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형화재

검색결과 422건 처리시간 0.129초

화재규모에 따른 화학공장의 내화구조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ireproofing Application by Fire Magnitude)

  • 이동혁;유병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6-52
    • /
    • 2018
  • 최근 국내 대형화재 발생으로 화재예방 및 소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화재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감지설비, 경보설비, 소화설비, 피난설비 및 유지관리 등 모든 요소가 중요하지만 화학공장과 같이 철골구조에 가연성 물질을 집중적으로 취급하는 시설에서는 화재 시 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주요구조부에 적용하는 내화구조의 중요성이 특히 대두된다. 현재 건축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국내법에서는 산업시설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지상으로부터 6m까지 내화구조를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화학공장은 경우에 따라 가연성 물질을 대량으로 취급할 수도 비가연성 물질만을 취급할 수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화학공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규모에 따라 필요한 내화구조 적용이 필요한 높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화재에 대한 상식과 비상식

  • 최원석
    • TTA 저널
    • /
    • 통권132호
    • /
    • pp.26-27
    • /
    • 2010
  •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에서 방화로 인해 사망 192명, 부상 148명이라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그로부터 5년 후인 2008년 2월 11일에는 국민들이 안타까운 눈길로 지켜보는 가운데 우리나라 국보 1호인 숭례문이 방화로 인해 역사 속으로 사라져버렸다. 이렇게 화재에 대한 악몽은 잊혀질 만하면 다시 찾아오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경각심 제고나 예방을 위한 투자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대부분이 강 건너 불구경 하듯 화재가 남의 일이라고 느끼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불은 항상 주변에 있기에, 언제든 우리 또한 화재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나 화재에 대해 기본적인 상식을 갖출 필요가 있다.

  • PDF

중심형 실내화재의 수치연구

  • 고경찬;박외철;박준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57-262
    • /
    • 2003
  • 구조물의 대형화, 고층화에 따라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및 물적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10년간의 인명피해 중 사망자는 매년 평균 6.3% 증가하였고, 부상자의 년평균 증가율은 5.1%로, 2002년에만 531명의 사망자와 1,853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2002 년 한 해 동안 34,000여건의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이 가운데 건물화재는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인명피해는 대부분 건물화재에서 발생하였으며, 불연내장재의 사용증가에 따라 화염 및 영에 의한 화상 등의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일산화탄소 중독이나 질식사 같은 연소가스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중략)

  • PDF

반자 내 발생하는 화재 감지 인자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Fire Sensing Factors in Ceiling)

  • 이규민;김준식;김동규;김찬진;김정렬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3-38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반자 내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최적의 화재 감지 인자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에서는 반자 내의 화재로 인해, 대형 화재로 발전하는 많은 사례들이 있다. 기존에 반자 내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온도 화재 감지기가 있지만 온도를 통한 화재 감지는 감지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기 어렵다. 그래서 기존의 온도를 이용한 감지를 대체할 다른 화재 감지 인자(CO, CO2)를 비교하는 실험과 기존의 반자 내 화재 감지 인자인 온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실험을 통해 CO2가 반자 내 화재 발생 시 온도 대비 보다 민감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