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청다목적댐

Search Result 4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for Storage Reallocation of Multipurpose Reservoir(I) - Flood Control Storage Analysis (다목적댐 용량 재할당에 대한 연구(I)- 치수용량 분석)

  • Yi, Jae-Eung;Kwon, Yong-Ik;Yoon, Young-Nam;Ahn, Tae-J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4
    • /
    • pp.273-281
    • /
    • 2004
  • Generally, reservoir storage is allocated according to planned purposes established before construction and operating policies are established through release control. The established reservoir allocation is hardly changed unless the special cases such as raising dam or changed purposes occur It Is, however, likely that public needs and objectives can be changed as time go on, the study for multipurpose reservoir storage reallocation is performed as an alternative to reflect these. In this study, flood control analysis is performed for several alternatives of reallocation for the Daechung multi-purpose reservoir in Geum river.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flood control capability is not decreased compared to single operation of Daechung reservoir for the same flood condition even if conservation level of Daechung multi-purpose reservoir is increased.

A Study of Optimal Operation Policy using Risk Evaluation Criteria(I) (for the Daechung Multi-purpose Reservoir) (위험도 평가기준을 적용한 저수지 최적운영방안 연구(I) (대청댐을 중심으로))

  • Park, Myeong-Gi;Kim, Jae-Han;Jeong, Gwan-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1
    • /
    • pp.37-49
    • /
    • 2002
  •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al method for optimizing firm water supply an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has some limitation during abnormal or extreme drought periods. Hashimoto et al. (1982) suggested there risk evaluation criteria such as reliabilit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These three criteria have been incorporated into a mixed-integer programming model for evaluating the possible performance of water- supply reservoir (Moy et al., 1986; Srinivasan et al., 1999). However, till now, these kind of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ly for water-supply reservoir. Therefore there have been no other study for multi-purpose dam including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This study presents an improved formulation of the previous model for evaluating a multi-purpose reservoir system operation considering water supply an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The modified model was applied to the Daechung multi-purpose reservoir system in the Keum river basin to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the improved formulation.

A Study for Storage Reallocation of Multipurpose Reservoir(II) - Conservation Storage Analysis (다목적댐 용량 재할당에 대한 연구(II)- 이수용량 분석)

  • Yi, Jae-Eung;Kwon, Yong-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4
    • /
    • pp.283-292
    • /
    • 2004
  • In the past, it was unnecessary to consider the reallocation of reservoir storage because new reservoir construction was relatively not difficult. However, it became necessary since it is so difficult to construct new reservoirs in these days. In this study, the change of the water supply capability is evaluated through conservation storage drawdown frequency analysis, hydropower analysis,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analyses for Geum River basin.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water supply capability of Daechung reservoir can be increased by reallocating flood control storage to conservation storage.

Prediction of River-Bed Change Downstream of Daechung with Multipurpose Dam by Using the HEC-6 Computer Program (HEC-6 모형에 의한 대청 다목적댐 하류의 하상변동 예측)

  • 유권규;우효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2.07a
    • /
    • pp.366-374
    • /
    • 1992
  • 1980년 금강유역에 축조된 대청 다목적댐에 의한 하류의 하상변동을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조사,분석하고 미국 공병단에서 개발된 HEC-6 모형을 이용하여 장래의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모형의 적용구간은 대청조정지댐에서 부여까지 약 78km이며, 적용 기간은 1980~1988이며, 장래의 하상변동 예측결과에 따르면, 조정지댐~마어구 수위표 구간은 하상이 저하될 것이 예상되며, 공주 수위표 하류는 하상이 상승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규암 수위표 상류 3~15km 구간은 하상이 1~2m 이상 상승될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구간은 현재도 하상상승에 따른 취수장 취수구의 매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조사와 분석 및 대책마련을 위한 조치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Storage Reallocation for Daechung Multipurpose Reservoir (대청댐 용량 재할당에 대한 연구)

  • Yi, Jae-Eung;Kwon, D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304-30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의 대청다목적댐을 대상으로 대청댐의 제한수위를 변화시켜 가며 대청댐의 홍수조절과 용수공급능력을 판단하였다. 이를 위하여 홍수기 저수지 모의운영 방법 중 Rigid ROM 기법을 수정$\cdot$보완하여 개발한 모의기법을 이용하여 빈도별 홍수유입량에 대해 홍수기 저수지 운영을 실시하였다. 모의운영에 의해 얻은 방류량을 대청댐으로부터 공주지점까지 홍수추적함으로써 공주지점의 최대홍수량을 산정하였다. 산출된 공주지점 최대홍수량을 토대로 대청댐 제한수위의 변화와 빈도별 유입 홍수량의 함수로써 공주지점의 최대홍수량 관계식을 유도하고, 이 관계식을 이용하여 합리적인 대청댐 재할당 수위 및 대청댐 홍수조절 능력을 산정하였다. 또한 대청댐의 상시만수위를 변화시키면서 신뢰도 $95\%$를 만족시키는 용수공급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홍수조절 측면에서 대청댐의 상시만수위를 78m로 재할당시에 24시간 지속기간을 갖는 300년 빈도 홍수에도 홍수조절이 가능하므로 대청댐의 용량 재할당량은 78m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78m로 재할당 했을 시 이수측면에서 신뢰도 $95\%$를 만족시키는 용수공급량은 기존의 상시만수위 76.5m로 운영했을 시와 비교하여 약 $3\%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Water Balance Models as an Alternative for Monthly Runoff Simulations in Korea (국내 월유출 모의 대안을 위한 물수지모형 연구)

  • Hwang Jun Shik;Jung Dae-Il;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95-99
    • /
    • 2005
  • 중장기 이수계획 수립이나 미래 기후변화에 대한 수자원 영향평가 연구 등에서 월 단위 이상의 유출량을 계산할 수 있는 강우-유출 모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월 유출모의를 위해 개념적 물수지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4개의 물수지모형을 대청댐 상류유역에 대하여 구축하고, 기존에 구축된 일 강우-유출 모형인 SSARR 및 TANK 모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가장 우수한 모의능력을 보여준 abcd 모형을 미계측유역에 적용하기 위해 매개변수를 지역화기법으로 추정하였다. 즉 13개 다목적댐 중 9개 다목적댐에서 구한 매개변수와 유역특성인자를 이용하여 회귀식을 작성한 후 미계측유역으로 가정한 4개 다목적댐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효율성계수가 $90\%$ 이상으로 비교적 간단하면서 모의능력이 우수한 개념적 월 물수지모형은 중장기 유출량모의에 그 활용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vestigating Operation Rule of Daecheong-dam with additional Emergency Spillway (비상여수로 설치에 따른 대청댐의 운영수위 검토)

  • Seo, Hyun-Gyoo;Kim, Dae-Geun;Kim, Chang-Si;Lee,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37-94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비상여수로와 같은 치수능력 증대를 위한 구조물의 이수적 측면의 활용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대청댐 유역을 대상으로 홍수기와 비홍수기로 구분하여 수문분석을 실시하고, 대청댐 하류부 무피해 방류량을 산정하였으며, 저수지 모의운영을 통하여 비홍수기 운영수위인 상시만수위와 홍수기 운영수위인 제한수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 비홍수기 상시만수위와 홍수기 제한수위를 가변적으로 운용하여 다목적댐의 이수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