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 창업생태계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대학창업생태계와 창업보육센터의 성과

  • Son, Yun-Jeong;Choe, Jong-In;Seol, Myeong-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07-114
    • /
    • 2018
  • 기업, 대학, 정부는 창업을 활성화하고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발전하며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고 있으며 정부는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대학은 창업활성화의 중심에 있고 그 중심에는 가장 오래된 전담조직인 창업보육센터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생태계가 대학의 창업보육센터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창업생태계는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학의 관심은 입주기업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창업보육센터장의 리더십, 매니저의 전문성과 적극성은 입주기업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입주기업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키고 성장시키기 위해서 기업 대학 정부는 상호협력 해야 하며 창업보육센터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 PDF

창업기반 지역혁신형 대학체계 구축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Yong-T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75-78
    • /
    • 2021
  • 최근 대학을 둘러싼 외부 환경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 입학자원 감소,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청년 일자리 감소 등의 급진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 역량 강화 및 고도화, 대외 경쟁력 강화 및 사회적 역할 변화 등 체계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학령인구 감소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대다수의 대학 특히 지방 대학의 경우 학령 인구 감소로 인해 나타날 다양한 변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는 있다. 지방대학의 위상 약화로 지방대 졸업생의 취업의 질이 낮아지고, 우수 학생의 지방대학 기피로 이어지는 구조적 문제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 대학의 위기는 특정한 지역의 일부 대학만의 문제가 아닌 현재 우리 사회 전체가 직면하고 있는 구조적이고 복합적 원인에 기인하여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혁신을 위한 대학 역할 및 활성화 방안 도출 및 지역 혁신에 기여하는 대학의 국내외 우수사례 분석 지역을 중심으로 한 창업 생태계 현황 및 구성 체계, 창업선도대학, 캠퍼스 타운사업 등 대학을 중심으로 한 지역기반 창업 생태계 선도 모델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대학 중심 지역 창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창업기반 지역 혁신형 대학 모델 발굴 및 제언하고자 한다.

  • PDF

Building the University Entrepreneurial Ecosystem towards Hub Universit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서울대 창업생태계의 형성과정과 허브 대학으로의 변화)

  • Soyeong Jung;Yangmi K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4
    • /
    • pp.469-483
    • /
    • 2022
  •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and why the rol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evolved through the form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entrepreneurial ecosystems (SNUEEs). To identify this, we used secondary data on SNU entrepreneurship and did in-depth interviews with 17 student entrepreneurs and supportive actors in the ecosystems. First,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policy and the first start-up boom in the late 1990s gave rise to the first generation of SNUEEs. They entered the second generation with the second start-up boom in 2010. The third generation emerged through the government's start-up support policy and the venture investment market revitalization in 2017. Second, SNUEEs have experienced transformations of the university's role from an 'ivory tower' to a 'feeder of knowledge and labor' and have become a 'hub of knowledge networks.' Third, hub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and supported by government policies, and networks of SNUEEs have been embedded in these hub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NUEEs as a hub university are evolving through the formation of a voluntary entrepreneurial culture by student entrepreneurs, the supportive policy at the university level, and the establishment of linkages with the region where the university is located.

A Study on Singapore Startup Ecosystem using Regional Transformation of Isenberg(2010) (싱가포르 창업생태계 연구: Isenberg(2010) 프레임워크의 지역적 변용을 통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 Kim, Soyeon;Cho, Minhyung;Rhee, Moowe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2
    • /
    • pp.47-65
    • /
    • 2020
  •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sight, innovative business models utilizing new technologies are emerging, and startups are enjoying an abundance of opportunities based on the agility to respond to disruptive innovations and the opening to new technologies. However, what is most important in creating a sustainable start-up ecosystem is not the start-up itself, but the process of research-start-investment-investment-the leap to listing and big business-in order to build a virtuous circle of startups that leads to re-investment. To this end, the environment created in the hub area where start-ups were conducted is important, and these material and non-material environmental factors are described as being inclusive by the word "entrepreneurial ecosystem."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s entrepreneurial ecosystem through the study of the interaction of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start-up ecosystem and the relationship of ecosystem participants in Singapore. Singapore has been consistently mentioned as the top two Asian countries in assessing the start-up environment and business environment. In this process, six elements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presented by Isenberg(2010)-policies, finance, culture, support, human resources, and market-are the best frameworks for analyzing entrepreneurial ecosystems in terms of well encompassing prior studies related to entrepreneurial ecosystem elements, and a model of regional transformation is formed focusing on some elements to suit Singapore, the target area of study. By considering that Singapore's political nature would inevitably have a huge impact on finance, Smart Nation policy was having an impact on university education related to entrepreneurship, and that the entrepreneurial networks and global connectivity formed within Singapore's start-up infrastruc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ingapore's start-up's performance, researches needed to look more at the factors of policy, culture and market. In addition, qualitative research of participants i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wa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internal interaction of the elements of the start-up ecosystem, so the semi-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by visiting the site. As such,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the local entrepreneurial ecosystem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focused on policies, culture and market elements of Singapore's start-up ecosystem, and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gulations related to start-ups,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start-up infrastructure through comparison with Korea. This could contribute not only to the future research of the start-up ecosystem, but also to the creation of a start-up infrastructure, boosting the start-up eco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orientation of the start-up education in universities.

