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축척지도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CASE Tool for Building Multi-Scale Databases (다중축척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CASE 도구)

  • 이성희;강혜경;이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98-200
    • /
    • 1999
  •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중의 하나는 대축척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다중축척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다중축척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는 많은 작업들이 포함된다. 기하학적 변형이나 불필요한 객체의 단순화, 삭제 등의 일반화와 데이터 모델의 변형,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전환 과정에 포함된다. 이 작업은 매우 다양한 처리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자동화된 도구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축척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이용되는 작업을 지원하는 CASE 도구를 소개한다. 이 도구는 지도 일반화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 모델의 변화에 대한 규칙에 따라 새로운 소축척의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는 작업을 지원하며, 이 데이터 모델에 따라 대축척의 데이터베이스를 소축척의 데이터베이스로 전환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 PDF

A Study on the Unification Scheme of Surveying Policy and Geographic Inform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남북한 측량제도 및 지리정보 통합방안 연구)

  • Choi Yun-Soo;Park Hong-Gi;Lee Ho-N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2
    • /
    • pp.193-200
    • /
    • 2006
  • Geographic information and surveying products are a momentous national infrastructure since it is an essential basis for land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Hence,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ystematic plan and countermeasure for the upcoming unification of Korea. Otherwise there would be tremendous confusion and it will cause enormous expenses to establish the national surveying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tandard. In order to show the vision of policies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we analyzed the case of Germany and the current status of surveying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by taking the internet investigation, having a seminar, interviewing experts, and visiting related organizations. First of all, we should predict the change of surveying circumstances after the reunification and establish a plan that unifies laws, systems, and surveying standards of North and South Korea. We need to modify the datum point and unify the surveying product of South and North Korea in World Geodetic System. To accomplish these goals, we must make the map of Korean peninsula and neighboring nations, especially urban area of North Korea. It is considered tha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hould take a major role in the unification of Korea. With these active preparations and plans, we will achieve the goals of establishing the reinforced surveying policy and minimizing the reunification expenses.

The Positional Accuracy Quality Assessment of Digital Map Generalization (수치지도 일반화 위치정확도 품질평가)

  • 박경식;임인섭;최석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9 no.2
    • /
    • pp.173-181
    • /
    • 2001
  • It is very important to assess spatial data quality of a digital map produced through digital map generalization. In this study, as a aspect of spatial data quality maintenance, we examined the tolerate range of theoretical expectation accuracy and established the quality assessment standard in spatial data for the transformed digital map data do not act contrary to the digital map specifications and the digital map accuracy of the relational scale. And, transforming large scale digital map to small scale, if we reduce complexity through processes as simplification, smoothing, refinement and so on., the spatial position change may be always happened. thu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analyse the spatial accuracy of the transformed position, we used the buffering as assessment method of spatial accuracy in digital map generalization procedure. Although the tolerated range of generic positioning error for l/l, 000 and l/5, 000 scale is determined based on related law, because the algorithms adapted to each processing elements have different property each other, if we don't determine the suitable parameter and tolerance, we will not satisfy the result after generalization procedure with tolerated range of positioning error. The results of this study test which is about the parameters of each algorithm based on tolerated range showed that the parameter of the simplification algorithm and the positional accuracy are 0.2617 m, 0.4617 m respectively.

  • PDF

A Study on the Types and Management of Old Maps Collected by Library and Museum in Korea (우리나라 도서관.박물관 소장 고지도의 유형 및 관리 실태 연구)

  • Kim, Ki-Hyu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6 s.117
    • /
    • pp.714-739
    • /
    • 2006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and management of old maps collected by library and museum in Korea. About 1,200 items of old maps are collected in 39 institutes. This distribution is due to the scatter during late Joseon period through Japanese imperialism period. Half and half of old maps are reserved in museum and library. Atlas of county maps are reserved mainly in Gyujanggak,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Library of Korea University There are 10 copies of $\lceil$cheonggu-do(靑邱圖)$\rfloor$ and 25 copies of $\lceil$Daedongyeo-jido(大東輿地圖)$\rfloor$ put in together in all instutes. Forms of those maps in terms of size, picture and place names recorded are different between each other. Methods of management of those maps are different between library and museum. Old maps are treated as rare old books in library, but as traditional old picture in museum. Methods and levels of opening to public of maps are also different in each institute. More serious thing is that there is no specialist in old maps in most institutes.

