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화형 인공지능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Proposal of an Interactive Simulation Game using SER (Speech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SER 기술을 이용한 대화형 시뮬레이션 게임 제안)

  • Lee, Kang-Hee;Jeon, Se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445-44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단순히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수준에 그쳤던 현대의 인공지능을 SER (Speech Emotion Recognition)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대화하는 형식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사용자의 음성 언어에서 감정을 추출하여 인공지능 분야 및 챗봇과 대화함에 있어 좀더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것을 대화형 시뮬레이션 게임에 접목시켜 단순한 선택형 대화 방식이 아닌 구어체로 대화하며 사용자에게 높은 몰입도를 줄 수 있다.

  • PDF

Multi Agent Multi Action system for AI care service for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radar sensor (레이더 센서 기반 독거노인 AI 돌봄 서비스를 위한 다중 에이전트 다중 액션 시스템)

  • Chae-Byeol Lee;Kwon-Taeg Choi;Jung-HO Ahn;Kyu-Chang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7-68
    • /
    • 2023
  • 본 논문에서 제안한 Multi Agent Multi Action은 기존의 대화형 시스템 방식인 Single Agent Single Action 구조에 비해 확장성을 갖춘 대화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시스템을 여러 에이전트로 분할하고, 각 에이전트가 특정 액션에 대한 처리를 담당함으로써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인 대화형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작업에 특화된 에이전트를 그룹화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 시킬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Search Service based on Deep Learning and Morpheme Analysis in NTIS System (NTIS 시스템에서 딥러닝과 형태소 분석 기반의 대화형 검색 서비스 설계 및 구현)

  • Lee, Jong-Won;Kim, Tae-Hyun;Choi, Kwang-Nam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12
    • /
    • pp.9-14
    • /
    • 2020
  • Currently, NTIS (National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is building an interactive search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order to understand users' search intentions and provide R&D information, an interactive search service is built based on deep learning models and morpheme analyzers. The deep learning model learns based on the log data loaded when using NTIS and interactive search services and understands the user's search intention. And it provides task information through step-by-step search. Understanding the search intent makes exception handling easier, and step-by-step search makes it easier and faster to obtain the desired information than integrated search. For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ange of information provided to users.

Artificial Intelligence Art : A Case study on the Artwork An Evolving GAIA (대화형 인공지능 아트 작품의 제작 연구 :진화하는 신, 가이아(An Evolving GAIA)사례를 중심으로)

  • Roh, Jinah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5
    • /
    • pp.311-318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the artistic background and implementation structure of a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active artwork, "An Evolving GAIA". Recent artwork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re introduced. Development of biomimetics and artificial life technology has burred differentiation of machine and human. In this paper, artworks presenting machine-life metaphor are shown, and the distinct implementation of conversation system is emphasized in detail. The artwork recognizes and follows the movement of audience using its eyes for natural interaction. It listens questions of the audience and replies appropriate answers by text-to-speech voice, using the conversation system implemented with an Android client in the artwork and a webserver based on the question-answering dictionary. The interaction gives to the audience discussion of meaning of life in large scale and draws sympathy for the artwork itself. The paper shows the mechanical structure, the implementation of conversational system of the artwork, and reaction of the audience which can be helpful to direct and make future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active artworks.

The development of cinema information service using chatbot (챗봇을 활용한 영화정보 서비스 개발)

  • Kim, Yu-R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5-368
    • /
    • 2018
  •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하면서 챗봇 플랫폼이 주목받고 있다. 챗봇이란 규칙 또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다. 챗봇에서 대화를 처리하는 방법은 규칙기반 대화 시스템, 검색기능 대화 시스템, 생성기반 대화 시스템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규칙 기반 대화 시스템을 바탕으로 하는 모바일 영화 챗봇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영화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Error Analysis of Recent Conversational Agent-based Commercialization Education Platform (최신 대화형 에이전트 기반 상용화 교육 플랫폼 오류 분석)

  • Lee, Seungjun;Park, Chanjun;Seo, Jaehyung;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3
    • /
    • pp.11-22
    • /
    • 2022
  •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using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are being conduc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mong the AI in Education (AIEd), conversational agents are not limited by time and space, and can learn more effectively by combining them with various AI technologies such as voice recognition and translation. This paper conducted a trend analysis on platforms that have a large number of users and used conversational agents for English learning among commercialized application. Currently commercialized educational platforms using conversational agent through trend analysis has several limitations and problems. To analyze specific problems and limitations, a comparativ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latest pre-trained large-capacity dialogue model. Sensibleness and Specificity Average (SSA) human evalu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conversational human-likeness. Based on the experiment, this paper propose the need for trained with large-capacity parameters dialogue models, educational data, and information retrieval functions for effective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시대적 압박에 따른 응용기술 수용 정도의 조절 효과에 대한 실증 연구 : 대화형 인공지능 스피커의 확산 방안을 중심으로