A Study on the Support Method for Activate Youth Start-ups in University for the Creation of a Start-up Ecosystem: Focused on the Case of Seoul City (지역 청년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학의 지원방안 탐색: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Kim, In Sook;Yang, Ji H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4
    • /
    • pp.57-7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local youth and to find ways to support universities in order to create an youth start-up ecosystem. To this end, 509 young people living in Seoul were analyzed to recognize and demand young people in the region for youth start-ups, and to support univers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young people's perception of youth start-ups in the region, the "Youth Start-up Program" was analyzed the highest in terms of the demand for regional programs by university. In addition, there was a high perception that the image of youth startups in the region was "challenging" and "good for changing times." Second, after analyzing the demand for support for youth start-ups in the region, it appeared in the order of mentoring, start-up education, and creation of start-up spaces. And it showed different needs for different ages. Third,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analysis of the demand for university support for the creation of a regional youth start-up ecosystem, the criteria for selecting local youth start-up support organizations,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local youth start-up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university support for the creation of a community of youth start-up ecosystem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sustainable symbiosis mentoring programs focusing on university's infrastructure and regional symbiosi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step-by-step systematic micro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needs analysis of prospective youth start-ups. Third, it is necessary to form an open youth start-up base space for local residents in universities and link it with the start-up process inside and outside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supporting youth start-ups and establishing and operating strategies for supporting youth start-ups at universities.

KAIST 교수창업 활성화 사례 연구

  • 안태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4.04a
    • /
    • pp.157-160
    • /
    • 2024
  • KAIST는 다수의 성공 창업 사례와 국내 창업생태계에서 기술창업 발생지로 역사적 의미를 이어오고 있다. 최근 KAIST의 교원 창업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딥테크 분야 창업으로 성장률과 생존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국가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혁신기술창업 집적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가적 대학인 KAIST는 기술창업 요람이라고 불리며 오랫동안 캠퍼스 창업생태계를 구축해오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창업생태계가 발전하면서 창업기업을 가장 많이 배출시킨 기관으로 혁신적인 창업문화를 선도해 오고 있다. 최근 KAIST의 신문화전략 1 Lab 1 Startup 비전을 수립하였고, 과학기술의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연구실 R&D 기술을 혁신창업으로 이어지는 사업화를 위한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신문화전략 이후 몇 년 동안 교원들이 더욱 창업에 많은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실질적으로 KAIST의 혁신 창업기업 수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화 전략 외에도 다양한 교원창업 성공사례 확산, 교원창업 활성화를 위해 제도개선, 아이디어 발굴부터 기술사업화 지원, 자금조달, 비즈니스 모델 고도화, 기술사업화 및 글로벌 창업지원, 창업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KAIST의 창업을 한 교수를 대상으로 세부적으로 기술창업 성공 사례와 핵심요인에 대해서 분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AIST에서는 교원창업 분야에서 성공적인 창업기업을 배출되고 있는 현상에 관한 사례, KAIST의 특화된 창업지원프로그램 소개, 교원 창업 성공 사례들이 어떻게 가능한지에 관한 요인과 그 이유를 탐색하고자 한다. 교수 창업 활성화를 위한 규정, 제도, 창업지원프로그램 등에 대해서 분석을 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표성이 있는 KAIST N차(연쇄 창업가) 창업을 한 A 교수의 사례를 중심으로 어떻게 지속해서 창업하고 있는지, 성공 요인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교원창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지 요인들을 파악하고, 연쇄 창업 방법론이 무엇인지 사례조사와 함께 선행연구 문헌 자료 조사, 인터뷰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대한민국에서 실질적인 교수창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활성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교원창업에 있어서 실질적인 애로사항, 현황, 여러 번 인터뷰를 통해 핵심 요인과 원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국가적으로 대학 교원 창업 활성화 모델이 필요한 시점에 실효성이 있고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활성화 모델을 제시하여 대학의 우수한 연구, 인적 자원을 활용한 혁신 창업 활성화 모델을 새롭게 제시하여 기업가적 대학으로 발전하고 교원들이 적극적으로 창업에 관심을 가지고 성공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체계를 만들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A교수의 N차(5개 창업) 창업한 사례 연구를 통해 대학 교원들의 혁신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벤처창업 초기투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Choe, Yeong-Geun;Jeon, Seong-Min;Lee, Seung-Y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181-184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에 벤처 창업 자금이 많이 제공되나 실제로 스타트업이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기투자의 딜레마 문제를 연구하였다. 기술기반 스타트업은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규 시장을 형성하면서 일자리와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국민경제에서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주요 선진국에 비해 국내에서는 초기 스타트업이 기술이전 후 창업으로 연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 국내 벤처창업 생태계에 정부 자금의 공급이 넘쳐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단계 기업들은 자금 투자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다수가 자기자본으로 시작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창업벤처 및 육성 지원책을 고찰하고, 국내 벤처캐피털 투자현황을 분석하여, 초기 단계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를 위해 투자 방식의 개선, 투자 주체의 확대, 그리고 투자 유형의 다변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벤처생태계의 초기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필요한 조사와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Open Innovation Model using Problem Solving Process and Facilitator for SMEs (개방형 혁신체계 구축을 위한 퍼실리테이터를 활용한 중소기업 집단문제해결 모형에 대한 연구)

