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과학자

Search Result 59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XMP Metadata merge tool (정지영상 메타데이터 정합 도구 개발)

  • Kim, Sung-Jun;Lee, Jae-Kook;Hong, T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540-541
    • /
    • 2021
  • 최근 드론산업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드론 활용방법에 대한 연구와 특허 출원이 진행되고 있다. 드론에서 촬영된 사진은 실종자 수색, 농작물 생육 분석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서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진에 저장되는 정보는 실제 촬영 이미지와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나, 카메라 제조사별로 포함되는 메타데이터의 구성이 상이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드론에서 촬영된 사진내의 메타데이터를 사전에 정의된 표준 명세를 만족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를 정합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현재 수행중인 DNA+드론기술 개발과제의 참여기업들이 촬영한 드론 사진내의 메타데이터의 표준화를 함으로써,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응용 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참여기업들이 표준화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Comparison of Epistemic Characteristics of Using Primary and Secondary Data in Inquiries about Noise Conducte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Focusing on the Cases of Science Inquiry Reports (소음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탐구에서 나타나는 1차 데이터와 2차 데이터 활용의 인식적 특징 비교 - 과학탐구 보고서 사례를 중심으로 -)

  • Chang, Jina;Na, Jiyeo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3 no.1
    • /
    • pp.81-94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and conducts an in-depth comparison of the epistemic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data types utilized in the science inquiries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noise as a risk in everyday life. Focusing on primary and secondary data in the context of science inquiries about noise, we examined how these data types differ in science inquires in terms of inquiry design,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The findings reveal that sensor-based primary data enable direct measurement and observation of key phenomena. Conversely, secondary data rely on predetermined measurement methods within a public data system. These differences require different epistemic considerations during the inquiry proces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concerning teaching approaches for science inquiries, teacher education for inquiry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risk response competencies in preparation for the VUCA (Volatility, Uncertainty, Complexity, and Ambiguity) era.

Status and Service Plan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DB (해양수산 과학기술 연구 DB 구축 현황 및 서비스 계획)

  • Choi, Ju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99-99
    • /
    • 2017
  •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에 따른 빅데이터가 이슈화 되고 정부의 공공 데이터 개방? 공유 정책 등으로 정부의 R&D 정보화 서비스도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해양수산 R&D사업은 해양이라는 공간적 제약으로 선박 및 특수 장비 등을 사용함에 따라 연구비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실정임에도 해양수산 연구 자료 및 관측자료가 통합적으로 관리되지 않고, 사업별 기관별로 산발적으로 관리되고 있어, 이에 따라 연구 DB 통합관리의 수요가 제기 되고 있다. 이에 해양수산 R&D사업에서는 사업별 통합 DB 구축사업이 진행되고 있고, '관할해역해양정보 공동활용시스템(JOISS)'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JOISS는 2012년부터 시작된 '관할해역 해양정보 공동활용체계 구축'과제를 통해 자료 표준화 연구와 함께 해양과학조사 분야의 R&D과제들과 실시간 해양관측망으로부터 산출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보서비스를 구현한 시스템이다. 2016년 1차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여 현재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해양관측 데이터 수집 공유 서비스 외 해양수산 R&D사업과 연계된 다양한 정보들을 나누고 소통하는 온라인 장을 구현하기 위해 '해양수산 R&D 지식정보 시스템(OFRIS)' 개발사업이 별도로 진행되고 있다. OFRIS는 해양수산 R&D사업을 통한 데이터의 원할한 수집 및 품질관리 등의 문제를 보완하고, 그 외에도 사업별로 분산 관리되고 있는 R&D 관련 정보를 연계하고, 기술공급자와 수요자를 직접 연결해 주는 '개방형 기술 정보 중개 시스템'으로의 역할, 국내외 해양수산 R&D관련 정책 연구 산업 동향을 엄선하여 제공하는 등 해양수산 R&D 종합 포털로서 기능구현을 목표하고 있다. 2017년 말 1단계 개발 완료를 앞두고 있으며, 1단계에서는 시급성 높고, 수요가 많은 (1) R&D동향, (2) 과제이력, (3) 연구성과, (4) 기술거래, (5) DB공유 등 5대 기능을 우선 구현하고, 2단계에서는 통계자료 생산 및 분석 기능 강화, 3단계에서는 해양수산 산업통계, 인력, 교육 등의 정보를 서비스하는 포털로 확장할 계획이다. JOISS, OFRIS를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해양수산 R&D의 정보를 수집 관리 하는데 있어 다양한 현안 문제 등이 도출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연구자들의 자발적 데이터 제공 협조, 데이터의 표준화 및 품질검증, 구축된 데이터의 활용 및 피드백 등에 대해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응 방안이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sing S&T Authority Data (과학기술 전거데이터를 이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동향 분석)

  • Lee, Seok-Hyoung;You, Beom-J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8 no.4
    • /
    • pp.377-399
    • /
    • 2014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search tren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in Korea using science and technology authority data which has been constructed by KISTI. The authority data is a set of data given a unique identifier to identify a unique object for the authors, affiliations and journal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paper that published in Korea or written by Korean authors. We examined collaborating patterns, authors and institutional productivity through analyzing the 5 domestic LIS journals published from 1997 to 2013.

