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형 비행기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3초

비행기나 선박은 여하히 낙뢰를 피하는가에 대한 궁리

  • 조규심
    • 전기의세계
    • /
    • 제46권10호
    • /
    • pp.44-47
    • /
    • 1997
  • 통계에 따르면 전세계 중에는 13,000대 정도의 대형 여객기가 떠나니는데 이들 비행기의 각각은 1년에 1회는 낙뢰를 맞는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 낙뢰로 여객기가 사고를 일으켰다는 이야기는 들은 바가 없다. 또 이들 낙뢰로 승객이나 승무원이 감전됐다는 이야기도 없다. 비행기와 하늘, 또 번개와 하늘은 끊을래야 끊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비행기와 번개도 끊을래야 끊을래야 끊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즉, 번개는 금속에 떨어지기 쉽다고 말하는데 비행기느 그 금속으로 되어 있다. 또, 비행기는 비행 중에는 공기와의 마찰로 인해 정전기를 대전하기 쉬운 상태로 된다. 비행기의 뇌해의 영향, 또는 비행기를 번개로부터 지키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옛적부터 행하여져 왔다. 본고에서는 어려운 이야기는 빼고 비행기와 벼락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한다.

  • PDF

대형 비행기 조종사의 착륙 조작 시의 높이지각 (Height perception of large airplane pilots during landing flare)

  • 김용석;손영우;박수애;김칠영
    • 감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539-554
    • /
    • 2007
  • 대형 비행기 조종사들은 지상으로부터 높은 조종실의 위치, 빠른 접근속도와 수직강하속도로 인하여 불충분한 시각정보를 바탕으로 착륙 조작을 하여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형 비행기의 특징으로 인하여 비행기 착륙의 최종 조작인 당김(flare) 조작을 할 때 대형 비행기 조종사들이 정확한 높이지각을 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조종석 외부로 보이는 공항에 대한 사진을 제시하고 높이 추정을 하도록 하여 정적 시각 단서만으로 정확한 높이지각이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85feet의 고도에서는 정확한 높이지각을 하나 당김 조작을 준비해야 하는 높이인 55feet부터 낮은 고도에서는 정확한 높이를 추정하지 못하였다. 연구 2에서는 착륙의 전 과정을 녹화한 화면을 보여주어 높이 추정을 하도록 하여 동적 시각 단서와 정적 시각 단서를 모두 제공하여 주었다. 시각단서가 연구 1보다 풍부하였으므로 50feet까지 정확한 높이지각을 하였으나 연구 1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당김 조작을 시작하는 높이인 30feet 이하의 저고도에서의 높이지각이 모두 부정확하였다. 시각 단서의 해석에 경험이 중요한 요인이므로 경험이 많은 기장과 경험이 적은 부기장 간의 높이 추정에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 1과 연구 2에서 모두 비교하여 보았으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 PDF

오피니언-과학기술, 위험사회 그리고 미디어

  • 김원제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24호
    • /
    • pp.144-147
    • /
    • 2004
  • 오늘날 우리네 일상은 과학기술로 구성되거나 매개된다. 정보처리기술, 유전공학기술 등 과학기술이 급속하게 혁신됨으로써 새로운 지식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기술문명이 발전할수록 물질적인 풍요는 늘어날지 모르지만 정작 우리의 삶은 점전 불안하고 위태롭고 피폐해지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새로운 지식정보를 기반으로 현대사회가 날로 복잡해지고 있으며, 인간의 삶의 질을 위협하는 위험요소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비행기 사고, 건물 붕괴 및 화재, 도시가스 폭발 등 공학 시설에서의 대형사고, 교통사고와 환경오염, 지하철 안전사고, 식품 및 의약품 위해성, 핵발전소 누출과 화학공장의 폭발위험, 유전공학에 의한 생명조작 등은 끊임없이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 PDF

