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체연료

Search Result 85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Utilization of fish oil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esel engine (디젤기관용 대체연료로서의 어유 이용)

  • 서정주;왕우경;안수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2
    • /
    • pp.64-71
    • /
    • 1996
  • 내연기관은 19세기에 발명되어 20세기에 이르는 약 100여년에 걸쳐 계속 발달하여, 오늘날은 육.해.공의 각종 원동기로 사용되어 인간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사용연료는 거의가 액체연료인 석유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의 수요가 날로 증가됨으로써 석유자원의 고갈 위기와 함께 유해성 배출가스의 방출에 기인되는 환경오염의 측면에서도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석유계 연료로부터 탈피하여 값싸고 장기적으로 안정하게 고급될 수 있는 대체연료 개발과 에너지 절약기술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대체연료는 단순히 가격면에서 뿐만 아니라 장기적 공급이 가능해야 하고 또한 석유자원의 고갈과 비상시의 대비를 위한 관점에서도 취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어유는 어류의 자원이 고갈되지 않는 한 생산이 계속 가능하므로 대체연료로서의 이용가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해설에서는 디젤기관용 대체연료로서 가격이 싸고 공급이 비교적 용이한 정어리유(sardine oil)를 경유와 여러비율로 혼합한 경유-어유 혼합유를 정용연소기와 선박용 디젤기관에 사용하여 그 연소특성을 기존의 경유 사용시와 비교 설명하고자 한다.

  • PDF

Characteristic and research status of low-polution motors alternative fuel (저공해 승용차 대체연료의 특성 및 연구현황)

  • 김문헌;홍종준;이영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4 no.3
    • /
    • pp.32-42
    • /
    • 1992
  • 본 연구는 1차년도 사업으로 저공해 연료 및 저공해 자동차의 특성을 조사하고 국내외 저공해 연료 및 저공해 자동차의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분석 정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대체연료 자동차의 실용화에 따른 자동차 연료의 다원화 및 탈석유화 실현에 공헌하고자 한다.

  • PDF

Trend of Fuel for Combustion Engine (연소기관연료의 동향)

  • 이창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9 no.4
    • /
    • pp.23-34
    • /
    • 1987
  • 연소 기관용 연료의 효율적 이용과 연소 효율 향상을 위한 연소 기술의 개발에 더욱 노력을 경주 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소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새로운 대체연료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대체 연료로 기대되는 석탄액화유, 알코올연료, 태양에너지 중에서 연소 기관용 연료로 주목되고 있는 알코올연료의 특성과 연소 기관의 적용성과 그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 PDF

읽을거리 - 미래를 주도하는 첨단 항공우주기술(18) - 바이오 연료(Biofuel)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Aerospace Industry
    • /
    • s.108
    • /
    • pp.68-69
    • /
    • 2010
  • 친환경과 대체에너지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첨단 항공우주기술이 있다. 바로 미래 대체연료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 연료(Biofuel) 개발 기술이다. 신재생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 연료에 대해 알아본다.

  • PDF

자동차용 대체연료

  • 한국온돌난방시공협회
    • 보일러설비
    • /
    • s.71
    • /
    • pp.102-107
    • /
    • 1999
  • 최근 선진 각국은 수송기의 연료로 대체에너지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월드컵이 열리는 2002년까지 천연가스(CNG)버스 5,000대를 도입, 서울등 6개 광역시에서 운행키로 했다. 오는 2000년에 발효되는 국제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를 앞두고 자동차용 청정 대체연료의 이용 가능성과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Location of Refueling Stations for Geographically Based Alternative-Fuel Vehicle Demand (수요의 지역차를 고려한 대체연료 충전소 최적입지선정 : 플로리다 올랜도를 사례로)

  • Kim, Jong-Geu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1
    • /
    • pp.95-115
    • /
    • 2012
  • The initial market of alternative-fuel vehicle (AFV) will show geographically uneven distribution due to AFV's high price, and thus efficient location model should consider spatial variation of demand. This paper estimates AFV trips by incorporating an AFV demand estimation model with origin-destination (OD) trips. The estimates are the input for the flow-refueling location model that maximizes the OD flows that can be refueled by the given number of stations considering AFV's limited range per refueling. A scenario analysis is conducted by varying assumptions in estimating demands and AFV acceptance rate. Optimal location alternatives for Orland metropolitan area are provided and results are compared.

