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댐퍼변위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댐퍼 스트럿 형상에 따른 의존성 평가 (Dependency Evaluation According to Damper Strut Type)

  • 이현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78-8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I형 스트럿 및 S형 스트럿 강재댐퍼의 변위 및 속도의존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2개의 강재댐퍼를 제작하여 의존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시험 변수는 스트럿 형상, 목표 변위 및 속도이다. 의존성 시험에 의한 반복횟수 평가결과, ASCE 7-10에서 규정한 최소 반복횟수 5회를 충분히 상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변위의존성 평가결과, 큰 목표변위 (50mm)의 반복횟수 및 누적에너지소산능력은 적은 목표변위 (25mm)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또한 짧은 목표변위보다 큰 항복강도 및 조기파단을 나타내었다. 속도의존성 평가에서는 빠른 목표속도 (60mm/sec)의 반복횟수 및 누적에너지소산능력이 느린 목표속도 (40mm/sec)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강재댐퍼의 기본 물성, 의존성 평가, 누적에너지소산능력 평가결과, S형 스트럿을 가지는 강재댐퍼의 의존 능력이 I형보다 윌등히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강재 스트립과 스프링의 혼합형 댐퍼 (Hybrid Damper of Steel Strip and Spring)

  • 김동백;이인덕;이재원;김종훈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9-300
    • /
    • 2022
  • 구조물의 내진보강방법 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인 강재 이력형 감쇠장치는 수평하중에 대한 응력-변위 곡선을 이용하여 지진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방법인데, 이 경우 편심하중 등에 의해서 부재가 면 외 방향으로 거동하여 응력-변위곡선이 불규칙하여 그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형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채널(Channel)을 시공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며, 또한 수평력이 반복적으로 작용할 때 그 효과를 장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재 스트립과 스프링을 결합한 댐퍼를 고안하여 스프링은 탄성변형을, 강재 스트립은 소성변형을 받게 하는 혼합형 댐퍼를 개발하고자한다. 여기서, 스프링은 복원력으로 작용하여 반복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키우고 강재 스트립의 하중변위 곡선을 규칙적으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에너지 소산량을 계산할 때 편리함과 정확도를 높이고자 한다. 강재 스트립의 폭과 길이는 일정하지만 두께를 변화시켜서 5종류를 선택하였으며, 댐퍼 1개당 3개의 스트립을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하고 그 중심에 상당한 강성을 갖는 스프링을 갖는 형태로 제작하였다. 댐퍼 시험체는 5개를 제작한 후, 이 댐퍼를 구조물에 배치하였을 때의 지진에 대한 에너지 소산량과 부재력을 검토하여 댐퍼의 안전성(Safety)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꺽쇠형 강재 댐퍼의 변위 및 속도 의존성 (Displacement and Velocity Dependence of Clamped Shape Metallic Dampers)

  • 이현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62-7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자형 슬릿형 강재댐퍼보다 에너지 소산능력 등이 우수할 것으로 평가된 꺽쇠형 강재 댐퍼의 변위 및 속도의존성 평가에 있다. 이를 위하여 6개의 시험체를 대상으로 의존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변수는 변위의존성 및 속도의존성이다. 변위의존성 시험결과, 큰 목표변위 (50mm)의 반복횟수 및 누적에너지소산능력은 적은 목표변위 (25mm)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또한 짧은 목표변위보다 큰 항복강도 및 조기파단을 나타내었다. 속도의존성 평가에서는 빠른 목표속도(60mm/sec)의 반복횟수 및 누적에너지소산능력이 느린 목표속도 (40mm/sec)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따라서 강재댐퍼의 이력 의존성은 가력 변위 및 속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변위증폭형 점탄성 댐퍼시스템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n Viscoelastic Damper System with Displacement-Amplification Unit)

  • 손영선;최기선;유영찬;김긍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205-20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제진장치에 유도되는 변위응답을 증폭함으로써 기존 점탄성댐퍼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변위증폭형 제진시스템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변위증폭시스템은 지진응답에 의한 층간 횡변위를 약 2$\sim$4배 정도 증폭할 수 있어 기존 가새형태의 댐퍼보강에 비해 지진응답을 제어 하는데 능력이 매우 탁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해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시스템 별 변위증폭비 $\beta$의 일반식을 제안하였으며, 각 시스템의 시간이력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변위증폭비 $\beta$의 사용가능여부를 검토하였다.

