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중소기업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7초

통신서비스분야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gnition of win-win partnership between large corporations and small businesses for communications service)

  • 유승엽;김만기;권혁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203-212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동산서비스 분야에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에 관한 활성화 전략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신분야 대중소기업 상생협력관계에 있는 대기업 통신3사와 이들 대기업과 협력관계에 있는 중소협력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에 관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가를 확인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기업 종사자보다 중소기업 종사자들이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대기업과 중소기염 종사자들은 모두 기술적 협력 및 경쟁력확보를 가장 중요한 상생협력 필요분야로 인식하였다. 셋째, 대기업은 기술적 협력과 경쟁력 확보를 주요한 분야로 반면 중소기업은 판매 및 마케팅 경쟁력 확보를 주요한 분야로 인식하고 있다. 넷째, 대기업 종사자가 중소기업 종사자보다 모든 상생협력 정책에 대한 만족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에는 국내 통신서비스 분야의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이러한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실현가능성과 효과성을 검증해야만 하는 과제가 남겨져 있다고 하겠다.

자동차업계의 동반성장 방안

  • 이항구
    • 타이어
    • /
    • 통권244호
    • /
    • pp.10-19
    • /
    • 2010
  • 지난 몇 달간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이 또다시 세간의 관심사로 부상했다. 금년 들어서 국내 대기업의 경영성과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부진하기 때문이다 지난 몇 년간 국내 기업간 상생협력이 강조되어 왔으나, 납품단가 인하 문제를 비롯해서 대중소기업간의 고질적인 문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대중소기업간의 문제가 과연 어떠한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는지를 심층 분석하고 시스템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사안에 따라 임기응변식으로 문제해결에 나섰기 때문이다. 또한 산업의 세계화와 기업경영의 복잡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과거의 잣대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관련 정책이 기업의 전략을 뛰어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기업간 상생협력의 문제와 개선 방안을 자동차산업의 동반 성장전략 차원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 PDF

한국 대중소기업 프로젝트 협력 유형과 정책과제 : 기술, 마케팅 협력의 정책적 함의 (Typology for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Large and SMEs and Implication for Government Policy in Korea : Focused on technology and marketing Cooperation)

  • 주시각;전상길;노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25-36
    • /
    • 2012
  • 지난 몇 년 간 정부의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실효성은 미미하였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학계의 현실적 정책대안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소기업의 지속적인 동반성장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가장 협력이 요구되는 기술협력과 마케팅협력을 중심으로 대중소기업간 프로젝트 협력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협력의 유형별 특정을 분석 한 뒤, 한국의 현실과 향후의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위기에 처해있는 중소기업의 생존기반을 확보하고 동시에 대기업의 성장동력을 확보 할 수 있는 동반성장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지능형 자동차를 만드는 스마트 기술

  • 벤처기업협회
    • 벤처다이제스트
    • /
    • 통권117호
    • /
    • pp.16-19
    • /
    • 2008
  • "벤처기업들이 첨단기술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이 기술들이 관련 산업에 미치는 시너지 효과가 막대한 만큼, 벤처기업 육성을 통한 대중소기업 상생, 고용창출, 국가 경제성장에도 크게 기여할 것". 지난 3월 21일, 2009년 하이브리드카 양산을 선언하며 했던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의 말이다. 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 벤처의 미래형 자동차 기술은 이미 성숙의 단계에 도달해있고 그 분야도 다양하다. 이번 호에서는 기계, 전자, 통신, 제어 기술 등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우리나라의 지능형 자동차 분야 기술을 알아본다.

