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데이터베이스 교과목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데이터베이스 교과과정 설계 (A Design of the Database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 최세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599-60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학의 IT관련 학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교과과정을 제안한다. 현재 데이터베이스 교과목은 세계 어느 대학에서나 대부분의 IT 관련학과에서 필수 교과목으로 설정하여 교육하고 있지만, 국내 대학에서 데이터베이스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은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할 때 동일한 오류를 반복적으로 범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한 원인은 우리의 문화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할 때 반복적으로 범하는 오류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 교과목을 이수하게 되면 최소한 반복적인 오류는 피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교과과정을 설계한다.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roposition of Commercial High Schools' Computer Curriculum)

  • 안성림;김창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55-758
    • /
    • 2002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정보 처리에 관한 기초 전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정보화 시대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여 우수한 직업인이 될 수 있는 소양을 기르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나 현재의 컴퓨터 관련 교육과정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대가 요구하는 방향에 따라 정보통신 관련 교과목을 필수로 하여 멀티미디어, 웹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등의 다양한 교과목을 추가하는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제안된 교육과정은 현재 상업계 교육과정을 향후 교과목별 단원 및 학년별 단위 시수 편성과 조정 등의 개선 방안을 제공하는데 있다.

  • PDF

교과 키워드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과 교육 주제 연구 - 한국·미국 정보기술관련 교과 중심으로 - (Identifying Topics of LIS Curricula by Keyword Analysis - Focu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Classes of US and Korea)

  • 최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43-60
    • /
    • 2019
  •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등 다양한 정보기술이 도서관에 도입되면서 도서관의 업무와 서비스는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문헌정보학과 도서관학을 교육하는 대학에서는 정보기술 발전 동향을 반영하여 교과과정에 수용하는 노력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을 수집하여 정보기술과 관련된 교과를 분석하였다. 수집한 교과목의 내용 분석을 위해서는 교과 제목 키워드와 과목설명 키워드를 추출하여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유사하게 중요도가 높게 나타나는 키워드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웹'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서관'은 한국에서만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데이터베이스 교과목에서 플립러닝 적용 사례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Database Course)

  • 김은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847-856
    • /
    • 2016
  • 플립러닝은 교과목의 대표적인 요소인 강의와 과제의 순서를 뒤집은 교수법 모델로서, 학생들은 강의실 수업 전에 집에서 짧은 동영상 강의나 이러닝 콘텐츠 등을 미리 학습하고, 강의실에서는 주로 토론이나 연습문제 또는 팀 프로젝트 등의 다양한 능동적인 학습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 플립러닝이 융합적 역량을 기반으로 창의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21세기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공학부의 전공 선택 교과목인 데이터베이스 수업에서 3개 학기에 걸쳐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세부적으로 7단계로 구성된 플립러닝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플립러닝의 효과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성공적인 플립러닝 적용을 위한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교과목 이수체계도를 이용한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위한 교과 이수 지도 도구의 개발 (A Development of an Adviser Tool for the ABEEK Accredited Program using Curriculum Flowchart)

  • 이태호;이명준;이정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97-106
    • /
    • 2009
  •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은 사단법인으로 공학 및 관련 학과의 교육 프로그램을 인증하는 기관으로서 국내의 공학 및 관련 사회의 광범위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인증기준을 정하였다. 공학인증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은 인증 기준에 부합되도록 프로그램에서 정한 이수체계에 따라 교과목을 이수하여야 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교과과정 이수 상황을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지도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구현된 교과과정 이수 지도 도구의 구조 설계 및 개발 내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구를 구현하기 위하여 교과목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이수체계에 따른 과목별 선수관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학생별로 이수현황표를 분석하여 이수현황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지도할 수 있도록 이수체계도상에 표현하였다. 실험결과 개발된 이수 지도 도구를 활용한 이수지도가 수강신청원 위주로 된 방법보다 지도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ALA인가 문헌정보학 학위 과정의 데이터 사서 양성과 관련된 교과목의 강의계획서 분석 (An Examination of the Course Syllabi Related to Data Librarian in the ALA-accredit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gree Programs)

  • 박형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07-33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2023년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인가 문헌정보학 학위과정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사서와 관련된 교과목의 강의계획서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2023년 ALA인가 문헌정보학과에서 공개한 강의계획서 184개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사서의 주요 역량인 데이터 관리와 큐레이션,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메타데이터, 정보 서비스, 도서관 경영, 연구 방법론, 학술 도서관, 컴퓨터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과목 등을 식별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데이터 사서와 관련된 강의계획서 127개를 식별한 후, 강의계획서의 내용을 집중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교과목 명, 교과목 목표, 교과목 설명, 교육 내용, 과제(assignments)를 집중 분석하였다. 데이터 사서 양성을 위한 국내외 교과목의 비교를 위하여 국외 61개 문헌정보학과에서 개설한 교과목 명 3,045개, 교과목 설명 2,559개와 국내 37개 문헌정보학과에서 개설한 1,330개의 교과목 명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국내외 문헌정보학과 모두 데이터 사서 양성을 위한 교과목을 골고루 개설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문헌정보학과에서 데이터 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의 개발 및 개정 시 논의의 시작점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교과목의 강의 계획서 분석: ALA의 인가를 받은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Course Syllabi related to Data Science at the ALA-accredit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s)

