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형 진공용기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71 seconds

Consideration on the helium leak detection in a large vacuum chamber (대형 진공용기의 헬륨 누설검사 방법에 대한 고찰)

  • In, S.R.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6 no.4
    • /
    • pp.235-243
    • /
    • 2007
  • Nowadays, in our country, large vacuum chambers for huge experimental facilities such as the tokamak fusion device, high power neural beam test stand, and space simulator have been constructed. In such a vacuum chamber of very large size, it is quite complicate to check on leakage quantitatively, while the probability of a leak is relatively high.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reliably a helium leak detection to the huge vacuum chambers, and to find a reasonable methodology of choosing an optimum set-up for leak detection, several virtual constructions of the leak detection system have been analyzed by calculating the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system and the helium level in the sensor part.

대형진공시스템 유지보수 및 관리

  • Lee, Sang-Hun;Jo, Hyeok-Jin;Seo, Hui-Jun;Mun, Gw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354-354
    • /
    • 2011
  • 인공위성이 임무를 수행하는 우주환경은 지상 환경과 달리 고진공 및 극저온의 극한환경으로 지상에서는 제대로 작동하는 것으로 관찰되더라도 우주환경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기능장애를 일으켜 위성의 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에 10e-5 torr 이하의 고진공과 $-180^{\circ}C$ 이하의 극저온 환경을지상에서 모사하여 위성체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시험한다. 시험에는 열진공챔버라고 불리는 장비들이 사용이되며, 기본적으로 챔버 내부 진공형성이 중요하다. 열진공챔버들 가운데는 직경 9m, 길이 10m의 대형 진공용기도 포함이 되며, 배기를 위한 저진공 및 고진공의 펌프들이 사용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보유한 각종 우주환경모사용 챔버 및 진공펌프들은 설치 후 10년 이상 가동한 노후 장비들로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적정 유지 보수 및 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형 진공시스템의 원활한 사용을 위한 유지보수 및 관리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 PDF

Design of the discharge cleaning system for KSTAR vacuum vessel (KSTAR 제1벽 세정을 위한 방전세정 시스템 설계)

  • Jeong, S.H.;In, S.R.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6 no.5
    • /
    • pp.383-387
    • /
    • 2007
  • In this paper the design of the discharge cleaning system for KSTAR vacuum vessel is described. We first discuss about the parameters which are related the efficiency of discharge cleaning. The RG(RF-assisted Glow) discharge which has the ignition and sustain pressure lower than those in the case of DC discharge, thus has the higher efficiency of discharge cleaning. So we adopt the RG discharge, in practical design, for KSTAR discharge cleaning system. For uniformity of the cleaning effect, we plan to install two discharge cleaning systems in A- and I-port of the KSTAR vacuum vessel. The designed system will be adapted for the study of the fuel recycling and of the boronization as well as the discharge cleaning of the KSTAR vacuum vessel.

ISO 규격에서 규정한 표준용기 기체도입 도관의 직경에 대한 고찰

  • In, Sa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332-332
    • /
    • 2010
  • 진공펌프의 배기성능 지표들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표준용기에 관한 규격들은 대체로 일치하는 사양들을 제시하지만 유독 기체도입 도관의 굵기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규정하고 있어서 혼란스럽다. 현재 제정중인 ISO 규격에서는 도관 굵기를 용기 내경의 10분의 1로 규정하고 있는데 대형 펌프 용 표준용기에 맞춘다면 도관의 굵기가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 과연 이렇게 굵은 도관이 정밀한 측정을 위해 꼭 필요한지 또는 오히려 방해가 되는 것은 아닌지 검토해 보기 위해 도관 굵기에 따라 도관출구를 빠져나오는 입자들과 오리피스 및 펌프 흡기구에 입사하는 입자들의 등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계산 결과에 의하면 도관의 굵기는 오리피스 및 펌프 흡기구에 입사하는 입자들의 평균 방향 여현 값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도관이 오리피스나 흡기구 면에 국부적으로 그림자를 드리우거나 입자 분포와 평균 방향여현 분포를 왜곡시키지도 않았다. 즉 기체 도입 도관을 가늘게 해도 빔효과가 계속 전파되어서 측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별 문제가 안 되고, 도관이 규정되어 있는 범위 안에서 어느 정도 굵어져도 입자의 흐름을 방해한다는 증거는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도관의 굵기를 한 값으로 못 박기보다 넓은 범위를 주어 가공 능력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히 크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 PDF

Design of Access Fixture for a Large Vacuum Chamber (대형 열진공챔버용 내부 위성체 근접 치구 설계)

  • Lee, Sang-Hoon;Cho, Hyok-Jin;Seo, Hee-Jun;Moon, Guee-Won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8 no.1
    • /
    • pp.55-61
    • /
    • 2010
  • Thermal vacuum test should be carried ou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S/C on the ground under the simulated space environment. KARI already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a Large Thermal Vacuum Chamber(LTVC) with 8 m of diameter and 10 m of length dimension. LTVC is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the orbital environment test for large Space Craft(S/C). Inside LTVC, S/C is much smaller than LTVC. For the function test of S/C during the thermal vacuum test, the S/C has to be connected to Electrical Ground Support Equipment(EGSE) which includes several cable and RF wave guide inside LTVC. Also, MLI should be installed on S/C before the test. But it is very difficult to access the S/C inside big LTVC. To solve the accessibility to the S/C inside LTVC, KARI designed an access fixture. This fixture provides easy access to the any S/C thus can help safe installation and saving time for the related work inside LTVC. This paper describes whole process for the design of the access fix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