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편입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대학의 음악과 명칭에 관한 연구 (대학의 실용음악과 명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ame of Music Universities in Korea (Focusing on the name of the University Department of applied Music))

  • 이정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119-6124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의 실용음악 개설 대학들의(대학, 전문대, 학점은행제 포함) 현황을 파악하고 각 대학들의 국문 명칭과 영문 명칭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들은 현재 확장되고 있는 각 대학 실용음악과의 특성과 개설 배경을 설명하고 있으며 때로는 국문 명칭과 영문 명칭의 오류나 잘못된 해석의 경우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개설되어있는 각 대학의 실용음악과의 명칭에 있어 공감대 있는 국문, 영문 명칭 제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새롭게 개설되거나 편입되는 대학, 대학원 또는 그 외에 학점은행제를 포함하는 모든 음악교육 기관의 실용음악과 학과 개설 시 필요한 명칭의 선택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도서관의 아웃리치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utreach Service at Academic Libraries)

  • 최상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7-207
    • /
    • 2009
  • 대학도서관이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에는 보다 많은 도서관 이용자와 이용률 증가가 요구된다. 도서관 아웃리치 서비스의 도입 실행이 이에 대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이 실행 할 수 있는 아웃리치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서관 아웃리치의 의의, 대학도서관 아웃리치 활동의 특징, 관련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아웃리치 서비스 사례를 조사한 후, 이를 토대로 다문화학생, 편입생, 대학원생, 기숙사생, 교수, 강사 및 강의조교와 같은 이용자 집단별 아웃리치 서비스와 6단계의 아웃리치 활동 절차가 제시되었다.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한 견해 (The opinions of health-unrelated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on medical personnel of dental hygienists)

  • 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79-280
    • /
    • 2019
  •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의료인화 정책에 대한 찬반의견을 조사하였다.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은 의료인, 의료기사의 구분에 대한 인식 수준, 치과위생사 업무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았고, 40%의 응답자가 치과위생사 의료인화 정책에 찬성하였다. 치과위생사를 단순히 의료인으로 편입시키는 정책보다는 치과의료와 관련된 법률을 제정한다거나 치과위생사 직업의 단독법을 제정하는 등 국민구강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바람직한 체계가 무엇인지 다양한 시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 PDF

학술정보 공유 활성화를 위한 대학도서관 평가 방안 (Developing the Evaluation System of University Library for Activating Inter-libray Research Information Resource Sharing)

  • 조재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7-82
    • /
    • 2003
  • 우리나라는 절대적인 정보량의 부족, 지방대 정보 격차 등의 문제 뿐 아니라, 외국 정보원에 대한 절대적 의존 현상을 보이고 있어, 대학간 원활한 학술정보 공유가 절실한 상황이다. 정보 공유에 대한 의식을 제고하고 대학의 자발적 노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학술정보 공유 기여도에 대한 평가 체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학술정보 공유 현황을 분석하곤 공유 사업 내용을 기반으로 한 기여도 평가 항목 및 배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술정보 공유 기여도를 기존 대학 평가 체제에 편입시키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대학박물관 활성화를 위한 학예연구원의 전문직 역할 - 연구전임교수제의 확립과 역할평가 방안을 모색하며- (Professional Function of A Curator for Improving University Museum -Establishing Professional Faculty Researchers-)

  • 오일환
    • 고문화
    • /
    • 57호
    • /
    • pp.315-329
    • /
    • 2001
  • 1955년 8월부터 대학설치령에 의해 설립되기 시작한 대학박물관은 2000년 12월 현재 88개에 이른다. 대학박물관은 지역문화의 연구센터로서 풍부한 연구교육자료의 보유와 우수한 문화교육인력을 배양하여 왔다. 불합리한 여건 속에서도 대학박물관의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과 함께 구제 발굴의 참여와 연구인력 및 학술적 연구기능을 폭발적으로 제고시킴으로서 우리나라의 문화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최근 들어 대학박물관은 교육환경의 변화에 빨라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될 위기에 처하고 있다. 대학박물관의 학예연구인력은 무엇보다도 정체성 확립과 함께 명확한 업무영역 및 역할평가를 위한 적절한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박물관 학예연구원은 전문적인 연구와 교육자료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전시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전문적인 연구교육자로서의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며 축적된 지식을 상품화하고 이를 확대, 재생산 할 수 있는 지식시스템의 구축을 모색하여야 한다. 그러나 대학박물관의 주요 구성원인 학예연구원을 비롯한 연구인력의 업무분장과 전문직 역할평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특히 학예연구원은 자료, 시설과 함께 박물관 3대 요소의 주축이며 전문 연구능력을 보유한 교육자인 동시에 과학기술자임에도 불구하고 대학박물관은 지위와 대우에 대한 바람직한 개선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대학박물관의 학예연구원직은 교수직으로 이동하기 위한 임시 중간기착지로 인식되어왔고 실제로 대학박물관의 연구 및 교육적 활성화에 가장 커다란 걸림돌로 되어 왔다. 따라서 대학박물관의 학예연구천은 연구, 교육, 전시, 조사, 유물관리, 행정협력 등을 담당하는 전문직으로서 연구전임교수로 편입되어야 하며 적절한 업무분장과 엄정한 역할평가를 확립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 PDF

일부 지방대학 간호학과 편입생의 대학생활 경험 (The Experiences of Students Transferring into the Nursing Program at Local Universities)

  • 김문정;김소희;변은경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366-37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transfer students in nursing college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collect qualitative data, 10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une 2013 to September 2014. Five sub-themes emerged from the data as follows: Participants started new challenge with self-confidence; Nursing science was difficult and unfamiliar disciplines to them; Firstly, they had no place in nursing department, but got places of their own over time; They managed to hold their own in confronting with difficulties; They consequently made personal upgrades in their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guide nursing faculties to understand what kind of burdens transfer students experienced, how they had adapted to them, and how to support them to realize their full potential to grow into competent nurses.

