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모델

Search Result 12,907,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EJB-based Workflow Model Data Management Mechanism (EJB 기반의 워크플로우 모델 데이터 관리 기술)

  • 김민홍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5 no.1
    • /
    • pp.19-28
    • /
    • 2004
  • The major problems in workflow system which controls business process arise with the difficulty of managing a vast volume of data. In this paper, a more reasonable method to manage workflow data is proposed after analyzing the data being used in workflow system. The data used in workflow system can be classified to model data, control data, workitem data and relevant data. The prime accent is placed on the workflow model data, as the model data is normally consistent and referenced more frequently that if the data is used efficiently, it is anticipated to give a good performance to workflow system. Relying on an intensive study, this paper designs and develops a model data system. This model data system is based on memory and manages versions, consistency, dynamic modification, and etc

  • PDF

Spatial Object-Relational Data Model in iSTORM (iSTORM에서의 공간 객체-관계 데이터 모델)

  • 박경현;남광우;박성희;류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24-26
    • /
    • 2000
  • 공간 데이터는 복합적인 속성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연산 또한 복합적이라는 점에서 일반 데이터와 다른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공간 데이터는 일반 속성 데이터와 구별되는 파일이나 별도의 저장 구조를 사용하여 관리되어야 한다. 이것은 비공간 데이터와 공간 데이터간의 상호 동기화 문제와 트랜잭션의 처리 등에서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단일 데이터베이스화하여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일화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지원하기 이한 공간 객체-관계 데이터 모델을 정의하고 이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타입 저장 방법들에 대해 기술한다.

  • PDF

A Design of 3D Visualization Model based on GIS (GIS 기반의 3차원 시각화 모델의 설계)

  • 한정규;황수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7-29
    • /
    • 1999
  • 가상현실 시스템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현실세계 데이터를 컴퓨팅 세계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경우 정확한 실사를 통한 지리정보의 확보와 그래픽 시각화를 통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제공을 주요 목적으로 삼는다. 본 논문은 지리정보시스템의 데이터모델을 기반으로 3차원 시각화를 위한 지형 데이터 모델과 가상 이미징 객체모델을 소개한다.

  • PDF

A Design of Feature-based Data Model Using Digital Map 2.0 (수치지도 2.0을 이용한 객체기반 데이터 모델 설계)

  • Lim, Kwang-Hyeon;Jin, Cheng Hao;Kim, Hyeong-Soo;Li, Xun;Ryu, Keun-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7
    • /
    • pp.33-43
    • /
    • 2012
  • In With increase of a demand on the spatial data, the need of spatial data model which can effectively store and manege spatial objects becomes more important in many GIS applications.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the spatial data model. Several data models were proposed for some special functions,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n the management and applications. Digital Map is one of spatial data model which is being used in Korea. The existing Digital Map is based on the Tiles. This approach needs more cost in its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feature-based seamless data model with Digital map 2.0 which is based on Tiles. This model can be easily constructed and managed in the large databases so that it is able to apply to any systems. The proposed model uses the relationships between features to correct updated data and the Unique Feature IDentifier(UFID) also makes system to search and manage the feature data more easily and efficiently.

Parameter Estimation of CDC4 Model Using Linear Interpolation (선형 보간법을 이용한 CDC4모델의 파라미터 산정)

  • Choi, Jang-Hu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386-387
    • /
    • 2011
  • HVDC 프로젝트마다 제어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HVDC 설비를 위한 전용의 해석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다. 설비의 동특성을 모의하기 위해 모델 라이브러리가 없는 상황이 도래하면, 범용 모델에 적합하도록 데이터를 수정하는 방법과 UDM(User Define Model)을 개발하는 방법이 있다. UDM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개발기간이 길고 UDM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 때문에 범용 모델에 맞도록 데이터를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 PSS/E 결과 데이터 또는 EMTDC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CDC4 모델의 파라미터를 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Scattering Model for Earth Surface and Comparison with JPL AIRSAR Data (지표면 산란모델 개발과 JPL AirSAR 측정데이터와 비교)

  • 이성화;정구준;오이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29-13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지표면 산란에 대한 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를 JPL AirSAR 측정데이터와 비교하였다. 식물이 없는 토양에서의 레이더 산란에 대해 새로 개발된 polarimetric empirical model(PEM)을 바탕으로, radiative transfer 이론을 이용하여 숲, 논, 밭 등 식물이 있는 토양에서의 레이더 산란 모델을 개발하였다. 지표면에서의 산란에 대해 개발된 이 모델을 AirSAR PACRIM-2 실험에서 얻은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논, 채소밭, 풀 없는 토양, 소나무 숲 등에 대해 그 지역에서 얻은 지표면 변수를 이용한 산란모델 계산 결과를 측정 데이터와의 비교함으로써 이 산란모델의 사용가능 범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PDF