  • PDF

횡 변위 조절을 위한 강재 댐퍼의 이력 거동 (Hysteretic Behavior of Steel Damper for the Lateral Displacement Control)

  • 이현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46-52
    • /
    • 2018
  • 기존 골조구조물의 횡 변위 조절이 가능한 댐퍼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세개발 및 성능실험을 실시하였다. 개발 상세는 기둥간 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ALD및 층간변위를 제어하기 위하여 고안된 AWD로 구분되며, 기존 연구결과의 비보강 BF를 비교대상으로 사용하였다. 파괴양상, 하중-변위 곡선, 포락선, 최대강도, 강성저하 및 에너지 소산능력 등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ALD 및 AWD의 내진보강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라미드 시트로 기둥을 구속하는 공법이 내진성능 향상에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횡변형 방지 상세 유무 및 스트럿 형상에 따른 강재댐퍼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Steel Dampers with or without Lateral Deformation Prevention Details and Strut Shapes)

  • 이현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66-7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록킹 거동을 하는 강재댐퍼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를 근간으로 스트럿 높이가 동일하고 단면적이 유사한 댐퍼 7개의 실험결과를 비교하였다. 강판댐퍼로 Ldpd(횡변형 방지 상세) 없는 SI-260, SV-260, SS-260, Ldpd 있는 I-1, V-1, S-1 및 강봉댐퍼인 R20-260을 평가하였다. 또한 단면적이 0.56배인 R15-260도 같이 평가하여, 강봉댐퍼 거동 성능을 적절히 평가하고자 하였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강판댐퍼의 일방향성을 개선한 강봉댐퍼 적용의 우수성이며, 이는 모멘트 저항 능력 및 변위비 평가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결과, 강봉댐퍼인 R20-260의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변위비 2.0까지 변형 능력을 나타내어, 충분한 내진성능을 보유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능동 점성감쇠를 이용한 유체댐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ydraulic Damper using Semi-Active Viscous Damping)

  • 전종균;김현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5-2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교량 밑 건축구조물, 각종 기계부품의 진동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MR유체를 이용한 댐퍼를 연구하였다. MR 유체의 특성을 이용한 댐퍼를 모델링하여, 설계도면을 기초로 MR 댐퍼를 제작하였다. 만능재료 시험기를 이용하여 주파수와 전류 및 변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켜가며 성능실험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주파수, 전류 및 변위에 따라 댐핑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변위비례식 마찰댐퍼 시스템의 임펄스 가진 응답해석 (Impulse Response Analysis of an Amplitude Proportional Friction Damper System)

  • 최명진;박동훈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377-384
    • /
    • 2004
  • An Amplitude Proportional Friction Damper (APFD), in which the friction force is proportional to the system displacement, has been introduced and mathematically modeled. To understand the damping characteristics of APFD, analytical solutions for the impulse response has been derivedand compared to the viscous damper. It is found that APFD system has very similar damping characteristics to viscous damper even though it is a friction damper. APFD may be used as a cost-effective substitution for the viscous damper and could also be used to improve the simple friction or Coulomb dampersince APFD works with no stick-slip and always returns to original position when external disturbance is disappeared.

변위비례식 마찰댐퍼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n Amplitude Proportional Friction Damper)

  • 박동훈;최명진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7-720
    • /
    • 2002
  • An Amplitude Proportional Friction Damper (APFD) system is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stick-slip characteristics of Coulomb friction damper. The frictional force is proportional to the amplitude in APFD system and the system is non-linear as is Coulomb damper system. The free vibration analysis on an 1-DOF system h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FD system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APFD system has similar damping characteristics to the viscous damper system. It is concluded that the APFD system may become a cost effective substitution for the viscous damper and it also has certain advantages over Coulomb damper system since the APFD system can be designed to work with no stick-slip.

  • PDF

건축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강재댐퍼 형상 및 이력 거동 (Metallic Damper Shape and Cyclic Behavior for the Seismic Capacity Improvement of Building Structures)

  • 이현호;김세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23-13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존 건축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공성과 설치 비용적인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강재댐퍼를 대상으로 기존 개발된 장치와 새로 개발된 형상의 장치에 대한 평가를 해석적으로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는 강도 및 에너지 소산능력으로 평가하였으며, 제안된 내력 산정식의 적용을 아울러 평가하였다. 연구대상 댐퍼의 스트럿 형상은 V형, S형이며, 댐퍼의 스트럿 높이와 각도를 주요 변수로 한 후 ABAQUS를 이용하여 유한요소 해석하였다. 해석은 최대변위를 50mm로 하고 점진적인 이력변위곡선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항복강도, 최대강도, 에너지 소산능력 평가결과, V형 및 S형 모두 우수한 성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또한 스트럿 각도 $60^{\circ}$ 및 높이 140, 200 mm의 성능이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는 S형의 응답이 V형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S형 강재댐퍼의 적용성이 V형보다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