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피소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9초

스위스 대피소 구축 사례를 통한 국내 대피소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Domestic Shelter Construction Plans Considering the Shelter Construction Case in Swiss)

  • 유동완;이태구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119-121
    • /
    • 2016
  • 현재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재난이 자주 발생하지 않음으로 인해 대피소 이용률이 적어지고, 자연스럽게 대피소 유지 관리에 소홀해왔다. 그러나 최근 풍수해 및 지진 등의 다양한 자연재난과 사회 재난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피소를 재점검하고, 재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피소 및 방공호 구축의 선진국인 스위스의 사례 분석을 통해 앞으로 국내 대피소 구축 시 고려하여야 할 요소 및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현재 국내 대피소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대피소 안내 앱 개발 (Guide app for disaster shelter based on public data)

  • 김형노;황일엽;오상헌;김국진;박태억;정덕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26-429
    • /
    • 2016
  • 최근 울산, 경주에서 5.0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이제껏 안전지대라고 여겨왔던 한반도에도 대형 재난이 일어날 수 있다는 불안감과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이런 위험상황에 대비해 재난 시 이용할 수 있는 대피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대부분 정확한 위치를 모르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실제 재난이 발생했을 때 우왕좌왕하는 사이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난 대피소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생각하게 되었다. 재난대피소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부산시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가장 가까운 대피소의 위치를 찾아주고 국민안전처의 재난에 대한 SMS를 수신 시 해당 앱의 강제 부팅 기능을 제공한다.

  • PDF

전국 비상 대피소와 재난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 applications with national emergency shelters and disaster data visualization)

  • 공동준;한성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2-103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과 폭우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피소에 대한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피소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제안 애플리케이션은 공공 데이터 포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활용해 React-Native-Maps 에서 제공하는 마커 기능을 사용하고 구글에서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와 결합해 대피소의 위치를 표시한다. 부가적인 특징으로 과거 재난 정보를 시각화 하여 제공하여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의 대피소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였다. 프로토 타입으로 제작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후 피해 예상지역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긴급 대피소 안내 앱 개발 (Development of an Emergency Shelter Guidance App)

  • 원치현;최승휘;우병현;김준희;이승우;유정연;이형봉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85-286
    • /
    • 2023
  • 우리 나라는 오래 전부터 민방위 차원에서 각 지역에 대피소를 선정해두고 정부 해당 부처의 게시판으로 알리고 있다. 그러나, 민방위 훈련이 거의 실시되지 않는 터라 대부분의 국민들은 어느지역에 어떤 대피소가 마련되어 있는지 알지 못한다. 최근에는 민방위 뿐만 아니라 바닷가 해일에 대비하기 위한 대피소도 늘어나고 있는데 이를 알고 있는 국민 또한 많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재 위치 주변에 어떤 대피소가 있는지와 가장 가까운 대피소까지의 길을 안내하는 긴급 대피소 안내 앱을 개발한다. 그 외에 이 앱은 지역별로 최근 발송된 재난 문자를 검색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유동인구를 활용한 대피소 수용 능력 분석 (A Spatial Analysis of Shelter Capacity Using Floating Population)

  • 김미경;강신혜;김상필;손홍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0
    • /
    • 2016
  • 서울은 많은 인구 및 도시 기능이 집중된 거대 도시로, 재난 및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긴급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장소는 필수적이다. 현재 서울시 대피소의 숫자는 수용능력 면에서 보면 서울시 인구의 두 배 이상을 상회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의 경우, 거주지의 인구분포와 유동인구를 포함한 낮 시간대의 인구분포는 상이하다. 따라서 대피소의 실질적인 수용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인구 분포의 유동적인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유동인구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대피소의 실질적인 접근성 및 수용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행자 도로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대피소의 접근성을 파악하고 거주인구 및 유동인구에 따른 지역적 수용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지역 내 대피소의 분포에 따라 취약한 지역과 현재의 대피소 위치 선정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침수피해 방지를 위한 재난대피소 시각화 시스템 설계 (Design of the Disaster Evacuation Center Visualization System to Prevent Flood Damage)

