VOD Server (주문형 비디오 서버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배치를 고려 요소에 관한 연구)

  • 안유정;원유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72-74
    • /
    • 1999
  • 주문형 비디오 서버의 중요한 목표인, 동시에 보다 많은 클라이언트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저장 매체 상에 비디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주문형 비디오 서버를 위한 배치정책으로서 디스크 그룹화를 통한 배치정책이 소개되었고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배치정책들 보다 검색 성능이 향상됨을 보였다. 이 정책에서는 유사한 성능의 디스크들을 한 그룹으로 묶고 각 그룹마다 독립된 디스크 배열과 같이 취급하며 각 그룹의 성능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비디오 데이터를 스트라이핑 시킨다. 이 정책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는 디스크들을 그룹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각 그룹의 크기와 성능의 유사도를 어떻게 정할 것인지의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고려 요소들이 검색 성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 PDF

항로표지 배치 검증을 위한 전처리 시스템

  • 백인흠;박준모;하창승;강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95-297
    • /
    • 2023
  • 우리나라는 항로표지 배치의 적합성 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항로표지의 배치는 전문가의 주관적 경험에 의존하고 배치있으며 검증에 필요한 전처리 작업은 수작업으로 처리한다. 이 연구에서는 데이터 필터링, 항적 HDG설정 및 입출항분리 작업을 부분적으로 자동화 하면서 HTTP로 연동되는 전처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Process-level integration metho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large scaled batch data processing in EAI environment (EAI에서 대용량 배치 데이터의 통합 성능 향상을 위한 Process-level 방식)

  • Kim Yonghee;Kwon Juhu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19-22
    • /
    • 2004
  • 분산 시스템 환경에서 여러 시스템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EAI 의 DB Trigger 및 Redo Log 등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통합 방식을 적용해 왔다. 그러나 기업에서 순차적인 배치 프로세스들을 통해 처리하는 대량의 데이터에 대해 기존의 EAI 의 데이터 통합 방식을 사용할 경우 모든 변경 건수에 대해 이벤트가 발생하여 Source 시스템의 부하 및 통합 성능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순차적인 배치 프로세스들을 EAI 의 프로세스 레벨 통합을 적용하여 최종 변경된 데이터에 대해서만 통합하도록 하여 통합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