  • 박형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9-143
    • /
    • 2022
  • 본 연구는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의 인가를 받은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사이언스와 관련된 수업의 내용을 조사했다. 연구의 목적은 강의 계획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해당 수업에서 다뤄지는 교과목 명, 교과 설명, 학습 목표, 주차 별 주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에서의 데이터사이언스와 관련된 필수 과목 및 선택 과목은, 데이터사이언스 개론,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큐레이션 및 관리, 머신 러닝, 메타데이터,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 데이터사이언스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에서 데이터사이언스 교과 과정을 개설 및 개정할 때 논의의 시작점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어 운영 역량을 강화하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교과목을 위한 조교 챗봇 (Assistant Chatbot for Database Design Course)

  • 김은경;정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615-1622
    • /
    • 2022
  • 교수자 중심의 강의식 교수법이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인 플립러닝이 널리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플립러닝이 갖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선행 학습 시 발생하는 질문들을 실시간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립러닝 방식으로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교과목을 위한 수업 도우미 챗봇인 디비봇을 개발하였다. 디비봇은 크게 학습자용 챗봇 앱과 교수자용 챗봇 관리 앱으로 구성되며, 수업 운영 관련 질문과 학습 내용 관련 매학기 반복되는 질문처럼 교수자가 미리 예상할 수 있는 질문은 구글의 다이얼로그 플로우(DialogFlow)를 활용해서 답변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팀 프로젝트와 관련된 질문처럼 교수자가 미리 예상하기 어려운 질문은 질의/응답 DB와 유사도 비교 알고리즘인 BM25 알고리즘을 활용해서 답변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전문대학 문헌정보과의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f Junior College)

  • 소시중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1-45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문헌정보과 교과과정의 새 모형안을 개발하는데 있다. 개발하기 위한 이유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 업무도 변하고 그와 관련된 문헌정보과 교과과정도 변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전문대학 문헌정보과 교과과정은 이론보다 실무연습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도서관 현장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지식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 및 도서관 현직사서와의 면담을 통하여 준사서의 업무를 파악하고 둘째로 문헌정보과 교수, 도서관 관리책임자 및 도서관 현직 준사서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의견을 수렴함으로서 전문대학 문헌정보과 교과과정에 새롭게 포함되어야 할 교과목을 선정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총30개로 전문대학 문헌정보과 교과과정에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과 시대적인 변화에 따른 준사서의 업무 및 준사서의 일상적인 업무들로 구분되었다. 5단계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조사결과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는 첫째, 문헌조사 및 현직사서와의 면담을 통하여 얻어진 준사서의 업무가 전산화 이전의 전통적인 도서관 업무와 전산화 이후의 자동화된 도서관 업무로 구분되어서 앞으로의 도서관 업무는 전자도서관 형태로 변모되어질 것을 예고하여주고 있으며 둘째, 설문지를 통한 분석결과로서, 준사서의 일상적인 업무들에 관련된 설문들에서는 도서관실습 교과목이 으뜸(4.19)을 나타내는 것은 전문대학 문헌정보과 교과과정은 실습위주로 구성되어야 함을 나타내며 준사서는 실습위주로 교육해야함을 타나낸 것이다. 교과과정에서 교과목의 변천은 급진적이 아니라 점진적이라는 것과 새로운 교과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교과목들은 전자도서관실습, 정보시스템(론), 데이터베이스(론), 정보네트워크실습 등으로 정보시스템 영역이 강조되어야 한다.

  • PDF

문헌정보학에서의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과정 연구 (A Curricular Study on AI & 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구본영;박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1-23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직면하고 있는 기술과 시스템 환경변화에 적합한 정보전문가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육의 내용을 규명해보는데 있다. 그 중에서 현재 정보환경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최신정보기술인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의 어떤 교육내용이 문헌정보학에 도입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기본적 자료를 얻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도의 정보기술과 컴퓨터의 발전으로 인하여 문헌정보학의 전통적인 핵심내용이 새로운 내용 즉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원 탐색, 온라인데이터베이스 검색, 정보시스템 분석과 설긴 컴퓨터활용능력, 정보검색전략 개발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내용 중에서 문헌정보학 교육에 중요한 내용으로는 데이터베이스처리 시소러스 자연언어처리, 지식표현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 교수들은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과목 주제가 대다수 학생들에게 유용한 주제라고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앞으로 사서/정보전문가를 돕는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의 역할이 참고봉사, 편목${\cdot}$ 분류, 정보검색${\cdot}$ 문헌전달 업무에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다섯째, 문헌정보학과 교수들이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과목 주제를 중요하게 인식함에 따라 앞으로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과정이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개설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내용 중에서 중요하다고 조사된 데이터베이스처리. 시소러스 자연언어처리. 지식표현의 과목은 앞으로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