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조주제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2초

Topic vs. Focus Dichotomy

  • Kim, Yong-Beom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53-16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주제와 초점이 한가지 기준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Rooth의 대안 의미론의 요점인 대안 집합이 어떤 방식으로 결정되고 그 대안 집합의 크기가 얼마가 되느냐에 따라서 여러 가지 주제와 초점이 분류되었다 또한 정보초점에 나타나는 초점의 한정성은 초점자체의 본성이라기보다는 이전 발화의 전제에 의한 상호작용의 결과라는 것을 보였고, 대조 초점과 대조주제의 구분을 위하여 대화함축이 일어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이 두 개념을 구분하려고 하였다.

  • PDF

초점과 주제의 음성학적 관련성 (Focus, Topic and Their Phonetic Relevance.)

  • 김용범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8권1호
    • /
    • pp.27-52
    • /
    • 2004
  •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various notions involving focus and topic found in Korean and also employs phonetic measures to verify the plausibility of those notions that are theoretically argued for. This paper crucially relies on Prince (1981) for the notion of familiarity and its pragmatic significance, and adopts Rooth's (1985) notion of alternative set and utilizes it in the light of pragmatic interpretation. The basic idea of this paper is to decompose the notion alternative set into finer-grained components and to assign various levels of familiarity to those finer components, thereby helping define different kinds of focus and topic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ose sub-components.

  • PDF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과제 연구 수업의 주제 선정을 위한 실천 매뉴얼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e Manual Focused on Science Topic Selection Stage in General High School)

  • 김애라;박다혜;박종석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3호
    • /
    • pp.371-389
    • /
    • 2018
  • 본 연구는 주제 선정부터 결론 도출까지 학생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과학 탐구가 포함된 학생 연구 활동에서 학생과 교사들이 공통적으로 '주제 선정 단계'를 특히 어려워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주제 선정 단계'를 중심으로 한 과학과제 연구 수업 실천 매뉴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및 문헌들을 통해 이론적 기조가 되는 내용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이 실제 수업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실천적 지식에 근거하여 4단계 16차시 분량의 수업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각 단계는 <오리엔테이션>, <소논문 리뷰 & 발표>, <다양한 정보원에서 과학 연구주제 찾기>, <최종 과학 연구주제 작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3단계 '다양한 정보원에서 과학 연구주제 찾기'에서 영상, 신문기사, 과학잡지, 전통지식, 속담, 일상생활, 교과서 실험 속 연구주제 찾기의 세부 수업 활동을 통해 과학적 의문을 찾고 이를 연구주제로 발전시키도록 한다. 개발된 내용은 경상북도 G시 읍면지역의 일반계 S고등학교 2학년 자연반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실험반은 개발된 수업 실천 매뉴얼에 따라, 대조반은 기존의 일반적인 과제 연구수업 단계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이 작성한 최종 과학 연구주제 작성지,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 검사,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수업 의견 조사지를 통해 적용된 수업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험반에서는 교과서 실험, 속담, 유튜브 영상, 신문 기사, 개인별 WHY NOTE 등 다양한 정보원을 통해 최종 연구주제를 선정했으며, 과학 연구 주제의 조건을 이해하고 연구 제목에 변인을 드러내 표현하였다. 그러나 대조반에서는 일부 학생들이 선정한 연구주제의 연구 범위가 구체적이지 못하거나 학생 수준에서 연구할 수 있는 범위인지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작성했으며, 학생들에게 자율성을 최대한 많이 부여하다 보니 과제연구 활동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선행 연구물을 그대로 작성해서 제출하는 모둠이 많았다. 둘째,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 검사 결과 대조반은14.84점에서 13.40점으로 1.44점 감소했으나(p>.05), 개발된 수업 실천 매뉴얼을 적용한 실험반의 경우 14점에서 25.42점으로 11.42점 증가(p<.05)하며, 하위 영역인 융통성, 정교성, 독창성 모두 점수가 상승함을 보였다. 셋째,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에서도 대조반의 경우 119.38점에서 116.96점으로 사전에 비해 사후 0.42점 감소(p>.05)하였으나, 실험반의 경우 119.80점에서 126.96점으로 10점 증가(p<.05)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주제 선정 단계' 중심 과제연구수업 실천 매뉴얼은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과학과제 연구 수업을 할 때 수업의 안내서 및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적 문제 발견 능력을 향상시키고 과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조주제의 주제성과 초점성 (Topicality and Focality of Contrastive Topic)

