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체연료

검색결과 851건 처리시간 0.024초

디젤기관용 대체연료로서의 어유 이용 (Utilization of fish oil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esel engine)

  • 서정주;왕우경;안수길
    • 오토저널
    • /
    • 제18권2호
    • /
    • pp.64-71
    • /
    • 1996
  • 내연기관은 19세기에 발명되어 20세기에 이르는 약 100여년에 걸쳐 계속 발달하여, 오늘날은 육.해.공의 각종 원동기로 사용되어 인간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사용연료는 거의가 액체연료인 석유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의 수요가 날로 증가됨으로써 석유자원의 고갈 위기와 함께 유해성 배출가스의 방출에 기인되는 환경오염의 측면에서도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석유계 연료로부터 탈피하여 값싸고 장기적으로 안정하게 고급될 수 있는 대체연료 개발과 에너지 절약기술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대체연료는 단순히 가격면에서 뿐만 아니라 장기적 공급이 가능해야 하고 또한 석유자원의 고갈과 비상시의 대비를 위한 관점에서도 취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어유는 어류의 자원이 고갈되지 않는 한 생산이 계속 가능하므로 대체연료로서의 이용가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해설에서는 디젤기관용 대체연료로서 가격이 싸고 공급이 비교적 용이한 정어리유(sardine oil)를 경유와 여러비율로 혼합한 경유-어유 혼합유를 정용연소기와 선박용 디젤기관에 사용하여 그 연소특성을 기존의 경유 사용시와 비교 설명하고자 한다.

  • PDF

저공해 승용차 대체연료의 특성 및 연구현황 (Characteristic and research status of low-polution motors alternative fuel)

  • 김문헌;홍종준;이영우
    • 오토저널
    • /
    • 제14권3호
    • /
    • pp.32-42
    • /
    • 1992
  • 본 연구는 1차년도 사업으로 저공해 연료 및 저공해 자동차의 특성을 조사하고 국내외 저공해 연료 및 저공해 자동차의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분석 정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대체연료 자동차의 실용화에 따른 자동차 연료의 다원화 및 탈석유화 실현에 공헌하고자 한다.

  • PDF

연소기관연료의 동향 (Trend of Fuel for Combustion Engine)

  • 이창식
    • 오토저널
    • /
    • 제9권4호
    • /
    • pp.23-34
    • /
    • 1987
  • 연소 기관용 연료의 효율적 이용과 연소 효율 향상을 위한 연소 기술의 개발에 더욱 노력을 경주 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소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새로운 대체연료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대체 연료로 기대되는 석탄액화유, 알코올연료, 태양에너지 중에서 연소 기관용 연료로 주목되고 있는 알코올연료의 특성과 연소 기관의 적용성과 그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 PDF

읽을거리 - 미래를 주도하는 첨단 항공우주기술(18) - 바이오 연료(Biofuel)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항공우주
    • /
    • 통권108호
    • /
    • pp.68-69
    • /
    • 2010
  • 친환경과 대체에너지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첨단 항공우주기술이 있다. 바로 미래 대체연료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 연료(Biofuel) 개발 기술이다. 신재생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 연료에 대해 알아본다.

  • PDF

자동차용 대체연료

  • 한국온돌난방시공협회
    • 보일러설비
    • /
    • 통권71호
    • /
    • pp.102-107
    • /
    • 1999
  • 최근 선진 각국은 수송기의 연료로 대체에너지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월드컵이 열리는 2002년까지 천연가스(CNG)버스 5,000대를 도입, 서울등 6개 광역시에서 운행키로 했다. 오는 2000년에 발효되는 국제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를 앞두고 자동차용 청정 대체연료의 이용 가능성과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수요의 지역차를 고려한 대체연료 충전소 최적입지선정 : 플로리다 올랜도를 사례로 (Location of Refueling Stations for Geographically Based Alternative-Fuel Vehicle Demand)

