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피시설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eveloped a CBR Model for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민방위 대피시설의 화생방 방호 모델 개발)

  • Park, Nam-Hee;Yeo, Wo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58-35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민방위 대피시설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피시설에 적용하고 있는 화생방 설비의 개념을 분석하여, 우리의 실정 및 재난 특성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대피시설의 설계 기준(안)을 도출하여, 획일화된 방호개념을 탈피한 대피시설의 구축 기반을 설정하기 위해 새로운 건물 내 대피시설(SIP) 개념을 도입하여, 일반 국민이 화생방관련 민방위 사태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피시설 계획의 설계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전체 대피시설 중 0.1%를 차지하고 있는 화생방 대피시설의 비율이다. 개소수로는 29개소이며, 이 시설은 일반 주민은 사용할 수 없는 충무지휘용 대피시설이다. 이는 화생방 재난 및 사고 발생 시 일반 주민들은 대피할 공간이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대피시설 계획 설계내용을 검토하고 국내 시설과 비교하여 대피시설의 성능을 비교 검증하고 화생방 대피시설의 일반적/기술적 구축 조건 모델을 구성하였다.

  • PDF

A Study on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전국의 대피시설 실태조사를 통한 민방위 대피시설 표준 정립 모델 구축 연구)

  • Park, Namhee;Yeo, Wookhyun;Kim, Taewh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8 no.1
    • /
    • pp.56-70
    • /
    • 2012
  •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currently installed in our country are necessary to survey the operating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on the current facility for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equipment, management, and problem analysis, research and to build a facility model of the standard formulation through th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are most in Seoul. Second,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proved to be checked periodically without a systematic management. Many facilities do not have communication facilities appear to be evacua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is expected to have difficulty in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Fourth, the old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are in the center of the metropolitan area.

A Study on the Planning of Civil Defense Shelter and Design 2 - Focused on Planning and Design of Defense Shelter the U.S. - (민방위 대피시설 계획 및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2 - 미국의 대피시설 계획 및 설계를 중심으로 -)

  • Park, Namkwun;Kwon, Taeil;Kim, Tweh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3
    • /
    • pp.442-451
    • /
    • 2014
  • Over 20,000 defense shelters are currently designated and operated in Korea. However, only few sheltershave the capacity to defend against CBR attack or terror from North Korea. Furthermore, as public defense shelters are only equipped with air-raid shelters, it is urgent to establish standard for CBR attack.This study focuses on shelter-in-place(SIP), a kind of CBR shelter in the U.S., and aims to draw up construction plan and planning of Korean defenses helter.

A Study on Utilizing the Site and Building of Closed School as Evacuation Facilities for the Library (폐교 부지 및 건축물을 이용한 도서관의 대피시설로서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Ro, Ji-Yoo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0 no.4
    • /
    • pp.65-89
    • /
    • 2019
  • This study explored the fact that libraries can be used as evacuation facilities, suggesting that existing libraries built not only strengthen their role and function as evacuation facilities but also need to be constructed or remodeled to meet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evacuation facilities. The use of closed schools was proposed to pursue economic efficiency and regional effects in building or remodeling, and the status of the evacuation facilities and closed school in Chungju was evaluated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posals, and closed school was assessed based on the capacity of the shelter. The three main points of discussion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Reconfirm what functions and roles the library are performing as an evacuation facility, and explore the advantages of using the library as an evacuation facility is used as an evacuation facility. ② Review and discuss the synergy by the role of the library and the closed schools. ③ Examine and discuss the synergy between these roles of the library and the closed school.