  • 위혜경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4권2호
    • /
    • pp.47-7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mantic and prosodic properties of the so-called contrastive topic. We posit two informational primitives, namely, topical feature [+-T] and focal feature [+-F], from which four different informational categories, i.e., [+T, +F], [+T, -F], [-T, +F], and [-T, -F], are yielded. It is proposed that the informational category of contrastive topic has focal property [+F] as well as topical property [+T]. Based on the semantic approach that regards the function of [+F] as identificational predication and that of [+T] as forming a semantic conditional clause, it is shown that the semantic function of contrastive topic, which is specified as [+T, +F], is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functions, i.e., identificational predication in a semantic conditional clause. This is supported by a scrutinized exploration of the prosodic pattern of English contrastive topic.

  • PDF

애니메이션 "드래곤 퀘스트 IV"의 배경음악 중 "Battle for The Glory"에 나타난 관현악법 연구 (A Study on Orchestration in "Battle for The Glory" out of the Background Music in the Animation "Dragon Quest IV")

  • 정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9호
    • /
    • pp.321-348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일본 애니메이션 "Dragon Quest IV"의 음악 감독 코이치 스기야마(Koichi Sugiyama, 1931~)의 작품 "Battle for The Glory"에 나타난 관현악 운용 기법을 필자가 고안한 성부 분할법과 악기 편성 패턴, 리듬 패턴, 보이싱 패턴, 진행구간별 조화비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관현악 편곡의 체계와 진행원리를 발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첫째, 5개의 주제가 나타난 각 악절은 각각 특정한 악기 편성 패턴을 가지고 있다. 각 주제의 제시와 반복, 재현이 나타나는 악절에서는 동일한 악기 편성 패턴을 유지하여 통일성을 강조하였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새로운 주제가 제시되는 악절에서는 악기의 교체법과 가감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악기 편성 패턴으로 다양성을 제고하였다. 둘째, 보이싱 패턴은 전체적으로 전경부는 엷은 보이싱 구조와 중경부는 두터운 보이싱 구조로 구성된 "엷음-두터움"의 수직적 대조관계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제3주제는 "두터움-엷음", 제4주제는 2개의 선율을 가진 "엷음-두터움"의 구조로 교체되는 다양성을 제고하고 있다. 셋째, 리듬 패턴은 전체적으로 전경부는 굵은 리듬 구조와 중경부는 잘은 리듬 구조로 구성된 "굵음-잘음"의 수직적 대조관계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제5주제에서는 "잘음-굵음"으로 교체되면서 다양성을 부여하고 있다. 넷째, 수평적 관점에서 진행구간별 조화비는 주제가 반복, 재현되는 구간에서는 통일성의 비율이 높고, 새로운 주제가 제시되는 구간에서는 다양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작품에 사용된 운용 기법을 통해 균형감 있는 관현악 운용 기법은 수직적 관점의 기법을 바탕으로 수평적 진행구간의 다양성 비율 관계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분석연구가 관현악 기법의 이론체계와 교육방법 확립에 새로운 페러다임으로 자리매김 되었으면 한다.

신문 시소러스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신문기사 종합시소러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Newspaper Thesaurus)

  • 이인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9-113
    • /
    • 1995
  • 본 연구는 신문 시소러스의 평가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신문기사 종합시소러스의 경제.산업분야를 대상으로 시소러스의 표현력과 포괄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시소러스를 사용하여 신문기사에 대해서 색인작업을 하고, 신문기사와 용어사전에서 수집한 신문용어를 시소러스와 대조하는 두가지의 방법으로 하였다. 평가를 통하여, 신문 시소러스의 구축과 이용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주제개념의 특정성, 복합어의 분리, 디스크립터와 도입어간의 우선관계, 고유명사의 수록방법 그리고 주제분야간의 용어배분 문제가 고찰되었다.

