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댐습지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ssessment of A Dam-Wetland Functions Considering Hydrogeomorphic Characteristics (수문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한 댐습지의 기능평가)

  • Kim, Duck-Gil;Shin, Han-Kyu;Kim, Hung-Soo;Kim, J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06-1010
    • /
    • 2010
  • 기존의 댐에 대한 연구는 이 치수 및 전력생산, 환경문제와 같은 댐의 전통적인 기능과 그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으나 댐의 친환경적 활용방안 및 댐에 서식하고 있는 동 식물 및 생태계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댐 상류지역 및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는 댐의 수질개선, 희귀 동 식물의 서식처 확보 등과 같은 생태보존, 위락 경관 생태공원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댐유역에 위치하고 있는 자연습지의 보전뿐만 아니라 훼손에 따른 대체습지(인공습지)의 필요성이 점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댐을 대상으로 댐이 지니고 있는 습지의 역할을 검토하고자 수문지형학적 방법인 HGM 방법을 이용하여 댐습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HGM 방법을 이용하여 댐습지의 기능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상습지와 기준습지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의 대상지역은 댐 유역내 습지지역이 조성되어 있는 보령댐으로 선정하였으며, 기준지역은 보전이 잘 되어 있고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우포늪으로 선정하였다. HGM 방법에서의 기능 평가는 수문학적, 생지화학적, 식물 서식처 그리고 동물 서식처 측면으로 구분하여 대상지역과 기준지역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댐습지가 지니고 있는 습지의 기능이 자연습지에 비해 평균적으로 약 50%정도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댐습지가 습지로서의 역할을 기능적으로 100% 수행을 못하고 있지만, 댐이 습지의 기능을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는 수행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Assessment of Dam-Wetland Functions and Economic Value using HGM and CVM (HGM과 CVM을 이용한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 Kim, Duck-Gil;Yoo, Byong-Kook;Kim, Hung-Soo;Jang, Su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7-187
    • /
    • 2012
  •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생물다양성, 홍수조절, 온실가스 저감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습지에 대한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습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 중 하나가 댐 및 주변지역을 습지로 조성하여 활용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댐 및 주변지역의 습지로서의 활용을 위한 특성 파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 주변지역에 조성된 습지와 댐 저수지 자체를 모두 포함하여 댐습지라고 정의하고, 댐습지가 지니고 있는 습지의 기능 및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기준습지와 대상습지로 구분되며, 기준습지는 우포늪과 보령댐, 대상습지는 용담댐이다. 댐습지의 기능평가는 수문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하는 HGM(Hydrogeomorphic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가치평가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였다. 기능평가 결과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각각 기준지역으로 선정하였을 경우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자연습지인 우포늪을 기준지역으로 선정하였을 경우에는 댐의 주목적과 관련이 있는 수문학적 기능이 높게 평가되었으나 습지 내에서 진행되는 생지화학적 기능과 다양한 식물 종에 대한 서식처로써의 기능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령댐을 기준지역을 선정하였을 경우에는 일부 기능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기능이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의 경제적 가치평가는 댐습지 생태공원조성에 따른 훼손된 습지의 보호, 희귀생물종의 보호, 휴양 및 여가기능 제공을 주요인으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가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용담댐의 총 가치는 우포늪의 가치와 비교하였을 때 우포늪의 35~41%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결과는 댐이 단순히 이 치수 측면으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생태학적으로도 활용성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서 향후 댐의 친환경적 활용 방안 및 댐습지 관리 방안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증진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of Yongdam Dam-wetland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가치평가 연구)

  • ;Yoo, Byong-Kook;Kim, Jae-Geun;Shin, Han-Kyu;Kim, Hung-Soo;Ahn, Kyung-Soo;Jang, Suk-W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1
    • /
    • pp.147-158
    • /
    • 2012
  • Recently,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for the value for wetlands with increased interest about wetlands. However, the value assessment for wetlands was usually conducted for natural wetlands only, without consideration for Dam-wetlands. In this study, we assumed that a dam carried out a function of wetlands and defined such dams as Dam-wetlands.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was used in value assessment method. Study area of this study is Yongdam-dam. We performed questionnaire survey in six metropolitan cities for the value assessment of Dam-wetland. As a result, the total values of a Yongdam-dam is estimated as 4.2 billion-won for construction scenario of wetland ecological park.

Functional Assessment of Yongdam Dam-wetland by HGM (HGM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기능평가 연구)

  • Kim, Duck-Gil;Shin, Han-Kyu;Kim, Jae-Geun;Kim, Hung-Soo;Yoo, Byong-Kook;Ahn, Kyung-Soo;Jang, Seok-W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3
    • /
    • pp.665-675
    • /
    • 2011
  • Dam as a Wetland can provide functions of ecological conservation, water quality improvement, landscape, and so on as well as. Dam's own various functions. Here we tried to assess function and value of Yongdam dam as a wetland by Hydrogeomorphic(HGM) Method which was developed by U.S. Army Corps of Engineers. In this study, the Upo wetland and Boryeong dam were selected as reference wetlands to assess the functional index of the Yongdam dam. As the results, we obtained the functional index values over 0.6 for total index of the Yongdam dam. It describes that Yong dam dam-wetland is providing over 60% functions of the Upo wetland and Boryung dam-wetland. This result suggests that dam-wetland can provide good wetland functions efficiently if we conserve and manage well.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and Functions of Dam-wetland(2) - Assessment of Value by CE : Focussing on Boryeong Dam -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연구(2) - CE를 이용한 가치평가 : 보령댐을 대상으로 -)

  • Kim, Duck-Gil;Yoo, Byong-Kook;Kim, Jae-Geun;Shin, Han-Kyu;Kim, Hung-Soo;Park, Doo-Ho;Ahn, Jae-Hyun;Ahn, Kyung-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3
    • /
    • pp.133-143
    • /
    • 2009
  • Recently,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for the value for wetlands with increased interest about wetlands. However, the value assessment for wetlands was usually conducted for 송 natural wetlands only, without consideration for Dam-wetlands. In this study, we assumed that a dam carried out a function of wetlands and defined such dams as Dam-wetlands. Choice Experiment(CE) was used in value assessment method. Study area of this study is Boryeong-dam. We performed questionnaire survey in six metropolitan cities and Boryeong city for the value assessment of Dam-wetland.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was analyzed using a Conditional Logit(CL) and a Random Parameter Logic(RPL). Therefore, the total values of a Boryeong-dam is estimated as 72.8 billion-won when consider the wetlands of surrounding area.