  • Park, Sang Hyeok;Kim, Changone;Oh, Seungh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9 no.5
    • /
    • pp.43-52
    • /
    • 2014
  • It becomes to be essential for firms to build up collaboration ecosystem with diverse entities and to be common for firms to absorb knowledge from external environment for their innovation. Companies try to transfer technological or knowledge asset to other firms through open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role of universities in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s besides research collaboration and we focus on the role of university to strengthen the regional business ecosystem network. For this research, we analyze a specific UIC(University Industry Collaboration) program called as "Business Clinic Day" which provides a consulting service for firms, especially, SMEs with a specific problem by a group of consultants including CEOs, professors, and heads of regional public or private service providers. Then we studied how the business network has changed after the program with network analysis. Also, we try to find out the main pattern of network structure extension of business ecosystem with interview. This study illustrates that changing types of network are formed between university and SMEs by clinic day. The result shows that not only new role as a network promoter, but also the partner as a technology-provider in the regional business ecosystem.

  • PDF

지역연계 창업교육 방향 연구

  • Lee, Won-Cheol;Choe, Jong-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31-40
    • /
    • 2017
  • 시대의 흐름에 따라 창업자본주의(entrepreneurial capitalism)의 경향을 보이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을 도모하는 소규모 기업 또는 개인 창업자의 역동적인 창업활동은 창업생태계(Entrepreneurial Ecosystem)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로 이어진다. 이러한 창업에 대하여 대학에서 창출된 기업들은 다른 기업들보다 훨씬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좋은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활동을 촉진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대학 창업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으로 "대학창업교육 5개년 계획(2013-2017)"과 "2015년도 정부 창업지원 효율화 방안", 그리고 "산학협력 활성화 5개년 기본계획(2016-2020)" 등을 발표하였고, 대학과 연구소 등에서도 대학 창업 활성화에 대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현실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 창업교육의 체계화를 목적으로 변화하는 대학의 역할과 클러스터(cluster), 그리고 창업교육에 대한 이론을 고찰한다. 또한, 미국 혁신대학의 대표적 사례를 중심으로 창의적인 대학문화의 요인을 살펴보고, '창업 성공'과는 다른 '성공적인 창업'을 목적으로 클러스터 관점의 창업교육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 기술기반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창업교육 플랫폼 구축의 기조(基調)가 되는 클러스터 관점의 창업교육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관련 이론과 사례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화 구축과 효과적인 혁신 창출에 필요한 인재, 기술, 관용이라는 세 가지 요소의 역할이 중심이 되어 창업교육에 수반되어야 할 지역의 창업자원, 창업정책, 그리고 리더십의 클러스터링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통합적 창업교육 플랫폼 차원에서 창업보육센터, 기술지주회사, 기술사업화센터, 창업지원단 등과 같은 대학 내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창업활동 주체(조직) 간 효과적인 협력체계 구축과 함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한 실행 가능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PDF

Financial Ecosystem Development for Venture Capital Activation in Daejeon, Korea (대전지역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벤처 자금생태계 개선방안)

  • Choi, Jong-In;Bae, Ka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6
    • /
    • pp.39-48
    • /
    • 2018
  • Despite the fact that Daejeon has excellent technology infrastructures such as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Daedeok Innopolis, and KAIST, the infrastructure for initial investment and growth support for technological start-ups is not sufficient. In particular, the amount of venture capital supply in Daejeon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innovation infra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he venture capital ecosystem in Daejeon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what evolution process has been undergoing and what improvements and complementary points are needed in the future. First, the role of public finance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stimulate angel investment and private capital inflows to start-up companies. Second, in order to cultivate investment professionals in the region, it is necessary to grant local funds to local institutions, and to run investment expert training courses in universities. Third, cooperation between related agencies is needed to add accelerator functions to existing incubators and to foster new accelerators. Fourth, in order to exp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unds, to open innovation mindset of public officials, and to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the central government. Fifth, basic venture ecosystem infrastructures such as inflow of excellent manpower, prevention of technology deception, improvement of rechallenge environment should be expanded. Sixth,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step-by-step start-up financing policy of 'Establishment - Growth - Exit - Rechallen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grasped the current status of venture start-up financial ecosystem in Daejeon, which is changing rapidly. In particular, it is different in that it identifies financial difficulties venture companies in Daejeon and finds ways to utilize existing financial ecosystem effici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