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형디젤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대형 디젤대체용 LPG 엔진개발

  • Gang, Geon-Yong
    • LP가스
    • /
    • s.71
    • /
    • pp.49-53
    • /
    • 2000
  • 대형디젤엔진의 대체용으로 LPG 엔진을 개발함에 있어서 차세대 연료공급방식인 LPG 연료의 액상분사방식을 채택하여 기존의 믹서방식의 연료공급시스템을 가진 LPG 엔진보다 고출력, 고효율, 저공해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먼저 단기통 연소엔진을 이용하여 대형엔진에 LPG 연료 적용 가능성, 액상분사 시스템을 포함한 여러 가지 연료공급방식에 따른 엔진의 성능파악, 대형엔진에 적합한 최적 선회비의 결정, 연료조성에 따른 엔진성능의 변화 등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대형엔진에 LPG 연료의 적용은 아무런 문제점이 없었으며 LPi 연료공급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서 10%정도의 체적효율 및 출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의 선회비는 2.0 부근에서 형성되었고, 연료 조성은 프로판 대 부탄의 비율이 60 : 40에서도 정상적으로 운전됨을 확인하였다. 시제품 엔진의 경우, 과급방식의 KL6i 엔진을 개발하기 앞서 좀더 기술적 접근이 용이한 자연흡입방식의 K-1엔진의 개발이 선행되었으며 현재 개발 진행중인 K-1엔진의 성능평가 결과, 기존의 디젤엔진에 비해 출력성능이 20% 정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형차량에서 중요시 생각되는 저속토크 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단기통 연소엔진에서 확인된 최적화된 연료조성과 선회비를 향후 K-1엔진에 적용할 예정이다. 최근 열린 가스학회 추계발표회와 LPG자동차세미나의 주요내용을 게재한다.

  • PDF

Engine Performance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 HD Diesel Engine by the Application of GTL Fuel (대형디젤기관에서 GTL 연료 적용에 따른 기관성능 및 배출 가스 특성)

  • Baik, Doo-S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6
    • /
    • pp.998-1003
    • /
    • 2006
  • In this research, engine performance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 12,000cc heavy duty diesel engine was investigated by the application of GTL and ULSD fuels. The test was conducted at several engine speeds and loads under a single mode and a ESC mode. GTL fuel proves that it can be applicable to vehicles without engine modification.

  • PDF

Structural Analysis of Low Speed Large Diesel Engine Structures using CAD/CAE (CAD/CAE를 이용한 저속 대형 디젤 엔진 구조물의 구조해석)

  • 조종래;이부윤;김진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1 no.1
    • /
    • pp.13-25
    • /
    • 1997
  • 전 세계의 대형 저속 디젤 엔진을 설계.제작하는 회사는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MAN - B&W, SULZER, MITSUBISHI의 3파전 양상을 띠고 있으며, 세계 시장점유율에서는 MAN - B&W가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현재 한국중공업, 현대중공업, 쌍용중공업 및 삼성중공업에서 대형 저속 디젤 엔진을 생산하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대형 저속 디젤 엔진은 대부분이 MAN - B&W형이고 SULZER형이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기술력은 위의 3사에 거의 의존하고 있으며, 설계보다는 생산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박용 엔진 구조물은 베드 플레이드(bed plate), 실린더 프레임(cylinder frame), 프레임 박스(frame box)등이 주 스테이 볼트(long stay bolt)에 의하여 체결되어 한 개의 대형 수직 구조물을 이루고 있으며, 프레임 박스의 안내면(guide plate)과 베드 플레이트의 베어링 지지부(bearing support)등은 엔진의 폭발력과 선박의 추진력을 직접적으로 받으므로 구조적 결함과 하자 보수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용상 및 제작상의 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한요소 구조 해석 능력을 자체 보유하여 구조 설계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엔진 구조물의 취약 부위를 집중 검토하여야하며, 이를 통해 선박의 운항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대형 엔진 구조물의 설계/해석 기술이 거의 없고 구조적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에는 모든 사항을 설계사(licensor)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MAN - B&W, NEW SULZER DIESEL사 등은 정밀 구조 해석을 통하여 기존 엔진 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을 높임과 동시에 신 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기술 이전은 회피하고 있어 대형 엔진 구조물에 대한 구조 해석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본 해설에서는 CAD/CAE(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Engineering)를 이용하여 위에서 제시된 대형 엔진 구조물의 구조해석 절차와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 PDF

Vibration/Structural-Integrity Analysis for Large Diesel Engines (대형 디젤 엔진의 진동/건전성 해석)

  • 박종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5a
    • /
    • pp.41-49
    • /
    • 2001
  • 최근의 대형 디젤 엔진은 고성능, 고효율 및 제작비용 절감 등의 요구에 따른 경량화, 유연화 추세로 설계되고 있는 한편, 엔진 자체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큰 기전력 (가스폭발력, 왕복동 관성력, 각종 우력) 때문에 항상 진동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중략)