디지털 융복합시대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일상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반응 -간호학사 특별편입과정 학생을 중심으로 (Daily Hassles, Self-Efficacy, and Stress Responses of Adult Learners of Distance Education in Digital Convergence Era -Based on RN-BSN Students)

  • 박영숙;김정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397-40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융복합 시대의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로서 직업과 학업을 병행하는 RN-BSN 학위과정 학생의 일상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반응간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자료는 일 국립원격대학의 간호학사 특별편입과정의 직업을 가진 여성 간호사 229명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일상생활스트레스의 하부 영역들 중 당면과제 영역이 대인관계 영역 보다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가 높았고, 당면과제 영역에서는 학업문제가,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가족관계가 각각 가장 높았다. 자기효능감의 평균 점수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스트레스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건강상태, 업무부담, 직업만족과 일상생활스트레스의 가치관문제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가 스트레스반응의 총변량 44.2%를 설명하였으며 일상생활스트레스의 가치관문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디지털 융복합 시대의 직업을 가진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원격교육지원 정책과 전략들이 필요하다.

국내 간호대학(학과)의 학사 편입학 과정의 현황과 발전 전략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program in South Korea: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 양승현;조의영;김진숙;이혜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3-13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implementing the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program in South Korea and provide insight into strategies to improve the program outcomes. Methods: An on-line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is study was emailed to deans of nursing colleges who were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llege of Nursing. Questions included items related to nursing college, students, curriculum, and anticipated difficulty in relation to an increase of the number of second-degree students. Results: Out of 117 nursing schools, 33 schools (28.2%)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The actual number of second-degree students and their ratio (about 10%) to regular students significantly increased in 2019. Male students were enrolled nearly twice as many times as regular students. Among the anticipated difficulties,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3.94) and clinical practice instructors (3.73) showed relatively higher scores than other difficulties such as teaching (3.58) and education facilities (3.30).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for second-degree students, more nursing faculties and innovative clinical practice support systems are needed. Future study is warrante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second-degree students and graduates.

간호대학(학과) 학사 편입과정 졸업생의 실태와 과정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Profile of the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program graduates and analysis of relative efficiency of programs)

  • 양승현;이혜정;김효영;민아리;조의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4-382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rofile of graduates from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program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efficiency of nursing colleg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s: An online survey link was emailed to the deans of nursing colleges, who were then asked to send the link to graduates of the respective colleges. The survey questionnaire included demographics, reasons for applying to the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program,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nd nursing career satisfaction. Results: Sixty-two graduates of the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program responded to the survey. The mean age at admission was 24.28 (± 3.01) years. Reasons for applying to the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program were primarily increasing job security and using it as a stepping stone to another career. Nursing career job satisfaction was 4.81 (± 1.07) and more than 82% recommended this program.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found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to be 0.84 (± 0.20) and 4 nursing colleges to be relatively efficient. Conclusion: The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program can be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means to produce quality nurses with non-nursing bachelor degrees in a short time; however, outcomes of this program need to be systematically monitored to maintain quality level. Through this, competent nurses with knowledge of adjacent studies will be added to the nursing workforce.

학사치과위생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연구 (Comparison of Curriculum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s for B. S Degree)

  • 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51-258
    • /
    • 2005
  • 학사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한국 미국 일본의 학사학위 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구강생물학 영역에서는 구강해부학, 치아형태학, 구강조직학, 구강병리학을 개설하고 있으며, 일부 대학에서는 이들 교과목에 대하여 광역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구강생리학을 개설한 대학은 없다. 2. 치과임상학 영역에서는 구강방사선학, 치주학, 치과재료학, 동통관리 등을 주로 개설하고 있다. 3. 공중구강보건 영역에서는 주로 지역사회구강보건학과 구강 보건교육학을 개설하고 있다. 4. 임상치위생 영역에서는 대부분의 대학이 통합교과를 편성하고 있으며, 이론과 실습, 임상실습을 구분하고 있다. 5. 일부 대학에서 치과의료관리학, 의료법과 윤리 등 치과의료관리 영역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6. 많은 대학이 치위생연구, 치위생연구방법론 등 치위생 연구 영역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7. 교육과정의 편제는 전문학사학위과정, 학사학위과정, 학위완수과정, 원격교육과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제간 연계성이 확립되어 있다. 8. 치위생(학)과 진입및 편입을 위한 선수과목으로 영어, 글쓰기, 사회학, 심리학, 생물, 화학을 요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