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매칭

Search Result 68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n Ontology Matching Method based on ISO/IEC 11179 (ISO/IEC 11179 기반의 온톨로지 매칭 방법)

  • Lee, Ji-Yoon;Lee, Suk-Hoon;Kim, Jang-Won;Jeong, Dong-W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95-97
    • /
    • 2012
  • 다양한 온톨로지들이 구축되고 이를 적용한 시스템들이 늘어가면서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통 개념이라 볼 수 있는 온톨로지를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에 등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들이 개발되면서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 간에는 상호운용성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므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온톨로지 간 매칭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기존의 온톨로지 매칭 방법들은 온톨로지의 규모가 작을 경우 정확한 매칭 결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메타데이터에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온톨로지들을 매칭하기 위하여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의 구조상의 특징을 반영하여 온톨로지를 확장한다. 그리고 확장된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온톨로지를 매칭 함으로써 정확한 매칭이 이루어지는 온톨로지 매칭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 방법의 장점을 보이기 위해 기존 온톨로지 매칭 방법들과의 비교평가를 수행한다. 제안 방법은 매칭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효율성을 높이며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간 상호운용성을 높인다.

The Validity Test of Statistical Matching Simulation Using the Data of Korea Venture Firms and Korea Innovation Survey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와 한국기업혁신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통계적 매칭의 타당성 검증)

  • An, Kyungmin;Lee, Young-Chan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4 no.1
    • /
    • pp.245-271
    • /
    • 2023
  • The change to the data economy requires a new analysis beyond ordinary research in the management field. Data matching refers to a technique or processing method that combines data sets collected from different samples with the same population. In this study, statistical matching was performed using random hotdeck and Mahalanobis distance functions using 2020 Survey of Korea Venture Firms and 2020 Korea Innovation Survey datas. Among the variables used for statistical matching simulation, the industry and the number of workers were set to be completely consistent, and region, business power, listed market, and sales were set as common variables. Simulation verification was confirmed by mean test and kernel dens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tatistical matching was appropriate becaus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verage test, but a similar pattern was shown in the kernel density. This result attempted to expand the spectrum of the research method by experimenting with a data matching research methodology that has not been sufficiently attempted in the management field, and suggests implications in terms of data utilization and diversity.

EmoNSMC: Constructing Korean Emotion Tagging Dataset Using Distant Supervision (EmoNSMC: Distant Supervision 을 이용한 한국어 감정 태깅 데이터셋 구축)

  • Lee, Young-Jun;Choi, Ho-J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519-521
    • /
    • 2019
  • 최근 소셜 메신저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의사소통을 주고받음에 따라, 텍스트에서 감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감정이 태깅된 데이터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감정이 태깅된 데이터의 양이 많지가 않다. 이는 텍스트에서 감정을 파악하는데 성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단어 매칭 방법과 형태소 매칭 방법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한국어 감정 태깅 데이터셋인 EmoNSMC 를 구축하였다. 구축한 데이터셋은 네이버 영화 감상 리뷰 데이터 (NSMC)에 디스턴트 수퍼비전 방법 (distant supervision) 방법을 적용하여 weak labeling을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한국어 감정 어휘 사전 (KTEA) 을 이용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셋의 감정 분포 결과, 형태소 매칭 방법을 통해 구축한 데이터셋이 좀 더 감정 분포가 균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데이터셋은 공개되어 있다.

  • PDF

A Survey on Similar Sequence Matching Methods in Time-Series Database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 시퀀스 매칭 방법에 관한 조사)

  • Jin, Ah-Yeon;Par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079-1080
    • /
    • 2012
  • 시계열 데이터는 경제, 기상,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시계열 데이터 상에서의 검색 방법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시계열 데이터는 각 시간별로 측정한 실수 값의 시퀀스로, 사용자가 원하는 질의 시쿠퀀스와 유사한 데이터 시퀀스를 찾는 방법인 유사 시퀀스 매칭 방법을 조사한다. 유사 시퀀스 매칭 방법은 전체 매칭과 서브시퀀스 매칭으로 분류되며, 서브시퀀스 매칭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전체매칭을 일반화한 방법인 FRM, FRM의 윈도우 구성 방법에 대해 이원적으로 접근한 DualMatch, FRM과 DualMatch를 일반화한 GeneralMatch가 있으며, 각 방법에 대한 비교분석을 한다.

Effectiveness Evaluations of Subsequence Matching Methods Using KOSPI Data (한국 주식 데이터를 이용한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의 효과성 평가)

  • Yoo Seung Keun;Lee Sang H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2D no.3 s.99
    • /
    • pp.355-364
    • /
    • 2005
  • Previous researches on subsequence matching have been focused on how to make indexes in order to speed up the matching time, and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effectiveness issues of subsequence matching methods. This paper considers the effectiveness of subsequence matching methods and proposes two metrics for effectiveness evaluations of subsequence matching algorithms. We have applied the proposed metrics to Korean stock data and five known matching algorithms. The analysis on the empirical data shows that two methods (i.e., the method supporting normalization, and the method supporting scaling and shifting) outperform the others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subsequence matching.

