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형 비행기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비행기나 선박은 여하히 낙뢰를 피하는가에 대한 궁리

  • 조규심
    • 전기의세계
    • /
    • v.46 no.10
    • /
    • pp.44-47
    • /
    • 1997
  • 통계에 따르면 전세계 중에는 13,000대 정도의 대형 여객기가 떠나니는데 이들 비행기의 각각은 1년에 1회는 낙뢰를 맞는다고 한다. 그렇지만 이 낙뢰로 여객기가 사고를 일으켰다는 이야기는 들은 바가 없다. 또 이들 낙뢰로 승객이나 승무원이 감전됐다는 이야기도 없다. 비행기와 하늘, 또 번개와 하늘은 끊을래야 끊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비행기와 번개도 끊을래야 끊을래야 끊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즉, 번개는 금속에 떨어지기 쉽다고 말하는데 비행기느 그 금속으로 되어 있다. 또, 비행기는 비행 중에는 공기와의 마찰로 인해 정전기를 대전하기 쉬운 상태로 된다. 비행기의 뇌해의 영향, 또는 비행기를 번개로부터 지키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옛적부터 행하여져 왔다. 본고에서는 어려운 이야기는 빼고 비행기와 벼락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한다.

  • PDF

Height perception of large airplane pilots during landing flare (대형 비행기 조종사의 착륙 조작 시의 높이지각)

  • Kim, Yong-Seok;Sohn, Young-Woo;Park, Soo-Ae;Kim, Chil-You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4
    • /
    • pp.539-554
    • /
    • 2007
  • Pilots of large airplanes have to land their airplanes with insufficient visual information because of high approach speed, high vertical velocity and high location or altitude of the cockpits from the runway intending to touch down. This study verifies that, due to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large airplane pilots can't exactly perceive height of their airplanes during the flare. Study 1 explored whether it's possible for the pilots to accurately perceive height with the static visual cues only. We showed them pictures of the runway taken from the pilot's pionts of view and asked them to assess the height of the airplanes. They determined exact height of the airplanes at the height of 85 feet, but they could not, at lower than 55 feet which is the flare preparation altitude. Study 2 explored whether it's possible for the pilots to accurately perceive height when dynamic cues were added to the static visual cues. We showed them videos of the runway taken from the pilot's pionts of view. With more cues they determined exact height of the airplanes at the height of 50 feet, but they could not, at the altitude of lower than 30 feet which is the flare altitude. As experience is believed to be a major factor which affects interpretation of the visual cues, we compared the accuracy of the assessment of the experienced captions and that of the in-experienced first officers. We fou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 PDF

오피니언-과학기술, 위험사회 그리고 미디어

  • Kim, Won-Je
    • 프린팅코리아
    • /
    • s.24
    • /
    • pp.144-147
    • /
    • 2004
  • 오늘날 우리네 일상은 과학기술로 구성되거나 매개된다. 정보처리기술, 유전공학기술 등 과학기술이 급속하게 혁신됨으로써 새로운 지식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기술문명이 발전할수록 물질적인 풍요는 늘어날지 모르지만 정작 우리의 삶은 점전 불안하고 위태롭고 피폐해지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새로운 지식정보를 기반으로 현대사회가 날로 복잡해지고 있으며, 인간의 삶의 질을 위협하는 위험요소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비행기 사고, 건물 붕괴 및 화재, 도시가스 폭발 등 공학 시설에서의 대형사고, 교통사고와 환경오염, 지하철 안전사고, 식품 및 의약품 위해성, 핵발전소 누출과 화학공장의 폭발위험, 유전공학에 의한 생명조작 등은 끊임없이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 PDF