  • PDF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and Functions of Dam-wetland(1) - Assessment of Functions by HGM : Focussing on Boryung Dam -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연구(1) - HGM을 이용한 기능평가 : 보령댐을 대상으로 -)

  • Shin, Han-Kyu;Kim, Duck-Gil;Kim, Jae-Geun;Kim, Hung-Soo;Ahn, Jae-Hyun;Yoo, Byong-Kook;Ahn, Kyung-Soo;Park, Doo-H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3
    • /
    • pp.115-132
    • /
    • 2009
  • We defined a dam as a wetland for assessing wetland functions of man made dam. We compared Boryung dam with Upo wetland by HGM assessment. Hydrologic functions of Boryung dam are not good at short term water storage, but good at long term water storage. Biogeochemical functions of Boryung dam are about 50% of Upo wetland's functions. Boryung dam is a good wetland as a plant habitats and animal habitats. But functions as a habitat for birds were not good. With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making clear merits and demerits of Boryung dam’s functions as a wetland.

  • PDF

Hydraulic Management for Artificial wetland in a Yeongju Dam (인공정화습지 운영을 위한 수리적 관리방안-영주댐 사례)

  • Cho, Han Bum;Kim, Young-Jin;Park, D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72-476
    • /
    • 2018
  • 비점오염물의 제거를 위해 설치하는 인공습지의 경우, 습지내로 유입되는 취입량과 배수량은 습지내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체류시간을 결정하고, 습지의 침수를 방지하기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사안이다. 습지의 유출입시설을 관리하고 조작하는 관리자의 입장에서 관리메뉴얼이 명확하고 직관적이지 못할 경우 강우초기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습지의 침수 및 범람을 일으킬 수 있으며, 초기 우수 시 오염부하를 저감해야 하는 인공습지 본래의 기능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각종 설계기준과 관리기준에는 이러한 사안에 대해 서언적인 관리방안만을 제시하고 있고 인공습지 설계에서도 설계서에 보편적인 내용만을 관성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영주댐 인공습지 관리메뉴얼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인공습지의 설계강우량을 통해 유역의 유출유량을 산출하고, 강우별 하천수위를 산출하여 습지내 유입유량과 취수문 개도높이별 유입량 결정을 하였다. 결정된 수위별 수문개도 높이를 세부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관리자는 원거리에서도 수문조작을 판단하여 대응할 수 있는 실무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Study on Lacustrine Wetland around YangSu-Ri (양수리 호소형 습지에 관한 연구)

  • Sook, Moon-Hyu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64
    • /
    • pp.49-59
    • /
    • 2004
  • This study area that is big Lake by Pauldang-Dam on 1973 that is together North Han-River, South Han-River, and GyaungAn-River. So, Lake flow slow, have many deposit-silt, sand, Pebble etc. Large Land is submerge. in result, Lacustrin wetland became. Water sources are precipitation, river, aquifer. But this wetland is made by dam's water control plan.

Potential damage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by topsoil erosion (표토침식에 따른 내륙습지 훼손 가능성 평가)

  • Kim, Seongwon;Jeong, Anchul;Lee, Daeeop;Lee, Gi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7
    • /
    • pp.521-53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wetland damage considering the effects of topsoil erosion and deposition from rainfall. In the Cheoncheon Basin located upstream of the Yongdam Dam, 16 wetlands are located, but the lacustrine and small palustrine wetland were analyzed for possible damage to erosion and deposi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yphoon events in 2002 and 2003, the sediment load from the upper basin was the highest at 2.30% (22,548 ㎥) of low water capacity. The average sediment load in the mountain areas was found to be 0.03% of the low water capacity, and it was analyzed to be less damaging than the lacustrine with relatively large watershed. as a result of the model, the lacustrine wetland, where a large area is used as agricultural land, shows a high probability of sediment yield, so it is highly likely to damage the wetland by topsoil erosion.

Considera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World Wetlands (습지보전에 관한 고찰)

  • Lee, Chan-Won;Yoon, Sung-Y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 no.1
    • /
    • pp.71-75
    • /
    • 1999
  • 세계각국 습지의 크기와 자연환경은 서로 다르지만 습지는 강과 관련이 되어있고, 여러 환경문제와 관련이 되어있다. 댐과 운하의 건설은 건기와 우기에 자연적인 홍수조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늪과 수질과 자연생태계는 정화되지 못한 가정하수와 강우 등에 영향을 받는다. 늪 주변의 산림벌채 및 습지저층 수로주위의 광범위한 퇴적지대가 형성된다. 습지유역의 경작으로 인하여 비료, 퇴비 등의 사용으로 습지의 부영양화를 가중시키게 된다. 습지의 부영양화와 오염된 퇴적물에 의한 수질악화는 전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습지의 근본적인 문제는 무분별한 탐조활동, 환경오염으로 인한 동 식물의 감소 등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이다. 그러므로, 가장 좋은 습지의 보전방법은 자연그대로 지속시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