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형마트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34초

소비자의 신선편이식품에 대한 수요와 요구

  • 김건희
    •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 /
    • 제4권2호
    • /
    • pp.2-7
    • /
    • 2005
  • 신선편이 농산식품에 대한 소비자 조사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과실 및 채소류의 구입 장소는 대형할인마트가 $60.5\%$로 가장 많으며 연령이 감소할수록 대형할인마트에서의 구입 빈도가 높았다. 2. 과실과 채소류의 구입 빈도는 전업주부 보다는 직장인의 구입 빈도가 높았다. 3. 신선편이 농산식품을 구입하게 된 동기는 조리시간 단축, 적정량 구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입하지 않은 이유로는 비싼 가격과 신선해 보이지 않기 때문으로 대답하였으나 향후 구입 의향에 대해서는 $68.1\%$가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5. 신선편이 농산식품의 구입경험은 $62\%$로 식품소비층인 30-40대, 고학력일수록 더 많이 구입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입경험이 있는 사람은 편리성, 신선함, 맛, 다양성 등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구입경험이 없는 사람은 익숙하지 않거나 비싸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신선편이 농산식품의 구매 형태는 필요한양만큼 절단된 형태를 선호 하였다. 7. 신선편이 농산식품의 적정가격 수준은 신선 과실 및 채소 가격의 $110-14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8. 신선편이 농산식품의 구매 고려 품질요인으로는 신선함, 위생, 외관 등의 순 이였고 이들을 개선한다면 지속적으로 구매하겠다고 대답한 사람이 $87.7\%$로 조사되었다.

  • PDF

영계로 만든 삼계탕 인기 높아진다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36권7호통권417호
    • /
    • pp.64-65
    • /
    • 2004
  • 닭고기 신선육을 대량으로 소비하는 대형 매장에서는 이번 여름 복(伏) 경기를 어떻게 진단하고 준비하고 있는지 서울 롯데마트 잠실점 계육$\cdot$계란 바이어 이권재 과장(MD)을 찾아 현장의 목소리를 담았다.

  • PDF

대형마트 충성도의 이중경로모형 (Dual Path Model in Store Loyalty of Discount Store)

  • 지성구;이인구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1호
    • /
    • pp.1-24
    • /
    • 2010
  • 국내 대형마트 점포 수는 2008년 기준 403개로 포화시점에 근접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상황에서 '점포충성도(store loyalty)'가 지속적 경쟁우위를 위한 전략적 도구로써 그 활용성이 점점 더 중요시 되고 있다. 다양한 관점에서 점포충성도를 대형마트 연구의 핵심적 과제 다루어왔으나, 통합적인 연구 접근 방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관점에서 점포충성도가 형성되는 두 가지 경로를 제안하였다. 이중경로모형은 첫째, 내재적 경로 '서비스품질$\rightarrow$고객만족$\rightarrow$점포충성도', 둘째, 외재적 경로 '점포개성$\rightarrow$점포동일시$\rightarrow$점포 충성도'로 구성된다. 조사대상은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제안된 이중경로모형의 적합성 및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의 적합지수들은 상당히 좋은 값들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시된 내재적 경로인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고객만족은 결과변수인 대형마트의 점포충성도에 매우 유의하게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재적 경로에서 대형마트의 점포개성은 점포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매개변수인 점포개성은 점포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대형마트의 점포충성도 형성에 관한 두 가지 경로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관리적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대형마트 HMR 판매촉진전략 연구 (A Study on a Sales Promotion Strategy for HMR Products in Discount Stores)