The Acquisi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by Using Aerial Photo Images in Urban Area (항공사진 영상을 이용한 도심지역의 지형공간정보 취득)

  • 이현직;김정일;황창섭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1
    • /
    • pp.27-36
    • /
    • 2003
  • Generally, the latest acquisition method of geo-spatial informations in urban area is executed by gener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nd digital ortho image by digital photogrammetry method which is used large scale photo image. However, the biggest problem of this method is coarse accuracy of DEM which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digital photogrammetry workstation system. The coarse accuracy of DEM caused geo-spatial information in urban area to reduce of accuracy. Therefore, this study is purposed to increase of DEM accuracy which is applied to method terrain classification in urban area.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posed method of this study which is increased to accuracy of DEM by classification of terrain is better than accuracy of DEM which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digital photogrammetry workstaion system. And, the edge detection method which is proposed by this study is established to capability of 3D digital mapping in urban are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Nuclear Disaster Prevention (원자력방재를 위한 지리정보시스템)

  • Lee, Gwang-Pyo;Lee, Yun;Kim, In-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69-175
    • /
    • 2007
  • 고리, 월성, 울진, 영광 등4개 원전부지와 하나로 연구용 원자로 부지에 대해 방사성물질의 대기 중 누출사고 발생 시 대축척 전자지도와 연계한 사고정보 파악, 예상피해분석, 방재시설 및 소개정보 활용 등을 통해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방사능 물질 피해지역관리 및 신속하고 효율적인 주민대응조치 수립을 위한 의사 결정 지원할 수 있는 방사능방재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리, 월성, 울진, 영광, 대전지역의 원자력 발전소 및 연구용 원자로 반경 40km이내 지역의 행정경계, 도로, 등고, 수계, 건물 등의 일반지형지물정보와, 비상계획구역 내 마을의 상세정보, 집결지, 대피소, 교통통제소, 환경방사능감시기, TLD등의 방재시설물 위치 및 관련 상세정보, 관공서, 경찰서, 소방서, 보건소, 학교, 병원 등의 방재관련 지형지물 위치 및 관련 상세정보, 원전부지 내 인구분포, 보유 차량 분포, 농작물 재배 현황, 축산물 재배현황 등의 방재관련 사회통계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는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영향 평가시스템(FADAS)의 예상평가결과를 전자지도 상에 표출하고, 이에 근거한 예상피해를 분석하며, 소개단계 대상 마을 검색 및 바람장 분석을 활용한 소개경로 제시 등을 통해 주민보호조치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사고대응 및 소개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웹 기반의 원자력방재 지리정보시스템을 확대 개발하였다. 방재시설물 및 방재관련 지형지물, 방재관련 사회통계자료의 검색기능 및 실시간 원전 바람장 정보조회, 실시간 ERMS 수집정보 조회, 수치예보 정보 조회, 온라인DB관리 등의 확대 구현을 통해 사고대응조치 및 피해분석업무를 지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원자력방재 지리정보시스템 완성을 통해 방사능 비상시 중앙본부와 지역본부 및 유관기관 간에 지리정보와 연계한 정확한 사고정보 및 방재정보의 신속한 공유를 제공하고, 적절한 비상대응조치 의사결정 및 주민보조조치 수행을 지원하여 효율적인 사고지역 관리 및 인적 물적 자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Improvement Plan of Parcel Coordinate Decide by Scale Change Suveying (축척변경측량에 의한 일필지 좌표결정의 개선방안)

  • 김감래;라용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7-44
    • /
    • 2001
  • 지적도는 모든 지도중 가장 큰 대축척 지도이며 토지에 대하여 필지별로 지번, 위치 및 경계 등 소유권의 범위를 등록하는 것으로서 국민의 기본권리인 토지에 대한 소유권과 그 이용을 보장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형자료인 현재의 지적도는 1910년 토지조사사업에 의하여 실제 토지필지를 1/1,200로 축소하여 도면에 등록한 도해지적으로 제도오차, 축척오차, 신축오차, 도곽접합 등의 기술적인 오차와 측량을 할 때마다 각기 측량사에 따라 개인오차의 누적으로 성과결정에 있어서 차질을 가져다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지적재조사사업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함으로 그 이전에라도 축척변경사업을 통하여 새로운 지적체계로서 토지이용상태에 따라 토지의 경계를 수치좌표로 등록하는 수치지적체계로 전환하여 지적측량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높여 지적불부합지에 대한 민원을 해소함으로써 재산적 가치를 증대할 뿐만 아니라 국민의 소유권 보호 및 양질의 서비스 개선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지역의 지적도를 독취, 정도곽으로 보정하여 일필지를 공부상면적의 공차범위 이내로 조정한 후 현형도와 지적도를 조정(Orientation)하여 좌표를 저장하였다. 일필지 좌표결정 방법에는 CAD기능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모니터에서 지적도를 이동 및 회전함으로써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 모니터상에서 국부적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 및 디지타이져상에서 결정하여 모니터상에서 조정하는 방식있다. 현실적으로 국부적인 방법이 합리적이라고 생각되어 모니터상에서 조정(Orientation)하여 국부적으로 좌표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연구하고 성과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적도면은 토지조사사업 한지를 배접한 켄트지를 사용함으로써 종이의 신축으로 인하여 정도곽으로 보정을 하면 독취면적은 대부분 공부상면적보다 늘어났다. 2. 좌표의 이동량이 일률적이지 못하므로 기초점에 대한 문제라고 생각되며, 따라서 도해지적을 수치지적으로 전환함에 있어서 가장 우선되어야 할 사항이 기초점 정비라 하겠다.

