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댐저수지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Development of GIS System for the Monitering of the Riverbed Sediment on Dam Reservoir (댐저수지 하상의 퇴적물 관리를 위한 GIS 시스템 개발)

  • Park, Joo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3-45
    • /
    • 2006
  • The interest of sediment has been increased daily because most of domestic dam reservoir's operation time have been extended and wide basin area is the main characteristics for artificial reservoir which the speed of water flow in artificial reservoir is slower than that of natural reservoir. Therefore a lot of sediment has been significantly accumulated. In this study, the accurate topographic data were obtained using echo-sounding system. GPS survey, low-frequency sub-bottom profiler, and high-frequency echo-sounding system were used to compute the exact amount of sediment. Based on the results, DEM(Digital Elevation Model) and DSM(Digital Surface Model) were generated. The GIS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sediment was created based on topographic data on the riverbed and this system can be efficiently used for the management of sediment which caused the problems of reservoir capacity and water quality.

  • PDF

Operating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Ten Wetlands Constructed in Dam Reservoirs in Korea (국내 10개 댐저수지 인공습지의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 Choi, Kwangsoon;Kim, Sea Won;Kim, Dong Sup;Lee, Yosa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3
    • /
    • pp.431-440
    • /
    • 2014
  • To propose the improvement and management plans to strengthen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dam reservoir's constructed wetlands(CWs), the operation status and configuration of CWs (including water depth, operational flow, water flow distribution, residence time, and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aspect ratio, open water/vegetation ratio etc.) were analyzed in 10 major wetlands constructed in dam reservoirs. The pollutant concentrations in the inflows of the studied CWs were lower than those of American and European constructed wetlands. Especially, organic matter concentrations in all of inflows were below 3 mg/L(as BOD) due to advanced treatment of sewage disposal plant and an intake of low concentration water during dry and normal seasons.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total nitrogen(TN) and total phosphorus(TP) for 10 CWs ranged from 7.6~67.6%(mean 24.9%) and -4.9~74.5%(mean 23.7%), respectively, showing high in wetlands treating municipal wastewater. On the other h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BOD was generally low or negative with ranging from -133.3 to 41.7%. From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and configuration of CWs, it is suggested that the low removal efficiency of dam reservoir's CWs were caused by both structural (inappropriate aspect ratio, excessive open water area) and operational (neglecting water-level management, lack of facilities and operation for first flush treatment, lake of monitoring during rainy events) problems. Therefore, to enable to play a role as a reduction facility of non-point source(NPS) pollutants, an appropriate design and operation manuals for dam reservoir's CW is urgently needed. In addition, the monitoring during rainy events, when NPS runoff occur, must be included in operation manual of CW, and then the data obtained from the monitoring is considered in estimation of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by dam reservoir's CW.

Sediment Budget Analysis of the Naesung-cheon Watershed (내성천 유역의 토사 수지 분석)

  • Kim, Dae-Gon;Yang, Moon-Yong;Ha, Sung-Won;Yu, Kwo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55-1759
    • /
    • 2010
  • 유역내 토사의 산출, 이송, 퇴적, 유출 과정을 분석하는 토사 수지 분석은 유역의 토사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핵심적인 과정이다. 또한, 댐건설은 하상에 급격한 변화, 댐 상류 하상의 상승, 댐저수지의 매몰, 댐하류 하상의 저하 등 하상 변동을 일으킨다. 그러나 기존의 하상 변동 분석에서는 모형의 핵심적인 입력 자료인 댐 저수지의 토사 유입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검토를 수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 자료와 하천 자료, 유사량 측정 자료 등을 이용하여, 유역의 토사 산출량을 추정하고 이를 하상 변동 모형의 입력 자료로 하여, 전체 유역의 토사 수지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유역의 토사 산출은 GIS 자료와 RUSLE를 적용하였다. 이 방법을 영주댐이 건설될 계획이 있는 내성천 유역에 적용하였으며, 댐 건설 후 장기적인 토사 수지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그 적용 결과 제시된 방법에 의해 기존의 하천 유사량 측정에 의한 유역의 비유사량 산정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영주 댐 건설에 따라 상당히 큰 규모의 하상 변동이 예상되며, 이에 대한 토사 관리 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Load from a Dam Reservoir Watershed - Case study on Seomjinkang Dam Reservoir - (댐저수지 유역의 오염부하 유출특성 - 섬진강댐 저수지를 중심으로 -)