  • PDF

DBERT: 멀티턴 문맥의 특징을 고려한 대조 학습 기반의 임베딩 모델링 (DBERT: Embedding Model Based on Contrastive Learn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turn Context )

  • 박상민;이재윤;김재은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2년도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72-274
    • /
    • 2022
  • 최근에는 사람과 기계가 자유롭게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자유 주제 대화 시스템(Open-domain Dialogue System)이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다. 자유 주제 대화 시스템이 더욱 다양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전학습 기반의 생성 언어모델이 활용되고 있지만, 답변 제공의 안정성이 떨어져 검색을 활용한 방법 또한 함께 활용되고 있다. 검색 기반 방법은 사용자의 대화가 들어오면 사전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한 대화를 검색하고 준비되어있는 답변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멀티턴으로 이루어진 대화는 일반적인 문서의 문장과 다르게 각 문장에 대한 발화의 주체가 변경되기 때문에 연속된 발화 문장이 문맥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대화의 특징을 고려하여 멀티턴 대화를 효율적으로 임베딩 할 수 있는 DBERT(DialogueBERT)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 공개된 사전학습 언어모델 기반의 문장 임베딩 모델과 비교 평가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 PDF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간호과정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based Nursing Process Educa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 김선희;강문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63-372
    • /
    • 2020
  •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 교과목 내에서 간호과정 교육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실험군으로 C 간호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생 135명과 대조군으로 D 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1주 1회, 5주간 5회기의 간호과정 5단계를 주제로 한 플립러닝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간호과정을 주제로 한 전통적 강의식 교육법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플립러닝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교육 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t=-4.71, p<.001)과 학업성취도(t=-4.9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 교과목 내에서 간호과정 교육에 플립러닝의 적용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정기간행물기사 색인서비스의 포괄성 측정에 관한 연구 -국어학 문헌을 중심으로- (An Indexing Coverage Study of Periodical Literature in a Subject Area of Korean Language)

  • 장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9
    • /
    • 1994
  • 서지대조법을 활용하여 국내 정기간행물기사 색인서비스의 포괄성을 측정하였다. "국어학논저목록집"으로 부터 추출한 국어정책 분야의 문헌 675건을 기본서지로 하여 "정기간행물기사색인"과 국어국문학논문목록" 두 가지의 색인서비스를 탐색하여 포함여부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1977년 부터 1990년까지 출판된 문헌에 대한 "정기간행물기사색인"의 포괄성은 약 63%, 1986년 부터 1990년까지 출판된 문헌에 대한 "국어국문학논문목록"의 포괄성은 약 33%, 두 서비스의 통합포괄성은 약78%로 나타났다. 그밖에 두 서비스의 중복성, 유일성 등이 측정되었으며 수록된 문헌의 주제별 분석과 제외된 문헌의 수록잡지에 대한 분석도 수행되었다.며 수록된 문헌의 주제별 분석과 제외된 문헌의 수록잡지에 대한 분석도 수행되었다.

  • PDF

C. P. E. 바흐 건반 푸가에 나타나는 그의 즉흥연주기법 고찰 (C. P. E. Bach's Improvisational Techniques in His Keyboard Fugues)

  • 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78-189
    • /
    • 2019
  • 본 논문은 C. P. E. 바흐의 연구에서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은 그의 푸가를 재평가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푸가는 대위적인 음악 가운데 짜임새가 가장 정교한 음악으로 흔히 대조적 성격의 즉흥적 프렐류드나 판타지아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기도 하다. C. P. E. 바흐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두 악곡을 나란히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이 두 장르를 하나의 음악으로 융합시키고자 하였다. 푸가의 기본 개념과 전형적인 형식적 틀은 느슨하게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주제의 특징과 세부진행에서 그가 즉흥연주기법으로 피력한 바 있는 양식적 특징이 비중 있게 결합 되어있는 것이다. 본고는 C. P. E. 바흐 건반 푸가 전곡(7곡)의 분석을 통해 그가 추구한 즉흥연주기법과의 결합을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