Analysis of Civil Defense Shelters and Measures (민방위 대피소의 실태분석 및 대책방안)

  • Kim, Tae-Hwa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31-31
    • /
    • 2011
  • 1990년 이후 공산체계인 구소련과 동구권이 몰락하고 세계적으로 탈냉전의 변화와 우리의 민주정부 수립 후 햇빛정책 등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적화통일을 포기하지 않고 작년 11월에 연평도에 포격을 가하여 민간인과, 군이 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 하였다. 또한 북한의 공격은 과거의 포탄공격뿐만 아니라 미사일이나 화생방과 같은 생화학물질 탑재 가능한 공격이 예상된다. 이에 대비 정부에서는 고정시설의 화생방 방호는 일단유사시에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필수요소로서 집단보호개념에 도입하고 있으며, 현재 각 중요 대피시설 및 지자체의 기존 대피시설을 개인방호, 탐지, 제독, 운용절차를 포함한 실태파악 및 재래식 탄을 포함한 통합적인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 작년 2010년 11월 연평도에서의 북한 포격이후 우리는 서해5도나 접경지역 주민과 그리고 근접거리의 서울시민들이 안전하게 포격으로부터 피난 할 수 있는 민방위대피소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대책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소방방재청 기준에 따르면 직격(直擊) 핵폭탄을 제외한 화생방, 재래식 무기 공격에 견딜 수 있는 시설은 '1등급 대피시설'인데 서울에는 한 곳도 없다. 고층건물의 지하 2층 이하나 지하철, 터널 같은 2등급 대피시설도 폭격은 견딜 수 있지만 화생방 공격에는 취약하다. 지하상가 등 건축물의 지하층, 지하차도나 보도는 그보다 더 취약한 3등급이며 단독 주택의 지하층처럼 방호 효과가 떨어지는 곳이 4등급이다. 2등급으로 분류된 대피소의 경우 분류만 되어 있을 뿐 장기간 대피시 시민들이 사용 할 수 있는 거주공간이 아닌 임시 대피로서의 역할만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방위 기본법에 따라 지하에 $3.3m^2$ 당 4명 이상이 대피할 수 있는 규모의 공간을 갖추기만 하면 대피시설로 볼 수 있는 현 문제점과 1등급에서 4등급으로 나뉘어져있는 민방위 대피소와 대피소가 있지만 피난공간으로서의 역할과 구조적으로 안전한가에 대한 국내외 실태 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는 서해5도 대피시설의 반 이상이 무용지물이고 접경지 또한 피난시에 피난장으로서의 대피소가 난방이나, 구급품과 식구 시설 등이 구비가 되어 있지 않고 대피시설로 지정한곳이 간판이나 안내시설이 없다. 외국의 경우 스위스는 연방정부의 관리책임으로 전쟁이나 핵 확산에 따른 화생방 업무 전담팀을 두고 있으며, 방독면은 개인 방호물자로서 전국민 100% 보유하고, 각가정이나 건축, 시설물의 경우 화생방 표준 대피시설 설치관련 규정 마련 시행하고 있다. 대피시설은 화생방 방호가 가능한 지휘부용 대피시설과 일반 주민대피용 시설을 구분하여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전국에 650만개를 설치하고 있다. 결론은 대피시설이 북한 공경시 피난시설로의 활용방안을 모색 등급구분에 따른 현실적용 수정과 기존 대피소 보강과 재선별이 필요하고, 신축시 설계 표준설계안 그리고 기존의 대피소에 대한 보수, 보강방법 가이드라인과 장기간 거주에 대한 설비구축 등과 국민 대홍보등을 제안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the Appropriation of Chemical Accident Evacuation Facility Using GIS - focused on Ulsan metropolitan city - (GIS 기법을 활용한 화학사고 대피시설의 적정성 분석 -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 SONG, Bong-Geun;LEE, Tae-Wook;KIM, Hyun-Ju;KIM, Tai-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1
    • /
    • pp.71-8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inimize damage of chemical accidents through the appropriation analysis of evacuation facility position focused on Ulsan metropolitan city. For analysis, informations such as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PRTR), population census, and evacuation facilities were used. After then, damage assessment of chemical accidents, accessibility and appropriation of evacuation facilities were analyzed. Damage of chemical accidents is high in around 5km of industrial complex there is dense of chemical facility and population. Evacuation facilities were mainly situated in hazard area of chemical accidents, but accessibility of evacuation facilities was vulnerable in chemical plant neighborhood. Therefore, safety check of deteriorated plants is important for prevention of chemical accidents. Also, effective evacuation plan considering capacity and scale of evacuation facilities will be established.