정보사회를 짊어질 통신위성

  • 조규심
    • 전자공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26-134
    • /
    • 1992
  • 비행기 속, 열차의 속 어디에서나 사무실이나 가정과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다중체통신, 위성통신은 현재, 전화, TV의 전송, 전용선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최근까지 정지위성 궤도상에 떠있는 트란스폰도(transponder=transmitter+responder<송신기+응답기>) 즉, 위성 탑재 중단기의 수는 INTELSAT를 포함해서 합계 약 4,100으로 되어 있다(과거의 공산권을 포함해서). 발사로켓의 대형화, 통신위성의 대형화에 의해 위성회선의 비용은 현저히 저하되어 있으며, 위성통신의 이용은 확대일로에 있다. 위성통신은 광화이버통신, 지상마이크로파통신과 나란하는 통신네트워크의 주요한 구성요소이다. 대양횡단의 통신은 위성통신이 그 특징을 충분히 발휘하여 왔고, 해저광케이블과의 사이에서 부설자끼리 장단점을 놓고 비교를 하고 있으나, 위성통신은 넓은 지역으로부터의 통신을 수 하는 기능 또는 동일한 신호를 넓은 지역에 탑재하는 지구국에서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는 이외에도, 원양어선에로의 통신같이, 지상의 통신방식으로는 제공이 곤란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등의 특징이 있으며, 금후의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로서 더 한층 그 필요성이 증가해 갈 것이라 본다.

  • PDF

대형차량 정착용 미끄럼방지 제동장치 전자제어기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ntilock Brake Controller for a Heavy Vehicle)

  • 이기창;전정우;황돈하;남택근;김용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025-2027
    • /
    • 2003
  • 미끄럼방지 제동장치는 차량의 급제동 시 바퀴의 장김을 방지하여, 바퀴의 슬립을 최적으로 유지 시킴으로써 제동거리를 단축시키고, 운전자가 차량 조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드는 차량 안정장치이다. 이 장치는 비행기의 착륙거리를 줄이기 위해 개발된 이래로, 철도 및 차량 등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미 승용차를 위주로 양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미끄럼방지 제동 장치는 공압 브레이크 장치를 사용하는 대형차량 분야에서는 아직 국내에서 적용된 사례가 없었으나, 지난 3 년간의 연구개발의 성과로 대형 버스에 적용 가능한 미끄럼방지 제동장치의 전자제어기가 개발 완료되었으며, 국제 규격을 바탕으로 국내 현실에 적합한 미끄럼방지 제동장치 장착 대형차량의 시험 규격을 정하여 이 규격에 의거 제동시험을 실시하고 개발 제어기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각 제동 시험은 $\mu$-Jump 제동시험 및 Split-$\mu$ 제동시험 등의 직진 주행 중 급제동시험, 급제동 중 차선변경 시험, 장애물 회피 제동시험 등을 포괄하며 국제적인 규격을 기준으로 정한 독자 규격을 만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압 브레이크를 장착한 대형차량의 미끄럼방지 제동장치의 제동성능평가 시험방법을 소개하고, 이 방법에 의해 성능평가 시스템 및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여, 개발 전자제어기의 우수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측정결과의 일부를 제시하였다.

  • PDF

화산재 확산 예측결과의 삼차원 가시화 기법 (3D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Volcanic Ash Dispersion Prediction Results)

  • 윤준희;김호웅;김상민;김태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9-107
    • /
    • 2016
  • 대한민국은 화산재해로부터 안전한 지역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의 관측 결과들은 한반도 최 북 단에 위치한 백두산이 더 이상 휴화산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백두산 화산이 폭발한다면 남한지역에서는 화산재에 의한 다양한 피해가 예상된다. 특히 공중의 화산재는 운항되는 비행기의 계기판 및 엔진을 마비시킴으로써 대형 항공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산재의 삼차원 확산을 예측하여 화산재가 있는 항로를 비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행기 운항을 중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산재 확산 예측결과의 삼차원 가시화 기법을 다룬다. 우선 화산재 확산 예측 데이터의 취득에 대하여 소개한다. 확산 예측 데이터는 화산재 확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all3D를 이용한다. 다음으로 세 가지 화산재 확산 예측결과의 가시화 기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기법은 '공중의 큐브' 방식으로 화산재의 입자 농도별로 다른 색을 가진 반투명 큐브를 공중에 배치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기법은 '큐브안의 큐브'방식으로 '공중의 큐브' 방식을 개선하여 농도의 정도에 따라 큐브의 분할 정도를 달리하여 배치하는 방식이다. 마지막 방식은 '반투명 화산재 평면' 기법으로 화산재 농도를 가지고 있는 레이어 들을 적층하고 투명효과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기반으로 사용자는 목적에 맞는 방식대로 화산재 확산 예측 결과를 삼차원 가시화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