정보사회를 짊어질 통신위성

  • 조규심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19 no.10
    • /
    • pp.126-134
    • /
    • 1992
  • 비행기 속, 열차의 속 어디에서나 사무실이나 가정과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다중체통신, 위성통신은 현재, 전화, TV의 전송, 전용선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최근까지 정지위성 궤도상에 떠있는 트란스폰도(transponder=transmitter+responder<송신기+응답기>) 즉, 위성 탑재 중단기의 수는 INTELSAT를 포함해서 합계 약 4,100으로 되어 있다(과거의 공산권을 포함해서). 발사로켓의 대형화, 통신위성의 대형화에 의해 위성회선의 비용은 현저히 저하되어 있으며, 위성통신의 이용은 확대일로에 있다. 위성통신은 광화이버통신, 지상마이크로파통신과 나란하는 통신네트워크의 주요한 구성요소이다. 대양횡단의 통신은 위성통신이 그 특징을 충분히 발휘하여 왔고, 해저광케이블과의 사이에서 부설자끼리 장단점을 놓고 비교를 하고 있으나, 위성통신은 넓은 지역으로부터의 통신을 수 하는 기능 또는 동일한 신호를 넓은 지역에 탑재하는 지구국에서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는 이외에도, 원양어선에로의 통신같이, 지상의 통신방식으로는 제공이 곤란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등의 특징이 있으며, 금후의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로서 더 한층 그 필요성이 증가해 갈 것이라 본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ntilock Brake Controller for a Heavy Vehicle (대형차량 정착용 미끄럼방지 제동장치 전자제어기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Lee, Ki-Chang;Jeon, Jung-Woo;Hwang, Don-Ha;Nam, Taek-Kun;Kim, Yong-J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d
    • /
    • pp.2025-2027
    • /
    • 2003
  • 미끄럼방지 제동장치는 차량의 급제동 시 바퀴의 장김을 방지하여, 바퀴의 슬립을 최적으로 유지 시킴으로써 제동거리를 단축시키고, 운전자가 차량 조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드는 차량 안정장치이다. 이 장치는 비행기의 착륙거리를 줄이기 위해 개발된 이래로, 철도 및 차량 등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미 승용차를 위주로 양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미끄럼방지 제동 장치는 공압 브레이크 장치를 사용하는 대형차량 분야에서는 아직 국내에서 적용된 사례가 없었으나, 지난 3 년간의 연구개발의 성과로 대형 버스에 적용 가능한 미끄럼방지 제동장치의 전자제어기가 개발 완료되었으며, 국제 규격을 바탕으로 국내 현실에 적합한 미끄럼방지 제동장치 장착 대형차량의 시험 규격을 정하여 이 규격에 의거 제동시험을 실시하고 개발 제어기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각 제동 시험은 $\mu$-Jump 제동시험 및 Split-$\mu$ 제동시험 등의 직진 주행 중 급제동시험, 급제동 중 차선변경 시험, 장애물 회피 제동시험 등을 포괄하며 국제적인 규격을 기준으로 정한 독자 규격을 만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압 브레이크를 장착한 대형차량의 미끄럼방지 제동장치의 제동성능평가 시험방법을 소개하고, 이 방법에 의해 성능평가 시스템 및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여, 개발 전자제어기의 우수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측정결과의 일부를 제시하였다.

  • PDF

3D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Volcanic Ash Dispersion Prediction Results (화산재 확산 예측결과의 삼차원 가시화 기법)

  • Youn, Jun Hee;Kim, Ho Woong;Kim, Sang Min;Kim, Tae 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1
    • /
    • pp.99-107
    • /
    • 2016
  • Korea has been known as volcanic disaster free area. However, recent surveying result shows that Baekdu mountain located in northernmost in the Korean peninsula is not a dormant volcano anymore. When Baekdu mountain is erupting, various damages due to the volcanic ash are expected in South Korea area. Especially, volcanic ash in the air may cause big aviation accident because it can hurt engine or gauges in the airplane. Therefore, it is a crucial issue to interrupt airplane navigation, whose route is overlapped with volcanic ash, after predicting three dimensional dispersion of volcanic ash. In this paper, we deals with 3D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volcanic ash dispersion prediction results. First, we introduce the data acquisition of the volcanic ash dispersion prediction. Dispersion prediction data is obtained from Fall3D model, which is volcanic ash dispersion simulation program. Next, three 3D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volcanic ash dispersion prediction are proposed. Firstly proposed technique is so called 'Cube in the Air', which locates the semitransparent cubes having different color depends on its particle concentration. Second technique is a 'Cube in the Cube' which divide the cube in proportion to particle concentration and locates the small cubes. Last technique is 'Semitransparent Volcanic Ash Plane', which laminates the layer, whose grids present the particle concentration, and apply the semitransparent effect. Based on the proposed techniques, the user could 3D visualize the volcanic ash dispersion prediction results upon his own purp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