A Study on Developing Metadata Elements and Database of the Science Information for Youth (청소년 과학정보 메타데이터 요소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 Kwak, Se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8 no.1
    • /
    • pp.263-279
    • /
    • 2004
  • This study intends to design a metadata service system of the science information for youth on the web based on the efficiency of the metadata system. Metadata scheme of the science information for youth on the web has been developed and designed metadata collection on the basis of the previously designed classification system. Metadata scheme of the science information for youth, which is consisted of six essential elements and four additional elements, has been brought out, compared to not only Dublin Core Metadata Element Set, but also the main studies related to domestic and foreign metadata projects. Based on the results of it, metadata database of the science information has been designed and it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metadata service system of the science information for youth on the web.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Australian National Data Service(ANDS) (오스트레일리아의 과학데이터 서비스체제(ANDS) 분석과 시사점)

  • Park, Dong-J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3
    • /
    • pp.1-10
    • /
    • 2011
  • Our country does not currently have a concrete policy for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 scientific dataset on the national level. The scientists and the research groups that are implementing a research project are not capable of searching or shar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dataset. In this situation where there is a major increase in the number of researches that use digitalized dataset, being able to share and reuse the scientific data amongst researchers is recognized to be very important. Therefore our country needs a new formulated policy that manages scientific data on the national level. This paper helps to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strategic planning in our country by analyzing previous advanced case studies done by foreign countries. We selected Australia as our subject because its intensive government-driven research environment, research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service are very similar to Korea. To be specific, we analyzed ANDS (Australian National Data Service) and drew out the implications that could be applied to our country also. And finally we propose the basic principles that needs to be mirrored when formulating a policy on our country's scientific data.

A Case Study of the Curriculum of Data Scienc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초등교사 대상의 기초 데이터 과학 교육의 사례 연구)

  • Jo, J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5 no.6
    • /
    • pp.899-906
    • /
    • 2021
  • Data science is a discipline comprised of the academic fields of statistics, computer science, information technology, and domain knowledge. It analyzes data and derives meaningful results using complex technologies. Data science, alo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cor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sequently, universities and companies worldwide are actively developing programs to develop data scientists who require high levels of expertise. In line with this undertaking,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ata science education and so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 curricula design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how to use data. This paper proposes a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mostly non-majors in the computer field about data science. Satisfact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student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data science education proposed in this paper.

A Receiver-Centric Carrier Sense Technique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수신자 중심 캐리어 센싱 기법)

  • Yoo, Joon;Kim, Chong-Kwo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7 no.4
    • /
    • pp.307-311
    • /
    • 2010
  • Most wireless ad hoc networks use sender-centric carrier sensing where a data sender determines the transmission timing through channel assessment. However, sender-centric carrier sensing suffers from both exposed and hidden terminal problems even with physical and virtual carrier sen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receiver-centric carrier sense (RCS) technique where a data receiver triggers packet transmission based on local channel assessment. Through both numerical analysis and simulation studies, we show that the proposed RCS achieves up to 20.9% higher throughput than previous receiver-centric approaches.

Learning data production technique for visual optimization of generative models (생성모델의 시각적 최적화를 위한 학습데이터 제작기법)

  • Cho, Hyeongrae;Park, Goo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3-14
    • /
    • 2021
  • 본 논문은 생성모델의 학습데이터 제작기법에 대한 실험 및 결과와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기술한다. GAN으로 대표되는 생성모델이 아티스트에게 얼마만큼의 만족도와 영감을 주는지를 비교 실험 및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제된 학습데이터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아티스트의 작품은 데이터 세트를 만들기에는 그 수가 적고 인공지능이 학습하기에도 정제되어있지 않다. 2차 가공작업을 통하여 아티스트의 원본 작업과 유사한 데이터 세트의 구축은 생성모델의 성능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연구의 결과 생성모델이 표현하기 어려운 스타일의 작가 작품을 선정한 뒤 최적의 학습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실험과 기법을 통해 구축한 데이터 세트를 생성모델 알고리즘에 적용하고 실험을 통해 창작자의 작품제작 의도인 작가 진술에 최대한 유사한 이미지의 생성과 더 나아가 작가가 생각하지 못했던 창조적 모방의 결과물을 도출하였고 작가평가를 통해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 PDF

Personal Recommendation Service Design Through Big Data Analysis on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Platform (과학기술정보 서비스 플랫폼에서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화 추천서비스 설계)

  • Kim, Dou-Gyu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8 no.4
    • /
    • pp.501-518
    • /
    • 2017
  • Reducing the time it takes for researchers to acquire knowledge and introduce them into research activities can be regarded as an indispensable factor in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uster the information usage patterns of KOSEN users and to suggest optimization method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algorithm for grouped users. Based on user research activities and usage information, after identifying appropriate services and contents, we applied a Spark based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to derive a personal recommendation algorithm. Individual recommendation algorithms can save time to search for user information and can help to find appropriat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