  • Lee, Yo-Sang;Gang, Byeong-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6
    • /
    • pp.757-764
    • /
    • 2000
  • The investigation of water quality was performed at the upstream of Seomjinkang dam reservoir for the examination of pollutant load characteristics of the reservoir watershed during flood and normal flow periods. The highest water quality concentration was occurred at Y ongsan during normal flow period where it has been more polluted by population and livestock than other sites. Pollutant load varied depending on the sampling site, rainfall intensity and antecedent precipitation during the rainy period.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d from 1998 to 1999, the average concentration during rainy period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non~rainy period: BOD was 1.2~1.4 times, COD 1.2~1.7 times, SS 2.6~5.4 times, T-N 2.3~3.0 times, and T-P 2.4~7.5 times respectively. When the pollutant load measured during 7 different rainy periods in 1999 was compared with total pollutant load in 1999, the BOD and COD load measured during the 7 different rainy periods were 28% that is about 1.6 times as high as those of 1999. On the other hand, the rainfall amount measured during the 7 different rainy periods was about 17.5% of total rainfall amount in 1999. The total pollutant load of TN and TP measured during the 7 different rainy periods was almost 50% of total TN and TP loads in 1999. In case of SS, it was 72.8%. It was concluded that the inflow of pollutants into the lake during the rainy period held a high portion of total inflow in 1999. It was suggested that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be performed to better quantity pollutant load to the lake especially during rainy periods.eriods.

  • PDF

Tracking of water level curve for improvement of dam inflow measurement in Youngdam (용담호 홍수기 유입량 산정 개선을 위한 수면곡선 추적)

  • Hwang, Eui-Ho;Kwon, Hyung-Joong;Lee, Geun-Sang;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33-2237
    • /
    • 2008
  • 기존 댐저수지 유입량 산정은 수위-저수량곡선에 댐축에서 측정된 수위를 적용하여 시간당 저수량변화를 계산한 후 방류량을 감안하여 산정하고 있으나, 특히 홍수시 저수지내의 수위가 균일하지 않아 유입량 산정 시 오차 원인이 되고 있다. 홍수기 댐 저수지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큰 불확실도를 가지고 있는 유입량의 정확한 모의를 위해서는 유역 상류 유입부 유량뿐 아니라 저수지 내에서의 수위관측 필요하며, 또한 기존 방법에 의한 유입량 계산의 오차 규명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GIS를 이용한 저수지의 저수위-저류량곡선 개선 및 댐저수지 구간별 수위관측을 통한 실시간 홍수 유입량 산정 시스템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현행 댐 저수지에서 운영되고 있는 수위관측소를 포함하여 관측지점을 확대하고 실시간 수위관측이 가능한 통신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관측지점의 확대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어 주요 지점의 수면 프로파일을 구축하여 호내 유입량 산정에 대한 재검토를 진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구간별 수위 모의가 가능한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저수지 내의 수면곡선 분포를 모의하고 저수지 내에서 관측한 수위자료와 비교하였다. 또한 관측된 수위자료의 체계적인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통신망의 안전성 확보를 통한 결측 자료가 발생하지 않도록 USN Gateway와 CDMA를 연동하여 통신망을 구성하였다. 나아가, 댐 저수지 유입량 산정에 대한 재검토와 실시간 수위관측 방법에 대한 신기술 도입을 통하여 물관리 부서에 즉시 적용이 가능하도록 유입량 산정 방법과 센서 기술 적용 방법 및 확장성을 제시하였다.

  • PDF

Projection of Climate Change Impact on Water Environment in Multipurpose Dam Reservoir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다목적댐 저수지의 수환경 취약성 전망)