  • 권대한;한성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0-10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폭우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공공데이터의 대피소 현황과 과거 침수, 범람 정보를 토대로 재난상황 발생시 시민들이 실시간으로 대비할 수 있는 재난대피소 시각화 시스템을 설계한다. 설계된 재난대피소 시각화 시스템은 인접한 대피소 안내, 과거 침수, 범람 구역 시각화, 예상 침수, 범람 구역 시각화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하여 시각화 된 예상 침수 구역을 기반으로 수방 시설 대비와 침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보행속도에 따른 대피소 서비스 영역 분석 (Analysis of Shelter Service Areas According to Walking Speed Using Network Analysis)

  • 박재국;김동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44
    • /
    • 2012
  • 위급상황 발생시 국민의 안전을 위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가 전국에 약 2만 5,724개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 약 3,870개소가 지정되어 있다. 전국에 설치된 대피소는 신속한 대피를 위해 주변 반경 5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위치에 지정되어 있으며, 서울시의 대피소 수용능력은 서울인구의 285%를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보행자의 나이, 신장, 건강상태, 신체조건 등과 같은 개인차에 의한 보행속도를 고려하였을 경우 5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대피소가 얼마나 되는지는 알 수 없다. 또한 대피소의 공간적 배분 및 분포에 따라 수용 가능한 서비스 영역이 달라지며, 이에 따른 취약지가 발생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사례를 통해서 보행자의 유형별 보행속도를 1m/s, 1.3m/s, 2m/s 정의하였고, 서울시에 지정된 대피소와 도로망을 이용하여 입지할당모형의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 행정구역별로 보행속도에 따른 대피소의 서비스 지역과 취약 지역을 알 수 있었으며, 노약자의 경우 대피소에 도달할 수 없는 취약 지역이 빠른 걸음의 성인남녀에 비해 2배 이상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간데이터베이스와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한 민방위대피소 수용 능력 분석 및 최적 위치 선정 (Capacity Analysis of Civil Defense Shelter and Optimal Positioning Using Spatial-Database and Genetic Algorithm)

  • 유수홍;배준수;이지상;손홍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955-963
    • /
    • 2019
  • 현재 시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민방위대피소의 설치와 관리가 정부 및 지자체 주도하에 이뤄지고 있다. 향후에는 지정된 전용 대피소를 포함하여 일반 대피시설의 확장을 통한 효율적인 민방위 대피소 운영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대피소의 선정 시 수용인원만을 고려한 양적인 운영이 아닌 거주민의 분포 및 대피소의 접근 위치를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행정구역 데이터에 비해 세밀하게 거주민 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전수 집계구 데이터와 건물 데이터, 도로망 정보를 기반으로 유전자 알고리즘과 Huff 중력 모델을 활용하여 모든 거주민을 실질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민방위대피소를 선정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와 빠른 처리를 위해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 성과를 개량하면 시 단위의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서도 일반 대피시설의 선정 및 개선 연구의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진주시 홍수재해용 대피소 적합성 평가 (Suitability Assessment for Flood Disaster Shelters of Jinju City)

  • 유환희;손세련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1-99
    • /
    • 2012
  • 진주시는 과거 발생한 태풍 및 집중호우 등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침수위험지구를 8곳 선정하고 이 지역에 대한 대피소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지구 중 시가지에 위치하고 인구밀도가 높은 나불지구와 상평지구를 연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침수재해가 발생할 경우 대피조건을 고려하여 아동, 일반성인, 노약자로 구분하고 이동속도와 도달시간을 계산하여 대피소의 위치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GIS의 네트워크분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아동과 노약자의 경우 대피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대피소로 대피하는데 적정대피 계획시간을 초과하고 있으며 일부지역은 일반성인도 규정된 대피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나불, 상평지구에 현재 지정된 대피소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피소를 1-2개 추가 지정하여 대피시간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였으며, 향후 대피경보발령과 연령별 대피계획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축하여 재해발생 시 인적 물적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민방위 대피소의 실태분석 및 대책방안 (Analysis of Civil Defense Shelters and Measures)