Study on Efficiency Improvement of Evacuation and Evacuation Facility due to Fire in Apartment House (공동주택 화재에 따른 피난 및 대피시설의 효율성 제고 방안)

  • Song, Chang-Young;Song,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83-286
    • /
    • 2016
  • 국내에 다수의 공동주택이 건설되고 있거나 공사중에 있으며 그 수요 또한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추세의 공동주택 중 대피공간 규정이 신설된 1992년 이전에 시공된 건축물은 현재에도 대피공간 및 피난시설이 부재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 계획 및 시공, 준공된 준초고층의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대피공간 및 이에 준하는 시설은 사생활 침해 및 타 용도 공간 활용 등으로 기능이 상실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피난 및 대피공간에 대한 실효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타 시 도의 선진사례를 분석하여 정책적 제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피난시설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광주광역시의 공동주택 관련 현황 및 사례 조사와 관련 법규 분석을 통해 피난시설 및 대피공간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효율성이 높은 대피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 및 인센티브 제도, 가이드라인 등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Selection of Appropriate Location for Civil Defense Shelters Using Genetic Algorithm and Network Analysis (유전자 알고리즘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민방위 대피시설 위치 선정)

  • Yoo, Suhong;Kim, Mi-Kyeong;Bae, Junsu;Sohn, Hong-Gy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6 no.6
    • /
    • pp.573-580
    • /
    • 2018
  •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location appropriateness and capacity of shelters. However, research on how to select new shelters is relatively insufficient. Since the shelter is designated in case of emergency, it is also necessary to efficiently select the location of the shelter.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 for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shelter using network analysis that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location appropriateness of shelters and genetic algorithm which is a representative heuristic algorithm. First, the network analysis using the existing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y data was perform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vulnerability of evacuation has a high deviation by region in the study area. In order to minimize the evacuation vulnerable area, the genetic algorithm was designed then the location of new shelters was determined. The initial solution consisting of candidate locations of new shelters was randomly generated and the optimal solution was found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on, crossover, and muta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area with a high percentage of the evacuation vulnerable areas was prioritiz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ositioning of new shelter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evacuation plan in the future.

A Study on Improvement of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in Dorim-Cheon Basin (홍수기 도림천 유역 진출입차단 시설 및 대피시설 운영방안)

  • Kim, Min Seok;Yoon, Sun Kwon;Choi, Hyeo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1-461
    • /
    • 2021
  • 도림천 유역은 4개 자치구(관악, 구로, 동작, 영등포)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강우 발생 시 침수취약지역 맞춤형 행동 매뉴얼을 통해 운영된다. 그러나 여름철 집중강우 발생 시에는 도달시간이 짧고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는 유역의 특성으로 하천 내 고립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 10년('11년~'20년)간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도림천 중·하류 구간에서 발생한 고립사고는 총 27회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도림천 유역을 대상으로 도시홍수 예·경보 전달시설, 진입차단 시설, 그리고 고립 시 대피시설의 설치현황을 살펴보고 도시하천에 적합한 재난대피시설 운영 및 설치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짧은 시간에 수위가 급변하는 도시하천의 고립사고 최소화와 더불어 신속하고 안전한 하천시설운영 및 자치구 통합 맞춤형 행동 매뉴얼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Optimal Evacuation Model using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Survey Data (민방위 대피시설 실태 분석을 통한 최적의 대피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Yeo, Wookhyun;Park, Namhee;Kim, Taewhan;Koo, Wonyo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8 no.1
    • /
    • pp.71-80
    • /
    • 2012
  •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uidelines when we selecting the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by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volu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ccording to population density and distribution of the capacity of evacuation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apacity of evacuation facilities in order to set up the exact districts of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Second, basic data based on to compare the condition of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is produced by an analysis on evacuation status of the target region. Third, it is proved to consider topographical conditions which do not move the shortest distance. Fourth, in order to create a realistic mode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odel set various parame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