  • PDF

Study on Smoke Prediction in Heavy-duty Diesel Engine (대형 디젤기관에서 매연가스 예측에 관한 연구)

  • Baik, Doo-Sung;Lee, Jong-S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4
    • /
    • pp.865-870
    • /
    • 2008
  • The effects of exhaust gas recirculation (ECR) on smoke emissions in heavy duty diesel engine are numerically studied by using KIVA-3V CFD code. For the analysis, RNG k-$\varepsilon$ turbulence model was given as a governing equation, and mathematical models of Tab, Wave, Watkins-Park, Nagle-Strikland were applied to describe physical process of droplet breakup, atomization, wall impingement and smoke respectively.

An Experimental Study on Emission Reduction by Low Sulfur Diesel Fuel in Diesel Oxidation Catalyst of Heavy Duty Diesel Engine (대형디젤기관의 디젤산화촉매장치에서 저유황 경유에 의한 배출가스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요용석;강호인;한영출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6 no.3
    • /
    • pp.138-142
    • /
    • 1998
  • Among aftertreatment devices which reduce exhaust gas of diesel engine, diesel oxidation catalyst(DOC) with high reduction efficiency for gaseous matter and particulate matter is now being studied actively.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low sulfur diesel fuel in heavy duty diesel engine equipped with DOC. We tested to estimate change of engine performance for the low and high sulfur diesel fuels in a 11,000cc diesel engine equipped with DOC. We conducted test to estimate the reduction efficiency of exhaust gas in D-13 mode of heavy duty diesel regulation mode and in smoke opacity mode for two samples of high sulfur content (0.2%) and low sulfur content(0.05%)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Fuel Economy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for a Heavy-Duty DME Bus (대형 DME버스의 연비 및 배기가스 특성에 관한 연구)

  • Oh, Yong-Il;Pyo, Young-Duk;Kwon, Ock-Bae;Beak, Young-Sun;Cho, Sang-Hyun;Lim, Ock-Taec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6 no.4
    • /
    • pp.371-376
    • /
    • 2012
  • The experimental test was conducted for a heavy-duty DME bus in JE-05 exhaust gas test mode using a chassis dynamometer, exhaust gas analyzers, and a PM measurement system. The heavy-duty DME bus was not equipped with after-treatment systems such as DOC or DPF. The dynamic behavior,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fuel economy of the bus were investigated with an 8.0-liter, 6-cylinder conventional diesel engi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ynamic behavior in DME mode was almost the same as in diesel mode. Howeve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among the two operation modes for $NO_x$ and CO emissions. THC emissions were lower for DME mode than for diesel mode. Also, the amount of PM emissions was remarkably lower than for the diesel mode because DME contains a greater amount of oxygen than diesel. The data showed that $CO_2$ emissions were almost similar in the two modes but fuel economy (calculated using heating value) was lower for DME mode than for diesel mode.

A Study on Vibration Characteristics for Misfiring Condition of Large Marine Diesel Engines using Accelerometer Signal (가속도 신호를 이용한 대형 선박용 디젤엔진의 착화실패 상태에 대한 진동 특성 연구)

  • Seo, Jong-Cheol;Kim, Sang-Hwan;Kim, Jung-Sung;Lee, Don-Cho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5a
    • /
    • pp.578-579
    • /
    • 2010
  • 최근 내연 기관에서 엔진상태 및 잠재적인 결함의 발견을 위해 연료분사, 실린더 내 연소과정, 실린더 내부와 피스톤 마모상태, 흡 배기 밸브 및 과급기 (turbocharger) 등의 상태 모니터링을 통해서 결함에 대한 진단 및 경향관리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선박용 대형디젤엔진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엔진상태 및 잠재적인 결함을 진단하고자 하였으며, 일차적으로 가속도 신호를 이용하여 실린더 내 연소과정에서 정상적인 상태와 착화실패에 따른 진동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신호 분석 기법으로 시간-주파수 분산 기법들은 충격파 신호인 엔진 폭발신호를 분석하는데 적합하였으며, 그 기법들 중 Short Time Fourier Transform 기법과 Wavelet Transform 기법을 이용하였다.

  • PDF

The Performance Test on A Continuous Regeneration DPF in A HD Diesel Engine (대형디젤기관에 있어서 연속재생방식 매연저감장치 성능 테스트)

  • Baik, Doo-S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5
    • /
    • pp.788-792
    • /
    • 2006
  • The test was conducted on an 8000cc heavy-duty turbo-charged heavy-duty diesel engine on which continuous regeneration DPF was installed in order to investigate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fur DPF and engine performance under conditions of standard (430ppm) or ultra low sulfur diesel (50ppm)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Exhaust emissions, CO, HC, NOx, PM and soot were investigated carefully and tested under D-13 and D-3 mo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