An Implementation of a Subsequence Match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다중윈도우를 이용한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 구현)

  • Jin, Ah-Yeon;Par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077-1078
    • /
    • 2012
  • 시계열 데이터는 기상데이터, 주식데이터, 센서 데이터, 네트워크 트래픽 데이터, 의료 데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서브시권스 매칭 방법은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서브시권스 매칭 방법은 단일 윈도우만을 비교하여 서브시권스 매칭을 수행하였으나, 착오해답을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다중 윈도우를 비교하여 착오해답을 줄이고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다중 윈도우를 이용한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을 구현하였다. 그 결과 단일 윈도우를 사용했을 때보다 약 4.8배까지 후보집합의 수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었다.

XML Element Matching Algorithm based on Structural Properties and Rules (룰과 구조적 속성에 기반한 XML 엘리먼트 매칭 알고리즘)

  • Park, Hyung;Jeong, Chanki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
    • v.10 no.1
    • /
    • pp.71-77
    • /
    • 2013
  • XML schema matching is the task of finding semantic correspondences between elements of two schemas. XML schema match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ny application, such as schema integration, data integration, data warehousing, data transformation, peer-to-peer data management, semantic web etc. In this paper, we propose an XML element matching algorithm based on rules and structural properties. The proposed algorithm involves classifying elements as unique or non-unique elements according to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XML documents and deciding on element matching in accordance with rules. We present experimental results that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A data mining approach for efficient matching of engineering document schemata (엔지니어링 문서 스키마의 효율적 매칭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활용방안)

  • Park, Sang-Il;An, Hyun-Jung;Kim, Hyo-Ji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226-22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저장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XML 스키마 매칭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매칭의 가중치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정확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의사결정나무 모델을 수립하였다. 수립모델을 응용하여 구현한 가중치 자동선정 모듈은 설명변수인 교량의 형식, 문서가 포함하고 있는 요소의 수, 문서를 작성한 회사 등의 값에 따라 의사결정나무 모델의 목표변수인 정확도뿐만 아니라,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일 수 있는 가중치까지 간접적으로 제안가능하다. 본 연구로 구현한 모듈을 통해 제안된 XML 스키마 매칭 가중치를 활용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약 10% 정확도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Visualization Tool for Ranked Subsequence Matching in Time-Series Databases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에서 순위를 지원하는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을 위한 시각화 툴)

  • Lee, Sung-Jin;Lee, Jinsoo;Cho, Hune;Han, Wook-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787-788
    • /
    • 2009
  • 시계열 데이터(time-series data)는 연속적인 데이터를 고정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한 실수 값들의 연속을 의미한다. 시계열 데이터의 예로는, 음악 및 동영상 데이터, 심전도 데이터, 주식 그래프 등의 데이터가 있다. 시계열 데이터는 다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되어있는 데이터 시퀀스(data sequence)와, 사용자에 의해 주어지는 질의 시퀀스(query sequence)로 분류된다. 시계열 데이터베이스(time-series database)에서 순위를 지원하는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ranked subsequence matching)은 데이터 시퀀스와 질의 시퀀스가 주어졌을 때, 질의 시퀀스의 길이와 같은 데이터 시퀀스의 서브시퀀스(subsequence)들 중에서 질의 시퀀스와 가장 유사한 상위 k개의 서브시퀀스들을 찾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사용자가 매칭 방법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부족하더라도 기존의 콘솔 기반의 매칭 프로그램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각화 툴을 개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5가지 시각화(visualization)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기존의 매칭 프로그램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

Memory Efficient Tri-Matching Algorithm (메모리 효율적인 3군 매칭 알고리즘 구현)

  • Kim, Donggil;Jung, S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393-394
    • /
    • 2020
  • 세 군 매칭을 수행하여 관찰 데이터를 구축하고 통계분석에 기반한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매칭작업은 각 군에 속한 개체의 성향점수를 서로 비교해 거리가 가까운 짝을 찾아야 하므로 카테시안 곱 만큼의 경우의 수를 따져야 하는 문제이고, 메모리 소요가 크다. 특히 세 군 매칭은 세 쌍의 거리가 가까운 triplet을 찾는 문제로, 세 개체 사이에 존재하는 세 개의 거리를 따져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 소요가 두 군 매칭에 비해 훨씬 크다. 각 군에 속한 개체가 늘어나면 메모리소요가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R패키지에 포함된 TriMatch함수는 세 군 매칭 수행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세 개체 사이의 세 개 거리가 가장 짧은 triplet을 찾는 방식으로 구현 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메모리 소요가 매우 커 각 군에 속한 개체의 수가 많아지면 메모리 부족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세 군 매칭에 소요되는 메모리 소요를 줄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알고리즘의 구현을 통해 각 군에 속한 개체가 늘어나도 안정적인 세 군 매칭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