  • PDF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Impervious Ratio in Land-use Zone Using Pervious/Impervious Map based on GIS - Focused on Bupyeong-gu Incheon - (GIS기반의 투수/불투수도를 이용한 용도지역별 불투수율 현황분석 -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

  • Oh, Seong Kwang;Kim, Kye Hyun;Lee, Chol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91-191
    • /
    • 2015
  • 무분별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증가하고 있다. 불투수면은 빗물이 투과하지 못하는 지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투수면은 강우 시 지면에 있는 유해물질이 그대로 인근 수계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심각한 수질 오염을 야기한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부에서는 불투수율 관리를 위하여 2013년에 전국토를 대상으로 불투수율을 산정한바 있으나, 소축척 수준의 시 또는 유역 단위 통계만을 산출하였고 대축척 수준의 소규모 개인 필지 내 조경지역 등을 반영한 불투수율 통계는 현재까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소규모 필지까지 적용 가능한 고해상도 투수/불투수도를 제작 및 활용하여 용도지역별 불투수율 현황을 분석하였다. 불투수면의 공간적 분포 확인을 위해 토지피복지도, 수치지형도, 항공사진(25cm급) 등을 활용하여 고해상도 투수/불투수도를 제작하였다. 투수/불투수도는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제작 지침인 선형 요소의 경우 폭 3m, 면형 요소의 경우 면적 $10m{\times}10m(100m^2)$를 참조하여 제작되어 개별 필지단위의 불투수면까지 확인 가능하다. 이후 용도지역도를 수집하여 GIS 환경에서 투수/불투수도와 중첩하여 용도지역별 불투수율을 산출하였다. 불투수율을 산정한 결과 부평구 전체 불투수율은 64%로 확인되었다. 또한 용도지역도 중분류상 주거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82.1%, 상업지역의 경우 91.7%, 공업지역의 경우 94.1%, 녹지지역의 경우 30%로 확인되었다.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90%이상으로 불투수면 관리가 시급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환경부에서 제작한 투수/불투수도 보다 정확한 불투수면의 공간적 분포 확인 및 불투수 면적 산출이 가능하여 불투수면 우선관리지역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불투수율이 높은 지역을 우선 선별하여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및 그린빗물인프라(GSI,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특히, 불투수율이 높은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개선이 요구된다.

  • PDF

The Selection Methodology of Road Network Data for Generalization of Digital Topographic Map (수치지형도 일반화를 위한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의 선택 기법 연구)

  • Park, Woo Jin;Lee, Young Min;Yu, Ki 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1 no.3
    • /
    • pp.229-238
    • /
    • 2013
  • Development of methodologies to generate the small scale map from the large scale map using map generalization has huge importance in management of the digital topographic map, such as producing and updating maps. In this study, the selection methodology of map generalization for the road network data in digital topographic map is investigated and evaluated. The existing maps with 1:5,000 and 1:25,000 scales are compared and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the road network data, which are the number of object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road network, are analyzed by using the T$\ddot{o}$pfer's radical law and Logit model. The selection model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 is applied to the test data, and the road network data of 1:18,000 and 1:72,000 scales from the digital topographic map of 1:5,000 scale are generated. The generalized results showed that the road objects with relatively high importance are selec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target scale levels afte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In-situ Self-calibration of Non-metric Camera and Digital Stereo Plotting for Public Survey (공공측량 적용을 위한 비측정용 카메라의 현장자체검정 및 수치 입체 도화)

  • Seo, Sang-Il;Lee, Byoungk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5 no.3
    • /
    • pp.145-154
    • /
    • 2017
  • In recent years, demand for 1 / 1,000 digital map production has increa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onstruction and urban planning. As a result, the use of low-cost non-metric cameras that replace expensive aerial photogrammetry equipment is required. In Korea, researches are being continuously carried out to produce a large scale digital map by photographing a small target area with a non-metric camera.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accuracy of the non-metric camera, it is difficult to do digital mapping with stereoscopic photographs. In this study, we trie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large-scale digital mapping to utilize non-metric camera for public survey. For this purpose, the accuracy of the digital mapping results of the non-metric camera and the results of the DMC camera were compared and analyzed. After performing in-situ self-calibration including 8 standard additional parameters, we plotted to a scale of 1/1,000 and confirmed that the RMSE is suitable for public survey accuracy of ${\pm}0.145m$ in horizontal and ${\pm}0.153$ m in vert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