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관리정책

Search Result 93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Use Case of Research Data Sharing in Biotechnology (생명공학분야의 연구데이터 공유 사례에 관한 연구)

  • Park, Miyoung;Ahn, Inja;Kim, Junmo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9 no.1
    • /
    • pp.393-416
    • /
    • 2018
  • In this study, major steps of the research data management plan were derived through the research data management guidelines of major countries (NISO DMP in the US, UK DMP in UK archives, etc.). The results obtained are support for research data policy & planning, research data technical support, research data sharing support, research data legal mechanism support, and research data education support. In this study, we analyzed seven cases of data sharing among 7 domestic and foreign biotechnology. Shared use case countries are limited to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which play a leading role in the management of research data. In Korea, shared cases were analyzed for the Korean Bio Information Center and related systems, which is a research and performance management and distribution agency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 Study on Establishing the Strategies for Integrated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Disaster & Safety Research Data (재난안전연구데이터 통합관리·활용을 위한 전략 수립 연구)

  • Ryu, Shin-Hye;Yoon, Heewon;Kim, Daewuk;Choi, Seon-Hwa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6_3
    • /
    • pp.1789-1803
    • /
    • 2022
  • With the increase of data and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the strategies and policies related to integrated data are being actively establishe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data all over the world. Recently, in the research field, infrastructure projects and management systems are being prepared to utilize research data at the initiative of the government. Also, in Korea, platforms for searching and sharing research data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NDMI) has been conducting extensive research on disaster & safety as a national institute, but data-oriented management and utilization are insufficient. Because it still lacks consistent data management systems, metadata for outcomes of research, experts on data and policies for utilization of data to research. In order to move to the data-based research paradigm, we defined the master plans and verified a target model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disaster & safety research data. In this study, we found out the need to establish differentiated data governance, such as data standardization and unification of the data management system, and dedicated organization for managing data, based on the necessity and actual demands of NDMI.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arget model reflecting the derived implications, we intend to establish a pilot mode. In the future, major improvement measures to establish a disaster & safety research data management system will be implement.

A Policy-driven RFID Device Management Model (정책기반 RFID 장치 관리 모델)

  • Lee, Woo-Sik;Kim, Nam-Gi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3 no.1
    • /
    • pp.75-81
    • /
    • 2012
  • Previous RFID systems exclusively manage the tags and readers for each company in individual manner. Thus, RFID system manager should understand and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tag events, data format, and etc, based on individual companies. But it is very difficult to know all statements. To resolve theses problems, there has been conceptual research about policy-based RFID service management model that is not restrained from standards of typical RFID systems, including EPCglobal standard, and ISO/IEC standard. However, previous proposed service management model only aimed event management without including device managem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extended device management policy model for giving shape to the proposed policy-based RFID service management model. If the proposing device management policy model is used for device management, we can integrate control management for heterogeneous middleware, diverse RFID devices, and applications for each company. Moreover, we show that the RFID device management policy is translated and processed as an example using the proposing policy model in real-time RFID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MS/Cluster (GMS/Cluster 설계 및 구현)

  • 유병섭;김명근;김재홍;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225-231
    • /
    • 2003
  • 최근 모바일 장치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 객체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LBS:Location Based Service)가 발전되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는 이동객체의 위치 정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변화량이 방대하게 증가되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하나의 서버가 모든 처리를 담당하므로 동시 사용자 수가 제한되고, 사용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성능이 저하된다. 특히, 사용자 질의의 급증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해 시스템이 정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사용자 질의가 급증하여도 서비스가 계속되는 GMS/Cluster를 제안한다. 제안한 GMS/Cluster는 비공유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로 독립적으로 질의를 처리할 수 있는 노드와 노드들의 묶음인 그룹으로 구성된다. GMS/Cluster는 분할 정책의 사용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성능이 향상되고, 복제 정책의 사용으로 서비스를 하던 노드가 정지되어도 복제본을 가진 노드가 대신 서비스를 하여 가용성이 높아지며, 서비스를 중지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온라인 확장을 하여 급증하거나 접근 패턴이 변경하는 사용자 질의에 대처할 수 있다.

  • PDF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Water depth Data Management System (다목적 수심체계 구축 사례 및 활용연구)

  • Kim, By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109-111
    • /
    • 2017
  • 수로조사 정보DB의 효율적인 운영 관리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해양정책 수립과 신속하고 다양한 해양공간정보 제공에 부응코자 해양공간정보 수요자 중심이 관리 및 데이터 활용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글로벌 해양강국으로 해양영토관리, 재난 및 재해, 선진형 국민체감 해양정보 제공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 PDF

An Improved Proxy Caching Management for Multimedia (멀티미디어를 위한 개선된 프락시 캐싱 관리 기법)

