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칭

검색결과 2,597건 처리시간 0.031초

대칭 변환 결과를 이용한 특정 모양의 물체 인식 (Using Symmetry Transform To Recognize the Object with a Certain Shape)

  • 기명석;이칠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347-349
    • /
    • 2000
  • Reisfeld 등이 제안한 일반화 대칭 변환의 대칭 기여도를 구하는 방법은 물체의 윤곽선의 방향과 거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내부에 누적시키는 것으로써, 물체의 검출이나, 얼굴 검출 등의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칭 변환 기여도의 모양은 물체의 외곽 모양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대칭 변환 기여도의 모양을 분석하여 특정 모양의 물체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점진적인 속도증진 트레드밀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ait Pattern in Hemiplegia Patients through Progressive Speed Increase Treadmill Training)

  • 이형수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3-34
    • /
    • 2014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점진적인 속도증진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족저압, 보행주기, 보행대칭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뇌졸중으로 진단 받고 N병원에 입원한 편마비환자 20명(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받았고, 실험군은 주3회, 8주간의 트레드밀 보행훈련를 받았고, 대조군은 받지 않았다. 실험전, 후에 F-scan을 이용하여 보행주기, 보행대칭성을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 8주 후, 보행주기는 실험군의 양하지지지기 I II, 단하지지지기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양하지지지기 II, 단하지지지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유각기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지는 않았다. 보행대칭성은 입각기 대칭성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유각기 대칭성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뇌졸중 환자에 있어 보행훈련은 보행주기과 보행대칭성과 를 개선시키며, 특히 점진적인 속도 증진훈련은 양하지지지기, 단하지지지기, 입각기 보행대칭성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사 대칭을 이용한 3차원 오브젝트 검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3D Object Retrieval using Reflective Symmetry)

  • 송주환;최성희;권오봉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4권4호
    • /
    • pp.48-54
    • /
    • 2007
  • 멀티미디어 활용이 다양해지면서 3차원 오브젝트 데이터 처리(저장, 편집, 검색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대칭면을 활용한 3차원 오브젝트의 검색 시스템을 제안 구현하였다. 검색기법으로는 투영선을 이용한 반사대칭축을 이용하였다. 반사대칭에 의해 대칭면을 구하고, 대칭면에 대한 깊이버퍼를 구하였으며, 깊이버퍼에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특징벡터를 생성하여 검색하였다. 질의에 의한 샘플은 콘스탄츠 대학(Konstantz University)의 벤치마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사 대칭성의 모델을 추출하였다. 대부분의 물체들이 대칭의 특성을 갖는 오브젝트임을 고려해 볼 때 본 논문이 제안한 반사대칭면을 이용한 3차원 오브젝트 검색에 의한 방법은 우수한 검색 시스템임을 알 수 있었다.

Optical Phonon Mixing in ABC Trilayer Graphene with a Chemically Broken Inversion Symmetry

  • 박광희;류순민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80.1-180.1
    • /
    • 2014
  • 이중층 그래핀(graphene)의 한쪽 표면에 전하를 주입하면 반전 대칭(inversion symmetry)이 깨지며 라만-비활성 진동모드가 활성화되면서 라만 G-봉우리 부근에 새로운 봉우리가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삼중층 그래핀은 그래핀이 적층되는 방식에 따라 ABA (Bernal), ABC (rhombohedral) 그래핀으로 나뉘며, ABC 그래핀은 ABA와는 달리 반전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ABC 그래핀의 반전 대칭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라만 스펙트럼의 변화를 탐구하였다. ABA 그래핀과는 달리 이중층 그래핀과 ABC 그래핀에서는 저진공 열처리 또는 요오드 흡착반응을 한 후에 G-봉우리 부근에서 새로운 봉우리가 나타나는 것을 관찰하였고, 전하밀도 정도가 증가 할수록 G-봉우리와 새로운 봉우리의 위치 차이는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물과 메탄올에 의한 세척 반응으로부터 열처리는 복층 그래핀과 기판 계면에 그리고 요오드 흡착은 그래핀의 상단표면에 잉여 전하를 유발하여 반전 대칭을 깨트린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G-봉우리와 새로운 봉우리의 진동수 차이가 반전 대칭을 유발한 전하밀도의 그래디언트에 대한 척도가 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운반차-막대 시스템의 대칭성과 Table Look-Up 제어 기법 (The Symmetry of Cart-Pole System and A Table Look-Up Control Technique)

  • 권성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90-297
    • /
    • 2004
  • 운반차-막대 시스템을 위한 제어 법칙들의 계략을 관찰하여, 운반차-막대 시스템의 상태 벡터와 제어 법칙의 출력 사이에 우함수적인 대칭성이 내재하는 것을 규명하였다. 제어 법칙을 look-up table에 구현하는데 있어서 상태 변수들의 양자화와 제어 법칙의 학습에 대칭성을 반영하는 문제를 토의하고, CMAC이 대칭성을 반영하여 운반차-막대 시스템의 비선형 제어 법칙을 학습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대칭성을 반영함으로써 look-up table에 제어 법칙이 구현되는 학습 기간이 단축되고 소요되는 메모리 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면서도, 시스템의 상태와 제어 법칙 사이의 대칭성이 보존되는 학습 성능의 개선을 확인하였다.