  • PDF

Interfuel Substitu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Roles of Biodiesel Blended Fuels (수송부문의 연료 간 대체와 이산화탄소 배출: 바이오디젤 혼소 효과를 중심으로)

  • Hyonyong Kang;Dong Hee Suh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2 no.1
    • /
    • pp.27-46
    • /
    • 2023
  • This paper investigates how interfuel substitution affects carbon dioxide (CO2) emissions with a focus on the use of biodiesel blended fuels. The results show that the Divisia elasticity of diesel demand is the greatest because the transportation sector relies heavily on diesel. Also, while the own-price elasticity of each fuel demand is negative, the results reveal that diesel demand is more inelastic than the demand for gasoline and LPG. Moreover, gasoline is a substitute for diesel and electricity, and diesel is a substitute for LPG and a complement for electricity. Regarding the effects on carbon dioxide emissions, this paper computes the potential CO2 emissions associated with interfuel substitution using the coefficients of CO2 emissions. The results show that using biodiesel blended fuels contributes to reducing CO2 emissions, but it appears that the price-induced interfuel substitution is a main factor affecting CO2 emissions.

Introduction of GTL(Gas to Liquid)-Super Clean Diesel Alternative Fuel (GTL(Gas to Liquid) 초청정 디젤 대체연료의 등장)

  • 정동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26 no.3
    • /
    • pp.31-34
    • /
    • 2004
  • 국내 소비 에너지의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는 실정에서 2004년 현재 배럴당 $35를 넘는 고유가로 인해 원유수입액이 국가 경제에 큰 부담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송용 연료 사용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특히, 인구가 밀집한 도심지의 대기오염도는 우려할만한 상황에 이르렀다. 국내 운행 자동차에 의한 석유 소비량은 전체 석유 소비량 중 30% 정도가 수송연료로 쓰이고 있고, 운행차량 중 약30%가 매연, 아황산가스 배출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디젤차량 이어서, 효율면에서 유리한 디젤엔진의 디젤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초 청정연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PDF

Environmental and economic evaluation of wind power plant as the alternative technologies (대체에너지 기술인 풍력발전의 환경ㆍ경제적 평가에 관한 연구)

  • 채윤근;신호철;안재근;박진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607-611
    • /
    • 2003
  • 1970 - 1980년대에 OPEC의 담합에 의한 오일쇼크로 초유의 어려움을 겪으며 자원수입국들은 화석 연료를 대신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 결과 지역 및 나라별로 특성 있는 대체에너지개발이 상당한 발전을 거듭하여 전체에너지 사용량의 10% 이상을 대체에너지로서 충당하고 있는 나라도 있다. 게다가 1990년대에 와서는 화석연료사용으로 인한 전 세계적 환경파괴문제가 대두되면서 단순한 화석연료의 대체가 아닌 환경친화적인 에너지의 개발 및 사용이 필요하게 되었다.(중략)

  • PDF

[HISTORY] 우리나라 석유관련 법령 변천사-6

  • Yeo, Yeong-Seop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s.293
    • /
    • pp.48-53
    • /
    • 2014
  • 2004.10.22.개정되어 2005.4.23. 시행된 세 번째의 석유사업법 전부개정 법률이 오늘날까지 운영되고 있다. 이 개정법률은 석유대체연료 관련 사항을 반영하고 법명도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으로 변경하였는데, 고유가로 인해 석유대체연료의 개발과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반영하고 있다. 이 시기는 석유가격의 급등으로 인해 석유제품 가격을 인하하고자 하는 노력이 어느 때보다 강했고 이에 따른 제도의 변화시도가 활발히 전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