  • Hong, Byung-Chun;Cho, Kyung-S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427-430
    • /
    • 2003
  • 멀티미디어 특히 비디오 데이터는 대용량 파일 단위의 저장 특성을 가지며 사용자 접근 패턴이 기존의 햄 객체인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다르기 때문에 기존의 웹 캐슁 정책은 멀티미디어 프락시 서버에는 적절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를 위한 프락시 서버의 캐쉬 히트율을 높이고 파일 단위 캐쉬 관리 정책을 세그먼트 관리에 적용하여 세그먼트 관리의 과부하를 줄이는 고정 크기 세그먼트 기법과 개선된 캐쉬 제거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 기법의 성능 개선 정도를 분석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EIM Data Warehouse in an Enterprise Environment (엔터프라이즈 환경의 REIM 데이터 웨어하우스 개발)

  • 최성만;유철중;장옥배;이정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370-372
    • /
    • 2003
  • 기존의 연구비 관리업무는 예산계획, 예산편성 및 예산정산 부분으로 관리됨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연구비의 안정적인 확보와 효율적인 운영 및 투명한 집행을 위하여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이 절실하게 요구되고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엔터프라이즈 환경의 연구비 통합관리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핵심 요소는 정보검색 에이전트와 정보통합 에이전트이다. 정보검색 에이전트에서는 기존의 예산계획 DB, 예산편성 DB, 예산정산 DB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보통합 에이전트에서는 정보검색 에이전트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추출, 전송, 가공, 로딩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정보통합 에이전트에서는 다수의 정보소스를 사용자가 하나하나 접근하여 검사하는 노력을 줄여주고 사용자에게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데이터를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엔터프라이즈 환경의 REIM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사용자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한 기능들로 연구비 관리정책의 수립에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의사결정 지원정보를 제공한다. 최종 사용자에게는 원하는 분석정보를 신속하게 접근하여 단편적인 관점보다는 종합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분석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3개의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결과 데이터의 공유, 시스템 통합, 운영비용 절감, 의사결정 지원환경을 단순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the Regulation Improvement of the Public IT Project Contract Law (가상화 스토리지 시스템 도입 절차방법 연구)

  • Choe, Seong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43-249
    • /
    • 2005
  • 정보화가 발달할수록 데이터량은 증가한다. 21세기 정보화 시대가 말그대로 정보의 홍수속에 살게 될 것이다. 지금은 영상미디어 시대이다. 초고속인터넷시대는 향후 처리해야 할 정보가 단순 텍스트 데이터가 아니라 정보의 관리에 어려움을 가져왔다. 또한 인터넷이란 새로운 실시간 데이터 관리가 필요한 상황에서 고객의 어려움도 커져가고 있다. SAN(Storage Area Network)과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가상화스토리지 전문기업 뿐만 아니라 이종 업체에서의 제안이다. 즉 NAS를 정의하는 방향도 다르다. 우선 서버 어플라이언스로 보는 업체로는 컴팩, IBM의 x시리즈, 마이크로테스트, 액시스 등이 있으며, IBM, 씬, EMC, 네트워크 어플리이언스, 히타치데이터시스템 등 전통적인 가상화스토리지 업체는 이를 가상화스토리지 네트워크의 한 아키텍처로 보고 있다. 이외에 맥스터, 퀸텀 등의 HDD업체들은 이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로 보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비 업체인 3Com, 넷기어 등의 NAS제품을 보이는데 국내업체는 전무한 편이다. 예전에 우리가 포기한 고부가가 가치제품인 서버 스토리지 분야를 놓치면, 결코 국민소득 $2{\sim}3$만불 타령을 해야 아무런 소용도 없고 선진국에 기술 종속만 될 뿐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IT강국이라고 하는 데는 반성을 하여야 한다.

  • PDF

Current Status and Proposal of University Library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 Focu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Specialized Universities (대학도서관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 현황 및 제안 - 과학기술특성화 대학을 중심으로 -)

  • Juseop Kim;Suntae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3
    • /
    • pp.279-301
    • /
    • 2023
  • The data-driven research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Accordingly,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are also preparing to establish and operate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to support university researche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pose a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 to support research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specialized university libraries. In order to propose the service, 11 universities specializ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were selected from overseas and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ir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were analyzed. Key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analysis results, research data management, electronic research notebooks, and RDM training. In particular, the 'research data management' category included DMP, data collection, data management, data preservation, data sharing and publishing, data reuse, infrastructure and tools. And it consists of RDM guides and poli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introducing and operating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specialized university librarie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by Researchers in Each Academic Field: Focusing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atistics, Ecology, and Korean Musicology (학문분야별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관리 현황에 관한 연구 - 문헌정보학, 통계학, 생태학 및 한국음악학을 중심으로 -)

  • Juseop, Kim;Suntae, Kim;Yeonjung, Han;Won-Jae, Youe;Paul, Jeon;Seong Jun, Ya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3 no.4
    • /
    • pp.229-247
    • /
    • 2022
  • As part of open science, the government adopts a national research data sharing and utilization strategy, forms a governance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and promotes policies for research institutes to implement. Although the policy for managing research data is carried out centering on the academic world, it is insufficient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and even this is a reality in which researchers do not have enough awareness to introduce it to th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search data management status of researchers in each academic field. Academic fields consisted of four fields includ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atistics, Ecology, and Korean Musicology, and the current status of data management was identified through a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data production, sharing and management, saving, preservation and reus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y discipline in terms of data production, data sharing and management, data preservation, and data reuse, except for data sav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