  • PDF

자동차 산업의 대중소 상생 IT 혁신 사례 (A Win-Win IT Innovation Case Study on the SMB and Large Enterprise in Automotive Industry)

  • 김대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4호
    • /
    • pp.95-110
    • /
    • 2011
  • 글로벌 경쟁환경의 심화와 기업 운영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국내의 기업들은 국내외 생산 및 물류를 최적화하고, 기업간 공급망 경쟁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IT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을 추진하여 오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은 '글로벌 생산 판매 체계'와 시장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수요 기반의 생산 대응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함에도, 생산/물류 부문에서는 부품업체의 IT구축 및 활용 수준이 타 부문 보다 높은 수준이나, 전반적으로 타 제조업체에 비해 부품업체의 IT 구축 및 활용이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대상인 A기업(중소기업)은 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 정확성이 낮은 문제를 안고 있어, 수작업과 현장 확인에 따른 업무 효율성의 저하에 직면한 상황이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보시스템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ERP 및 POP 시스템의 기능개선 작업을 실시 중에 있으나, 자체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어서 최신 기술의 도입 및 적용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중소기업 동반성장과 상생을 위한 중소 협력업체의 보안인증 제도 도입 방안 (Introduction of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for Shared Growth and Co-prosperity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 신현구
    • 시큐리티연구
    • /
    • 제61호
    • /
    • pp.203-234
    • /
    • 2019
  • 최근 협력업체의 기술유출로 인하여 고객사인 대기업의 경영에 위험을 초래하고 나아가 이미지와 신뢰도가 추락하는 등 보안사고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 산업구조는 대기업의 독자적인 기업형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협력업체와의 전략적 제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른 정보의 교환이 증가되고 정보시스템의 사무의존도가 극대화됨은 물론 업무프로세스의 복잡화와 보안관련 법률의 강화에 따른 법적 요구와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이 증대되고 있는 산업구조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중소기업의 기술보호 실태를 보면 대기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과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보안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반하여 대기업과 중소 협력 업체간의 산업구조가 IT시스템 공유가 필수 불가결하여 중소협력업체의 보안수준 향상없이는 고객사인 대기업의 보안관리는 불가능한 현실을 감안하여 고객사인 대기업과 중소협력업체 간의 보안체계구축 인증제도를 도입하므로써 대기업에 비하여 열악한 보안수준을 향상하여야 하는 시점이다. 이에 그간의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제도와 여러 기관의 정보보호 역량 평가 모형을 살펴보고, 중소협력업체 인증제도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활성화 요소가 협력 관계의 존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스마트폰 비즈니스에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A Research about effects of intended to maintain for activating element of collaboration between SME and large company - focus on smart phone business)

  • 신유섭;최명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037-1040
    • /
    • 2010
  • 최근 미국의 애플사에서 시작된 스마트폰과 관련된 비즈니스가 국내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에게 신 수종 사업 모델로서 매우 큰 영향력을 주고 있다. 향 후 10년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전략 사업 모델로서 그 중요성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와 사례 분석이 진행 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수십년간 뛰어난 기술력과 품질을 앞세워 세계 시장에서 승승장구하던 일본의 자동차 제조업이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 시장에서 연이은 품질관련 사고로 인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이의 한 원인으로 중소기업과의 불공정 거래에 기인한 품질관리에서의 허점에 대한 지적도 있다. 두 가지의 사례가 시사하는 바는 대기업의 일방적인 주도로 인프라 구축에서부터 서비스 제공 및 최종 완성품의 제조와 소비자 납품으로 이어지던 전통적인 제조업 형태의 한계 상황에 대한 일종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출현을 예고하는 것은 아닐까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협력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 비즈니스가 새롭게 제시 할 수 있는 상생협력 패러다임에 대해 고찰하여보고자 한다.

  • PDF

녹색전문기업의 녹색기술 특허가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een Technology Paten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Specialized Green Enterprises)

  • 박성환;이철규;서철승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724-753
    • /
    • 2013
  • 본 연구는 중소벤처 녹색전문기업의 녹색기술 특허가 재무성과에 반영되는가를 살펴보았다. 중소벤처 녹색전문기업이 녹색기술로 취득한 녹색기술 특허의 특허출원 1년 전과 1년 후 및 2년 후에 대해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매출액영업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을 선정하여 평균차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중소벤처 녹색전문기업의 1,2년 후의 매출액과 1년 후의 영업이익과 매출액순이익률 및 2년 후의 매출액영업이익률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정부는 중소벤처 녹색전문기업을 향후 녹색성장 시대의 국가경제의 핵심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육성하기 위해서 녹색소비 시장의 활성화, 녹색금융정책의 강화, 자금조달 창구 개선 및 마련, 대중소기업 공정거래 및 상생협력 수준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