ART 에어로졸 재부유실험 데이터를 이용한 재부유모델의 평가

  • 박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790-797
    • /
    • 1997
  • 에어로졸 재부유현상은 중대사고 방사선원항 평가에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으나 거의 모든 사고해석 코드에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시된 몇가지 유형의 에어로졸 재부유모델을 ORNL에서 실시된 에어로졸 재부유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도와 중대사고 해석코드에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모델은 시간의 멱승함수와 지수함수형으로 표시된 모델들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에 의하면 두 유형에 속하는 대부분의 모델이 재부유량뿐만 아니라 재부유율을 계산하는 데서 실험데이터와 상당한 편차를 보여 현재의 형태로 중대사고 해석 코드에 접목하는 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보다 광범위한 실험데이터를 통한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모델식 자체의 간편함으로 접목이 용이할 것이다.

  • PDF

Improving PET Bottle Image Classification Model Performance via Preprocessing (전처리를 통한 페트병 이미지 분류모델 성능 개선)

  • Dong-hyeon Le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3.11a
    • /
    • pp.473-474
    • /
    • 2023
  • 잘못된 분리수거는 다른 재활용 폐기물의 재활용을 제한한다. 본 논문에서는 올바른 분리수거를 위해 페트병 라벨 유무 분류 모델을 구현했다. 초기 모델의 낮은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의 노이즈를 줄이는 편집을 거치고 데이터 증강을 적용하였으며, 모델 개선 작업을 진행하여 과적합을 피하면서 더 나은 성능을 도출했다. 최종 모델은 초기 모델보다 비교적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나, 실제 활용 면에서는 낮은 성능을 나타냈다. 이는 학습 데이터의 질과 데이터양의 부족에서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Relation Extraction Model for Noisy Data Handling on Distant Supervision Data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원격지도학습데이터의 오류를 처리하는 강화학습기반 관계추출 모델)

  • Yoon, Sooji;Nam, Sangha;Kim, Eun-kyung;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55-60
    • /
    • 2018
  • 기계학습 기반인 관계추출 모델을 설계할 때 다량의 학습데이터를 빠르게 얻기 위해 원격지도학습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잘못 분류되어 학습데이터로 사용되기 때문에 모델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강화학습 접근법을 사용해 해결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오 분류된 데이터로부터 좋은 품질의 데이터를 찾는 문장선택기와 선택된 문장들을 가지고 학습이 되어 관계를 추출하는 관계추출기로 구성된다. 문장선택기는 지도학습데이터 없이 관계추출기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학습이 진행된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관계추출 모델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고 결과적으로 원격지도학습데이터의 단점을 해결한 방법임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Speaker Adaptation of HMM in a Contin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HMM을 이용한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의 화자적응화에 관한 연구)

  • 김상범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100-104
    • /
    • 1995
  • 일반적으로 화자적응화는 이미 학습되어 있는 불특정 화자 모델을 표준모델로 하고 소량의 적응화용 발화로 추가적인 학습을 실시하여 특정화자 모델의 성능에 가깝게 하는 기술로서 연속음성 인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ML 추정법을 이용한 화자적응화는 카테고리마다 모델의 학습패턴들을 다수개 준비한 후 학습시에 일괄적으로 적용시켜 모델 파라메터를 추정 갱신하므로 추가되는 화자데이터에 대해 데이터를 모두 공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발화 데이터의 음절단위를 자동추출한 후 추가되는 화자데이터가 주어질 때 마다 적응화할 수 있는 화자적응화 방법을 검토하였다. 이 방법은 문발화 데이터를 잘라내지 않고 음절 단위를 자동추출시켜 추가 데이터마다 최대 사후확률 추정법을 이용하여 적응화 시키는 것으로 수소의 데이터로서도 적응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음성데이터는 신문사설에서 발췌한 연속음성 10문장을 사용하고, 이 음성 데이터중 6명분은 HMM 학습용으로 하고 나머지 3명분은 적응화용 및 평가용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6명의 화자를 DDCHMM으로 학습하고 나머지 3명분을 MAP법으로 적응화시켰다. 그 결과 적응전과 비교해 볼 때 약 32%의 인식율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