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학 비대면 수업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Analysis of Student Satisfaction Analysis according to Subject Type for Hybrid Class Operation in Colleges (대학의 대면·비대면 혼합 수업 운영에 대한 과목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분석)

  • Kyong-Ah Kim;Ji Sim Kim;You Jung Ah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51-652
    • /
    • 2023
  • 코로나 팬더믹으로 인해 시작된 비대면 수업의 도입은 대학교육시스템에 변화를 가져왔다. 대학은 비대면 수업 운영에 대한 경험 및 학습자 만족도를 기반으로 비대면 수업을 대학 학사 운영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은 비대면과 대면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에서 학습자들이 다양한 특성의 과목에서 만족한 수업방식과 의견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비대면과 대면 수업을 혼합 활용하는 효과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학습자 의견 도출에 그 목적이 있다.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수업에 만족하고 있고, 과목 특성에 따라 비대면과 대면 수업의 장점을 혼합한 수업에 대한 학습효과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수업 맞춤형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대학은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을 위한 제도 등을 마련하여 효과적인 수업 운영 및 활성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An Analysis of Stud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ing Experience for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Methods in Programming Class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비대면과 대면 방식에 대한 학습경험에 따른 만족도 분석)

  • Kim, Kyong-Ah;Kim, Ji Sim;Ahn, You Jung;Oh, Suk;Jin, M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645-647
    • /
    • 2022
  • 코로나 팬더믹으로 인한 비대면 수업은 지속적인 운영을 통해 개선·발전되었다. 2022학년도부터 대면수업으로 전환되면서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지고, 비대면 수업 경험이 축적된 학습자들을 위한 대면 수업의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비대면 방식과 대면 방식에 대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들의 수업방식에 따른 만족도 및 의견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 방식의 장점을 활용한 수업모델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학습자 의견 도출에 그 목적이 있다.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대면 수업을 선호하나 비대면 학습경험이 많을수록 대면 수업에서의 단점을 비대면 수업을 통해서 해소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음을 인지하고, 비대면 방식을 대면 수업에 활용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후 대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비대면 방식을 결합한 하이드리드 방식의 수업 운영을 통한 수업 효과 증진 모델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According to Learning Participation Level in Non-Face-To-Face Classes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참여수준에 따른 학습효과 분석)

  • Kim, Kyong-Ah;Kim, Ji Sim;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265-266
    • /
    • 2021
  • COVID-19로 인한 외부환경요인의 변화는 2020학년도 1학기부터 대학교육시스템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초기에는 비대면으로 변화된 수업 환경에서 필요한 수업 방법으로 전환하는 데 급급하였다면 비대면 상황이 지속되면서 대면 학습의 실재감을 제공하고 학습효과를 높이는 구체적인 요인 파악과 수업 적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는 컴퓨터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실습기반 교과목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대면 수업의 실재감을 제공하기 위해 강의동영상 수업과 실시간 수업을 활용하여 수업주제 맞춤형 비대면 혼합형 수업 방법을 적용한 후 설문 조사를 통해 혼합형 수업에서 학습자의 참여수준(태도)가 대면수업 수준의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비대면 수업에서는 비대면 환경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수업 참여 수준(태도)가 대면 수준으로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분석하였다.

  • PDF

A Comparison of Learning Effects of Untact and Face-to-Face Classes Based on Team Project (팀 프로젝트 기반 언택트 수업과 대면 수업 방식의 학습 효과 비교)

  • Ahn, You Jung;Kim, Ji Sim;Kim, Kyong A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85-87
    • /
    • 2021
  • 컴퓨터 전공자들의 프로그래밍 개발 중심의 팀 프로젝트 수업은 프로그래밍 개발 능력과 팀원들 간의 협업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수업으로서, 기존에는 대면수업을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간 그리고 팀을 이룬 학습자들 간에 긴밀한 상호작용으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2020년 COVID-19의 확산으로 대부분의 대학 수업들이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팀 프로젝트 수업 역시 비 대면으로 운영되어야 했으며 팀 활동을 위해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모색되어야 했다. 본 연구에서는 팀 프로젝트 수업을 기존의 대면 수업으로 운영하였을 경우와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하였을 때 학습자들이 느끼는 학습 효과에 대해 비교해보고자 한다.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참여했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팀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습 이해도, 수업 흥미도, 학습자간의 소통의 원활성, 수업 참여의 적극성 그리고 전체적인 수업 만족도에 대한 설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대면과 비대면의 하이브리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대세를 이룰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만큼 대학 수업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in Non-face-to-face Team Project Classes (비대면 팀 프로젝트 수업에서 학습자간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Ahn, You Jung;Kim, Kyong Ah;Kim, Ji S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33-134
    • /
    • 2022
  • 팀 프로젝트 수업에서 학습자들 간의 소통은 프로젝트 성패에 중요한 요인이면서 동시에 가장 큰 갈등 요소이기도 하다. 특히 비대면 수업이 장기화되면서 비대면으로 운영되는 팀 프로젝트의 경우 팀원들끼리 소통할 수 있는 기회나 방법이 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팀원들 간의 소통의 원활성을 지원하는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자 2년간 실시한 비대면 팀 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통을 지원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적용해보고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해보았다.