  • Kang, Boo-Sik;Kim, Seong-Joon;Chung, Se-Woong;Kim, Young-Do;Shin, Jae-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47-247
    • /
    • 2012
  • 기후변화로 나타나게 될 댐 저수지의 수질 및 생태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은 국가 수자원관리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대비해야할 중요한 문제로써, 수자원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 및 활용하기 위해서 기후변화로 인한 댐 저수지의 수환경 변화의 정확한 분석과 취약성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한 신뢰성 있는 영향평가를 위해서는 기후변화시나리오 분석, 댐 유역의 오염물질 유출을 시 공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유역 모델과 댐저수지로 유입된 이후 오염물질 거동 분석을 위한 저수지 모델이 필요하며, 특히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하에서의 미래 전망과 발생가능한 취약성을 예측 및 평가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총 7개의 다목적댐 유역과 저수지에 대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신뢰성이 있는 영향평가를 위해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상세화를 통한 상세지역의 기후예측, 댐 유역 모형에서의 유출, 토사 및 오염물질예측과 저수지모형을 통한 미래의 저수지내 오염/영양물질순환 및 분포예측을 통해 기후변화에 의한 다목적댐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총 7개의 다목적댐 유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유출변화 및 하천수질 전망을 위해 인공신경망 방법에 의해 상세화된 기후자료를 검보정된 SWAT 모형에 적용하였다. 이때, 기준년에 해당하는 Baseline 기간은 인공신경망 학습기간(1990-2010)과 동일하게 모의하였으며, 미래 분석기간 역시 마찬가지로 2011-2040, 2041-2070, 2071-2100의 3개 기간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미래 전망결과에 대한 분석은 각 30년 일별 모의결과에 대한 월 평균, 계절 평균으로 분석하였다. 유출변화 전망은 댐유역별 월별 총유입량 변화와 함께 유황분석을 통해 미래 댐유입량에 대한 규모 및 변동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하천수질 변화 전망을 위해 호소유입 하천의 Sediment, TN, TP 월별 오염부하량 변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댐유입 총량에 대한 변동성을 분석한 후, 저수지수질모델의 입력경계조건에 해당하는 각 댐저수지 유입 하천의 미래 유출량 및 수질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댐수몰지내 지하수/토양 오염관리를 위한 조사기법 제안

  • 박재현;김형수;원이정;석희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299-301
    • /
    • 2004
  • 댐수몰 예정지 상류에 일반적으로 분포하는 폐광산, 축산단지, 군사격장 등의 점오염원에 의하여 댐수몰 예정지 상류지역의 지하수 및 토양이 오염된 사례가 많으며, 이러한 오염은 댐 건설을 위한 적지선정시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댐 건설중에도 댐저수지 수질을 지속적으로 악화시키는 요인들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지하수내에 잔존하는 오염물들은 지하수 유동특성상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므로, 댐건설이 완료된 담수후에도 지속적으로 수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국내외에 수행되었거나 진행중인 댐수몰 예정지의 오염조사 평가 및 복원ㆍ정화 사례를 조사하는 한편, 현재 댐건설이 예정된 지역에 대하여 직접적인 현장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국내에 적합한 조사ㆍ평가 기법과 복원ㆍ정화 기법을 개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cheme of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on Lake Okjeoung (옥정호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방안)

  • Lee, Yo-Sang;Kim, U-G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5
    • /
    • pp.487-497
    • /
    • 2001
  • Investigated data on Lake Okjeong were used for the simulation of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effective scheme of water quality management on reservoir has been proposed.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water quality of Lake Okjeong is under eutrophic and mesotrophic condition even though there are seasonal variation. The water quality of lake is mainly affected by the inflow of pollutant load from watershed. Therefore, to estimate and quantify the accurate amounts of pollutants flowing into reservoir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on Lake Okjeong. When the pollutant load measured during 7 different rainy periods in 1999 was compared with total pollutant load in 1999. TN and TP measured during 7 different rainy periods showed almost 50% of total pollutant load. In case of SS, it was 72.8%. On the other hand, the rainfall amount measured during the 7 different rainy periods was about 17.5% of total rainfall amount in 1999. Release rate of TP shows 11.92 mg/L at fish farm site and 0.2∼1.9 mg/L at monitoring station of water quality on Lake Okjeong, and which is considered to be less than that of other foreign reservoirs under the circumstances of anoxic condit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on Lake Okjeong. WASP5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 has been applied and verified, and the verified model was used to propose the effective scheme of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is case, 6 different scenarios were applied, by changing the amount of inflow of pollutant load in each subbasin. The most effective scheme has turned out that pollutant load generated from Imsil and Gwanchon subbasin should be reduced, and the best way to improve the water a quality is to reduce the pollutant load at every subbasin.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should be located at every subbas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