  • 김광지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56-267
    • /
    • 2013
  • 본 연구는 효율적인 HMR 판매촉진방법을 도출하고 실무에 적용한 효과를 확인하는 사례연구이다. 대형마트 HMR 제품에 대한 내점고객들의 욕구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메뉴(29.1%), 포장용기(23.6%), 가격(22%), 메뉴정보(14.2%), 그리고 음식의 질(11.0%)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키지 개선 전(3,932,313원, 1일 평균 187,253원) 과 후(4,840,063 원, 1일 평균 230,479 원)의 매출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샐러드 제품의 정보 개선 전(4,627,508 원, 1일 평균 220,356 원) 과 후5,238,365 원, 1일 평균 249,446 원)의 매출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론적 시사점에서 본 연구는 내점고객을 대상으로 직접관찰, 면담, 그리고 설문지 등을 통해 HMR 제품의 판매촉진 방법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에서는 본 연구는 확인된 HMR 제품 판매촉진 방법인 패키지, 메뉴 정보, 그리고 다양한 메뉴를 대형마트 HMR 영업장에 적용해서 나타난 매출변화를 분석하여 판매촉진방법에 대한 효과를 측정한 것이다.

  • PDF

유통점포별 충동구매의 결정요인에 대한 경험적 접근 (An Experiential Approach to the Determinants of Impulse Buying Based on Store Type)

  • 윤성준;이동희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3권3호
    • /
    • pp.1-25
    • /
    • 2008
  • 본 연구는 Schmitt (1999)가 제시한 전략적 경험 모듈을 기반으로 하여 사전 쇼핑 경험, 점포 내에서의 선호경험, 그리고 점포분위기에 대한 반응으로 구성된 변수들을 중심으로 시간적인 관점에서 백화점, 대형마트, 인터넷점포의 3개 점포를 대상으로 점포별 쇼핑의 사전경험의 정도와 이에 따른 선호 쇼핑경험에 대한 관계, 그리고 선호 쇼핑경험과 충동구매행위와의 관계를 검증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쇼핑경험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조명, 실내색상, 실내장식, 제품진열과 같은 점포내 분위기에 대한 감성적 반응과 충동구매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경험적 차원에서 선호경험과 충동구매간의 조절역할에 대해서 조사한다. 세부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마트에서는 사전쇼핑경험수준에 따라 인지적 쇼핑경험이 감성적 경험보다 더 선호되었으나, 백화점의 경우에는 사전 경험이 많을수록 감성적 경험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고객이 선호하는 쇼핑경험과 충동구매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 검정결과 감성적 쇼핑경험은 충동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반면 인지적 쇼핑경험은 충동구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점포분위기에 대한 감정반응이 감성적 (인지적) 쇼핑경험과 충동구매간 관계를 조절한다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는데 백화점에서는 제품진열이 감성적 경험과 충동구매와는 부(-)의 조절역할을 보였으며, 실내장식은 인지적 경험과 충동구매 간에 부(-)의 조절역할을 하였다. 대형마트에서는 실내색상이 감성적 경험과의 부(-)의 조절역할을 하였고, 제품진열은 정(+)의 조절 역할을 하였다.

  • PDF

도시 내 지역난방 Heat Pump용 잠재열원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otential heat sources for Heat Pumps to District Heating System in Urban)

  • 오광민;김래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6호
    • /
    • pp.841-855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 내 지역난방 공급지역에 존재하는 Heat Pump용 가용 잠재적 열원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미활용에너지 잠재량은 Open source 기반의 자료를 바탕으로 추정 통합하였다. 특히 수도권 남부에 위치한( 평택시) DH network 내에 대형마트와 공공사우나 시설에 대해 회수 가능한 열에너지 밀도와 열원 지역의 열 수요에 대해 지리적인 공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DH network 지역에서는 대형마트와 공공사우나 두 가지 열원에 대해 총 1,741.7 toe/year 수준의 잠재 에너지량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 중 57.8%에 해당하는 1,006.9 toe/year를 지역난방용으로 연계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 되었다. 대형마트는 연면적과 에너지 사용량이 0.4937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수 가능한 에너지 원단위는 상관관계계수를 반영하여 연면적 당 $0.0017toe/m^2$, 저감 가능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0.0069tCO_2/m^2$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공사우나는 실증사례와 이론 계산 값을 비교하여, 80% 수준의 보수적 추정으로 목욕장 면적당 $0.0315toe/m^2$가 회수 가능한 에너지 원단위로 분석되었으며, 저감 가능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0.1183tCO_2/m^2$로 분석되었다. 이 지역의 총 잠재 에너지량은 행정 구역별 공동주택의 열 수요와 0.5272의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특히 교통과 상업 중심 지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잠재 에너지량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한국형 할인점의 서비스품질 측정 척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Korean -type Discountstore Service Quality Scales(KD-SQS))