과학적 대칭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과학교육에의 함의 (Theoretical Study of Scientific Symmetry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 배경석;손연아;오준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29
    • /
    • 2023
  • 본 연구는 대칭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의 과학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고대 그리스 학자들을 통해 일반적인 서양 과학의 사유방식을 살펴보았다. 둘째, 대칭성에 대한 인식을 고대와 근현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이에 대한 과학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서양 과학의 사유방식은 파르메니데스에서 시작되어 플라톤이 정립한 '추상화'이다. 둘째, 고대의 대칭성 인식은 추상화를 기반으로 한 아름다운 비율과 조화로서의 대칭성, 근현대의 대칭성 인식은 변화에서 불변을 찾고자 했던 추상화를 기반으로 한 불변의 관점으로서의 대칭성이다. 그리고 고대의 대칭성의 예시로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 둘레 측정 실험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근현대의 대칭성의 예시로서 갈릴레이 상대성 및 변환을 고찰하였다. 셋째, 이에 따른 과학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대칭성에 대한 인식은 고대부터 근현대 과학을 관통하는 핵심주제라는 관점에서 과학의 본성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에라토스테네스 지구 둘레 측정 실험과 갈릴레이 상대성 및 변환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과학과 핵심역량 및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칭성을 중심으로한 통합적 접근으로의 과학교육은 과학적 태도와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비축대칭 소재에서 내부가 원형인 튜브의후방압출 해석

  • 양동열;배원병;김동권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4-78
    • /
    • 1992
  • 외부가 비축대칭인 튜브의 수방압출은 자동차와 항공기등의 복잡한 부품을 만드는데 많이 사용된다. 이런 후방압출 제품의 변형 상태는 저자들의 논문에서 이미 밝힌 바와 같이 복잡하다. 그래서, 외부가 비출대칭인 튜브형상의 후방압출은 근래에 와서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저자들의 논문 에서 제시된 동적가용속도장을 수정하여 비축대칭인 소재에서 내부가 원형인 튜브의 후방압출의 최종 단계를 해석하 고자 한다. 해석의 적용예로서는 정다각형 소재와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rounded rectangle)소재를 택하였다 제시된 속도장으로부터 단면 감소율과 형상비(aspect ratio)에 대하여 압출 하중과 압출된 소재의 평균 높이가 결정된다. 이론적인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퓰림처리된 AIST-2024 알루미늄 소재로 실험하였다.

경량 사물인터넷 플랫폼 상에서의 대칭키 암호 구현 기술

  • 서화정;박태환;이가람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5-20
    • /
    • 2017
  • 경량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제한적인 연산 성능과 저장 공간을 가진다. 따라서 해당 플랫폼 상에서의 모든 연산들은 효율적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경량화된 형태의 대칭키 암호화가 많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량 사물인터넷 플랫폼 상에서의 효율적인 경량 대칭키 암호화 구현 방안에 대해 확인해 보도록 한다. 먼저 경량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특성을 확인해 보며 해당 경량 플랫폼의 특성을 활용하여 경량 대칭키 암호화 연산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방안에 대해 확인해 보도록 한다.

대칭구조 SHACAL-1 블록 암호 알고리즘 (Symmetric structured SHACAL-1 block cipher algorithm)

  • 김길호;박창수;김종남;조경연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67-17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대칭단을 사용하여 암호와 복호를 동일하게 개선한 SHACAL-1을 제안한다. SHACAL-1의 한 라운드는 20스텝으로 되어 있고 모두 4라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호는 암호의 역함수로 되어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대칭구조 SHACAL-1은 전반부, 대칭단 그리고 후반부의 3개 부분으로 구성한다. 전반부는 SHACAL-1의 암호 알고리즘으로 한 라운드는 10스텝으로 하여 4라운드로 구성한다. 후반부는 SHACAL-1의 복호 알고리즘으로 동일하게 구조를 가진다. 그 중간에 대칭단을 삽입하여 암호와 복호 알고리즘을 동일하게 구성한다. 제안한 대칭구조 SHACAL-1은 SHACAL-1과 수행시간 테스트 결과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결과를 보였고, 안전성 또한 대칭단의 적응으로 선형, 차분분석과 같은 높은 확률 패스를 이용한 공격에도 분석을 어렵게 하고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암호와 복호가 다른 블록 암호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며, 다른 블록 암호 설계에도 유용하다.

  • PDF

연관성 규칙의 탐색을 위한 순수 대칭적 J 측도의 활용 (Utilizing Purely Symmetric J Measure for Association Rules)

  • 박희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2865-2872
    • /
    • 2018
  • 데이터 마이닝 분야에서 개발된 기법에는 연관성 규칙, 군집분석, 의사결정나무, 신경망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들 중에서 연관성 규칙은 지지도, 신뢰도, 그리고 향상도 등 여러 가지 연관성 평가 기준을 이용하여 항목들 간에 특정한 연관성을 탐색하는 기법이다(Park, 2014). 이러한 연관성 규칙은 Agrawal et al.(1993)이 처음 제안하였으며, 그 이후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차 엔트로피와 관련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Park, 2016b).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발표된 J 측도에 방향성과 순수성을 고려한 순수 대칭적 J 측도를 제안하고 예제를 활용하여 그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동시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순수 대칭적 J 측도가 기존의 J 측도와 대칭적 J 측도, 순수 교차 엔트로피 측도보다 훨씬 분명하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불일치빈도의 크기에 따라서도 순수 대칭적 J 측도가 변화하는 폭이 더 커짐에 따라 연관성 유무를 더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순수 대칭적 J 측도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어느 분야에서든지 연관성 규칙의 평가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