  • 김종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5-115
    • /
    • 2012
  • 초기 대체연료차 시장은 고비용으로 인해 수요 잠재력의 지역차가 존재할 것이며 효율적 입지모델은 이러한 지역차를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은 지역차를 고려한 대체연료차 수요 모델을 기종점 통행량에 통합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대체연료차 통행량을 추정한다. 추정된 통행량은 주어진 수의 시설물이 기종점 통행량을 최대로 포괄할 수 있도록 하는 입지모델 (Flow Refueling Location Model)에 입력되어 대체연료 충전소 최적 입지 대안을 제시한다. 사례지역은 플로리다 올랜도 대도시권이며, 수요 추정 및 통행량 통합 시나리오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 PDF

수송부문의 연료 간 대체와 이산화탄소 배출: 바이오디젤 혼소 효과를 중심으로 (Interfuel Substitu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Roles of Biodiesel Blended Fuels)

  • 강효녕;서동희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2권1호
    • /
    • pp.27-46
    • /
    • 2023
  • 본 연구는 차분연료배분모형을 이용하여 수송부문에서의 연료 간 대체성을 추정하고, 연료 간 대체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효과를 살펴본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수송부문은 경유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아 디비지아 탄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료별 자기가격탄력성은 모두 음(-)의 값을 보였으며, 경유의 자체가격탄력성이 휘발유와 LPG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휘발유와 경유, 휘발유와 전기, 경유와 LPG는 대체관계를 보였으며, 경유와 전기는 보완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료별 대체성과 배출계수를 이용한 결과, 바이오디젤을 경유에 혼합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가 있으나, 주로 연료별 가격 변화에 따른 연료 간 대체가 이산화탄소 배출을 결정짓는 것으로 나타났다.

GTL(Gas to Liquid) 초청정 디젤 대체연료의 등장 (Introduction of GTL(Gas to Liquid)-Super Clean Diesel Alternative Fuel)

  • 정동수
    • 오토저널
    • /
    • 제26권3호
    • /
    • pp.31-34
    • /
    • 2004
  • 국내 소비 에너지의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는 실정에서 2004년 현재 배럴당 $35를 넘는 고유가로 인해 원유수입액이 국가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송용 연료 사용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특히, 인구가 밀집한 도심지의 대기오염도는 우려할만한 상황에 이르렀다. 국내 운행 자동차에 의한 석유 소비량은 전체 석유 소비량 중 30% 정도가 수송연료로 쓰이고 있고, 운행차량 중 약30%가 매연, 아황산가스 배출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디젤차량 이어서, 효율면에서 유리한 디젤엔진의 디젤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초 청정연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PDF

대체에너지 기술인 풍력발전의 환경ㆍ경제적 평가에 관한 연구 (Environmental and economic evaluation of wind power plant as the alternative technologies)

  • 채윤근;신호철;안재근;박진원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07-611
    • /
    • 2003
  • 1970 - 1980년대에 OPEC의 담합에 의한 오일쇼크로 초유의 어려움을 겪으며 자원수입국들은 화석 연료를 대신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 결과 지역 및 나라별로 특성 있는 대체에너지개발이 상당한 발전을 거듭하여 전체에너지 사용량의 10% 이상을 대체에너지로서 충당하고 있는 나라도 있다. 게다가 1990년대에 와서는 화석연료사용으로 인한 전 세계적 환경파괴문제가 대두되면서 단순한 화석연료의 대체가 아닌 환경친화적인 에너지의 개발 및 사용이 필요하게 되었다.(중략)

  • PDF

[HISTORY] 우리나라 석유관련 법령 변천사-6

  • 여영섭
    • 석유와에너지
    • /
    • 통권293호
    • /
    • pp.48-53
    • /
    • 2014
  • 2004.10.22.개정되어 2005.4.23. 시행된 세 번째의 석유사업법 전부개정 법률이 오늘날까지 운영되고 있다. 이 개정법률은 석유대체연료 관련 사항을 반영하고 법명도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으로 변경하였는데, 고유가로 인해 석유대체연료의 개발과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반영하고 있다. 이 시기는 석유가격의 급등으로 인해 석유제품 가격을 인하하고자 하는 노력이 어느 때보다 강했고 이에 따른 제도의 변화시도가 활발히 전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