  • 김태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31-31
    • /
    • 2011
  • 1990년 이후 공산체계인 구소련과 동구권이 몰락하고 세계적으로 탈냉전의 변화와 우리의 민주정부 수립 후 햇빛정책 등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적화통일을 포기하지 않고 작년 11월에 연평도에 포격을 가하여 민간인과, 군이 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 하였다. 또한 북한의 공격은 과거의 포탄공격뿐만 아니라 미사일이나 화생방과 같은 생화학물질 탑재 가능한 공격이 예상된다. 이에 대비 정부에서는 고정시설의 화생방 방호는 일단유사시에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필수요소로서 집단보호개념에 도입하고 있으며, 현재 각 중요 대피시설 및 지자체의 기존 대피시설을 개인방호, 탐지, 제독, 운용절차를 포함한 실태파악 및 재래식 탄을 포함한 통합적인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 작년 2010년 11월 연평도에서의 북한 포격이후 우리는 서해5도나 접경지역 주민과 그리고 근접거리의 서울시민들이 안전하게 포격으로부터 피난 할 수 있는 민방위대피소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대책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소방방재청 기준에 따르면 직격(直擊) 핵폭탄을 제외한 화생방, 재래식 무기 공격에 견딜 수 있는 시설은 '1등급 대피시설'인데 서울에는 한 곳도 없다. 고층건물의 지하 2층 이하나 지하철, 터널 같은 2등급 대피시설도 폭격은 견딜 수 있지만 화생방 공격에는 취약하다. 지하상가 등 건축물의 지하층, 지하차도나 보도는 그보다 더 취약한 3등급이며 단독 주택의 지하층처럼 방호 효과가 떨어지는 곳이 4등급이다. 2등급으로 분류된 대피소의 경우 분류만 되어 있을 뿐 장기간 대피시 시민들이 사용 할 수 있는 거주공간이 아닌 임시 대피로서의 역할만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방위 기본법에 따라 지하에 $3.3m^2$ 당 4명 이상이 대피할 수 있는 규모의 공간을 갖추기만 하면 대피시설로 볼 수 있는 현 문제점과 1등급에서 4등급으로 나뉘어져있는 민방위 대피소와 대피소가 있지만 피난공간으로서의 역할과 구조적으로 안전한가에 대한 국내외 실태 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는 서해5도 대피시설의 반 이상이 무용지물이고 접경지 또한 피난시에 피난장으로서의 대피소가 난방이나, 구급품과 식구 시설 등이 구비가 되어 있지 않고 대피시설로 지정한곳이 간판이나 안내시설이 없다. 외국의 경우 스위스는 연방정부의 관리책임으로 전쟁이나 핵 확산에 따른 화생방 업무 전담팀을 두고 있으며, 방독면은 개인 방호물자로서 전국민 100% 보유하고, 각가정이나 건축, 시설물의 경우 화생방 표준 대피시설 설치관련 규정 마련 시행하고 있다. 대피시설은 화생방 방호가 가능한 지휘부용 대피시설과 일반 주민대피용 시설을 구분하여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전국에 650만개를 설치하고 있다. 결론은 대피시설이 북한 공경시 피난시설로의 활용방안을 모색 등급구분에 따른 현실적용 수정과 기존 대피소 보강과 재선별이 필요하고, 신축시 설계 표준설계안 그리고 기존의 대피소에 대한 보수, 보강방법 가이드라인과 장기간 거주에 대한 설비구축 등과 국민 대홍보등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