  • Lee, Ji-Hui;Jeon, So-Won;Lee,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97-1297
    • /
    • 2017
  • 본 연구는 대화형 인공지능 스피커의 수요 증진을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 제시를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해당 IoT기기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고찰하고 각 요인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기 사용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 되었음을 의미하는 안전에 대한 신뢰도와 기술적 흐름에 따른 시대적 압박, 기기 사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쾌락적 동기와 실용적 동기, 기기의 혁신성으로부터 오는 차별적 동기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통해 모든 요인은 각각 소비자의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차별화 욕구와 쾌락적 동기, 실용적 동기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본 연구의 핵심 연구 요인인 시대적 압박 요인의 경우 안전에 대한 신뢰도와 사용 의도에 있어 정의 영향을 주지만 차별화 욕구와 실용적 동기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연구 모델에서 취급되는 주요 요인들과 더불어 시대적 압박이라는 새로운 요인을 제시하고 그 영향력을 논증하여 융합형 기술에 기반한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갖는다

  • PDF

KOMUChat: Korean Online Community Dialogue Dataset for AI Learning (KOMUChat :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대화 데이터셋 연구)

  • YongSang Yoo;MinHwa Jung;SeungMin Lee;Min So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2
    • /
    • pp.219-240
    • /
    • 2023
  • Conversational AI which allows users to interact with satisfaction is a long-standing research topic. To develop conversational AI, it is necessary to build training data that reflects real conversations between people, but current Korean datasets are not in question-answer format or use honorifics, making it difficult for users to feel closen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versation dataset (KOMUChat) consisting of 30,767 question-answer sentence pairs collected from online communities. The question-answer pairs were collected from post titles and first comments of love and relationship counsel boards used by men and women. In addition, we removed abuse records through automatic and manual cleansing to build high quality dataset. To verify the validity of KOMUChat,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generative language model learning KOMUChat and benchmark dataset. The results showed that our dataset outperformed the benchmark dataset in terms of answer appropriateness, user satisfaction, and fulfillment of conversational AI goals. The dataset is the largest open-source single turn text data presented so far and it has the significance of building a more friendly Korean dataset by reflecting the text styles of the online community.

An Effect of AI Characteristics on the Intention to Continuous use the Chatbot Service (AI특성이 챗봇 서비스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Sae Bom;Park, Ar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203-204
    • /
    • 2020
  • 챗봇이란 인공지능 기반으로 인간과 대화하는 로봇을 일컬으며, 요청과 응답구조로 운영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말한다. 챗봇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로 기존 사용자의 언어를 이해하고 학습하여 인간이 대화하듯이 대화를 하도록 설계되어있다. 챗봇을 사용하는 회사는 인건비를 줄이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문적이고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어 활용 효율성이 높은 편이다. 그러나 회사가 챗봇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사용자는 챗봇을 계속 사용하지 않고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챗봇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인공지능 특성이 챗봇 서비스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 PDF

A study on the Automatic Generation of Conversational QA Corpora (대화형 질의응답 말뭉치 자동 생성에 대한 연구)

  • Hwang, Seonjeong;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133-138
    • /
    • 2021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자동 고객 응대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대화형 질의응답 시스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도메인의 대화형 질의응답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말뭉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대화형 질의-응답 생성 시스템을 소개한다. 또한 이전 대화 내용을 고려하여 문서로부터 사용자의 다음 질문 대상이 될만한 응답 후보를 추출하는 맥락 관련 응답 추출 과제와 이에 대한 성능 평가 지표인 Sequential F1 점수를 함께 제안한다. 대화형 질의응답 말뭉치인 CoQA에 대해 응답 후보 추출 실험을 진행한 결과 기존의 응답 추출 모델보다 우리의 맥락 관련 응답 추출 모델이 Sequential F1 점수에서 31.1 높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맥락 관련 응답 추출 모듈과 기존에 연구된 대화형 질의 생성 모듈을 결합하여 개발한 대화형 질의-응답 생성 시스템을 통해 374,260 쌍의 질의-응답으로 구성된 대화형 질의응답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