  • PDF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Online and Non-face-to-face Mixed Classes (온라인 수업과 비대면 혼합수업의 성과와 만족도)

  • Sun Young Park
    •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
    • v.2 no.1
    • /
    • pp.39-4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and non-face-to-face mixed classes at univers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was conductedtargeted fourth-grade students taking adult nursing lectures at the Department of Nursing at one university. Class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were compared betwee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non-face-to-face class and participated in the non-face-to-face mixed class. class performance, students' average scores out of 100 on the final exams were compared. Class satisfaction compared the average score of questionnaire on class satisfaction Class performance was high in online classes, Class satisfaction was higher in mixed classes than in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for university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Types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non-face-to-face classes in universities caused by Covid-19: Focusing on the Q methodological approach (코비드-19로 인한 대학의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유형: Q 방법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Choi, Wonjoo;Seo, Sangho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6
    • /
    • pp.223-231
    • /
    • 2022
  • Covid-19, which has made a huge difference in our daily lives, has also brought major changes to our college education. As the class was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face-to-face class to a non face-to-face class, both teachers and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adapting, and problems such as the occur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gaps due to non face-to-face classes were also rai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attitudes students have toward non-face-to-face classes at universities caused by Covid-19.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college students have toward non-face-to-face classes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and to suggest points for reference i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future. Five types were found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30 P samples and 34 Q samples. First, learning efficiency-oriented type, second, class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oriented type, third, non-face-to-face class active acceptance and utilization type, fourth, dissatisfaction type due to remote system and equipment operation errors, fifth, passive response typ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b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method for effective non-face-to-face clas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the merits of non-face-to-face classes, especially recorded lectures, in terms of learning efficiency, are evident. Therefore, even if face-to-face classes are conducted entirely at universities, it is believed that providing video-recorded lectures in class will be of great help to students' learning.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rofessors for Student Participation after Covid-19 (Covid-19이후 학생 수업참여를 위한 교수자의 경험 연구)

  • Lee, Eun-Ju;Kim, Min-Jung;Song, Yeon-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0
    • /
    • pp.404-413
    • /
    • 2022
  • As non-face-to-face classes have been adopted as an essential class method in universities after COVID-19, interest in ways to encourage student engagement is increasing. Class engagement is a prerequisit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so it is inevitably an even more important requirement in non-face-to-face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orts and concerns based on the teaching experiences of three professors of D University, which have been operated by mixing non-face-to-face or non-face-to-face classes since 2020. As a result,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went through trial and error in the early stages of non-face-to-face classes, but over time,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not only actively expressed their opinions but also voluntarily expanded the class activ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und the possibility that professors-led classes can develop into learner-participating classes through appropriate harmony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and the use of various medi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autobiographical method.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rning Participation and Presence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lipped Learning-based Non-Face-To-Face Classes (플립러닝 기반 비대면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참여 및 실재감 차이 분석)

  • Kim, Kyong-Ah;Kim, Ji Sim;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39-140
    • /
    • 2022
  • 코로나 팬더믹의 장기화에 따른 비대면 환경에서 대면 수업의 실재감을 제공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대면수업과 다른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수업 설계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 참여 수준과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강의 동영상 수업과 상호작용을 포함한 플립러닝 기반 실시간 수업을 혼합하여 수업한 후 설문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 수준, 교수 실재감과 학습 실재감을 조사한 결과, 학업성취도 가장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 참여도 높고, 다음 수준의 학습자들이 교수 실재감과 학습 실재감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학업성취도에 기반하여 학습자별 맞춤형 교수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roblem-Bas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in Simultaneous Non-face-to-face Classes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문제기반학습 수업모형개발)

  • Byon, Kil-Hee;Cho, Woo-Hong;Jang, Young-Eun;Yun, K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85-186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수업모형 개발과 그 적용가능성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특징 및 수업운영 전략 등에 대하여 고찰하고, 문제중심학습 수업운영 경험자 3인의 인터뷰를 통해 실시간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모형을 개발할 것이다. 이를 문제중심학습 수업 운영 경험이 풍부한 5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업모형의 적절성과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문제중심학습 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실시간 비대면 수업상황에서 주어진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고 창의적 사고를 하며 주도적으로 학습에 임하게 함으로써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