  • 노은정;서용구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3권3호
    • /
    • pp.127-154
    • /
    • 2008
  • 본 논문은 고급화된 대형마트 즉 '한국형 할인점'이라는 독특한 업태 컨셉에 보다 적합한 서비스 품질 측정 적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반복적 FGI와 대형 할인점 방문 소비자 604명을 대상으로 정량적 리서치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형 할인점'의 서비스 품질은 본원적 혜택, 프로모션, 인적상호작용, 물리적 측면, 정책, 부가적 편의성의 총 6개 차원, 24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측정모형이 도출되었다. 기존의 소매 서비스 품질의 대표적 측정 모형인 RSQS 측정모형과 비교해 보면 3가지 자원(인적상호작용, 물리적 측면, 정책)은 공통적이며, 나머지 차원에서 문제해결은 인적상호작용으로 통합되었으며, 신뢰성은 단일차원성이 결여되어 제거되었다. 특히 본원적 혜택은 할인점의 업태특성을 대표하는 성과품질로서 도출되었으며, 정책 자원은 '재방문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서비스 품질 자원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정, 보완된 측정도구는 한국형 할인점을 이용하는 고객의 최신 트랜드를 반영하여 업버전 하였다는 것이 그 특징이다. 그 결과 향후 소매 시장 포화상황에서 치열한 서비스 경쟁을 벌여야하는 한국의 대형마트와 기타 소매업체에 전략적 시사점을 주고 있다.

  • PDF

20대 여성들의 모바일 금융서비스 및 전자결제서비스 현황 (Status of mobile financial service and electronic payment service for women in their 20s)

  • 황의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68
    • /
    • 2017
  • 모바일 쇼핑의 확산으로 소비자들의 '일상적 구매'가 달라지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쇼핑장소는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에 국한되었던 것이 모바일 기술과 배송기술의 발달로 식품과 생활필수품까지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시대가 열리면서 소비자들의 일상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20대 여성들의 모바일기기 통한 모바일 쇼핑 빈번도, 구매시간, 구매상품, 결제방법, 결제시스템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내 소비행태를 알아본다.

  • PDF

대형 C 할마트내 즉석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위생조사

  • 조정숙;김현진;박미연;장동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25-126
    • /
    • 2001
  • 전국 20개 지점의 대형 C 할인마트내 즉석식품 제조ㆍ판매대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품을 대상으로 2000년 10월부터 2001년 09월까지, 격월로 미생물학적 위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김밥, 샐러드, 순대, 초밥 등의 즉석조리식품과 도마, 칼, 수저 등의 조리기구 등을 대상으로 일반세균수, 대장균군(Coliforms)과 대논균(E.coli), 그리고 Salmonella, Vibrio,Staphylococcus등의 식중독균의 검출을 시도하였다. (중략)

  • PDF

조사 - (사)소시모, 시중 계란 가격 조사 결과 발표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53권10호
    • /
    • pp.188-191
    • /
    • 2021
  • (사)소비자시민모임은 지난 5월 3일~9월 7일까지 서울시내 대형마트 4개사, 기업형슈퍼 4개사의 계란 가격(정상가 및 소비쿠폰 할인 가격)과 등급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본고에서는 이 내용을 소개한다. - 9월 2주 가격, 6월 대비 30구는 8.1% 하락, 10구(-0.6%), 15구(-2.3%)는 거의 변동없어 - 9월 산지 가격, 6월 보다 10% 이상 하락, CJ, 풀무원 등 브랜드란은 산지 가격 하락에도 변동 없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