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조구

Search Result 5,83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buckwheat powder (메밀가루를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 Lee, Seon-Ho;Bae, Jong-Ho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22 no.2
    • /
    • pp.204-21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by introduction of buckwheat powder (BP). Cake batter was prepared by substituting wheat flour with an equivalent amount of BP based on weight. Sponge cake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BP (0, 10, 20, and 30%, respectively).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tested. The specific gravity was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P (10~30%) (p<0.05). The lightness (L value) and yellowness (b value) of the crumb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BP contents (p<0.05), whereas the redness (a value) increased (p<0.05). As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BP addition, the hardness, cake volume (mL), baking loss rate (%), and specific volume (mL/g)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On the contrary, the cake weight in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olor, taste, texture,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were observed among the different amout of BP addition (0~20%) (p<0.05). Overall, the sponge cake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20% BP was recommended to use due to its advantages in functional property.

키토산 처리 콩나물의 성장특성

  • 박인경;장경호;김순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00-100
    • /
    • 2003
  • 키토산처리가 콩나물의 성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콩에 0.05% 키토산(493kDa, 금호화성, 한국)을 함유하는 0.05% 초산 용액 4배량을 가하여 8시간 침지한 후 2$0^{\circ}C$에서 2시간 간격으로 5일간 주수하면서 발아율, 수율, 배축과 자엽의 중량변화, 수분함량, 배축의 길이와 두께 등을 조사하였다. 발아율은 키토산처리구(88-94%)가 대조구(69-85%) 보다 높았다. 5일간 재배한 콩나물의 생체중량은 처리구(70.28 g/10 g-pot)가 대조구(63.86 g/10 g-pot) 보다 18% 높았다. 재배중의 수분함량은 대조구(59.53-73.33%) 보다 처리구(64.66-84.45%)가 5.13-11.12%가 높았다. 재배중의 자엽의 중량은 대조구(25.06-27.21 g/10 g-pot)가 처리구(23.42-25.55 g/10 g-pot) 보다 높았으며 배축의 중량은 대조구(9.27-36.25 g/10 g-pot)보다 처리구(15.19-44.73 g/10 g-pot)가 높았다. 재배중 배축의 길이와 두께는 대조구(6.51-19.87 cm)보다 처리구(7.67-22.38 cm)가 길었으며, 두께는 대조구(2.08-2.12 mm)가 처리구(203-2.08 mm)보다 약간 두꺼웠다. 이상의 결과 키토산처리는 콩나물의 발아율을 높이며, 콩나물의 수분함량이 높고, 배축의 길이가 기나 두께는 다소 가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Illite Supplementation on the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황토성분(Illite) 첨가 급여가 비육돈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 김천제;이의수;송민석;조진국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0 no.2
    • /
    • pp.152-158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eeding illite(yellow soil component) on meat quality of pork. 40 pigs were fed with commercial formulated feed (control group) and 1% illite added feed(treatment group). Pigs grown up to 100~110kg of weight were slaughtered in commercial abattoir. After chilling for 24hour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 longissimus dorsi muscle, and stored at $4\pm$$1^{\circ}C$ for analyse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as determined during storage days as follows. Ultimate p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pH 5.58 and 5.60, respectively). Water-holding capacity measured using filter paper press method of the treatment group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oking loss of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1 and 7 days(p〈0.05). Shear force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group was not different. L*- and a*-valu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p〉0.05), but b*-value of treatmen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The drip loss of all samples was increased with storage days, and that of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t 1 and 3 day storage. Meat color measured using NPPC pork quality standar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p〉0.05), but marbling content of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Sensory characteristics of, flavor taste and tendernes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p〉0.05), but juiciness of the treatment group showed higher valu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 PDF

Effect of Sea Tangle on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bukjang (다시마의 첨가가 청국장 발효와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Jung Yoo-Kyung;Lee Ye-Kyung;No Hong-Kyoon;Kim Soon-Dong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3 no.1
    • /
    • pp.95-101
    • /
    • 2006
  •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bukjangs with $1\~3\%$ desalted and dried sea tangle powder were investigated after fermentation for 48 hr at $40^{\circ}C$. Addition of sea tangle, irrespective of concentration, did not affect pH and slime content of Cheongbukjang. Color L* and a* values were gener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sea tangle concentr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microbe, amino nitrogen content, and protease and amylase activity between control and Cheongbukjangs with up to $2\%$ sea tangle. However, addition of $3\%$ sea tangle resulted in decreased total microbe, amino nitrogen content, and enzyme activit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Fiber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sea tangle concentration and hardness increased by 1.5 times at $2\%$ sea tangle and by 2.6 times at $3\%$ sea tangle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Results for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addition of $2\%$ sea tangle was the optimum concentration in view of reducing bitter taste and odor, and improving overall acceptability.

수세법과 pH 조절법에 의한 닭가슴살 surimi의 품질 특성

  • Park, Gi-Hun;Kim, In-Jin;Ha, Ji-Hui;Gang, Seok-Mo;Kim, Il-Seok;Jin, Sa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155-158
    • /
    • 2005
  • 닭가슴살을 이용해서 수리미 제조 시 4회 수세한 대조구, pH 3.0으로 산 처리한 T1, pH 11.0으로 알카리 처리한 T2로 하여 그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일반성분에서 수분, 조단백질과 염용성단백질 및 수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pH 조절법으로 한 두 구가 높았으며, 조지방은 T2가 다른 두 구에 비하여 높았다. pH, 보수력, 파괴강도, 변형값은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단가는 T2가 가장 높고, T1, 대조구 순이었다. $L{\ast}$값은 T2가 다른 두 구보다 낮았으며, $a{\ast}$값은 T1이 다른 두 구에 비하여 낮았다. $b{\ast}$값은 대조구가 가장 높고, T2가 가장 낮았다. 조직감에서 파쇄성 및 경도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응집성은 T1이 다른 두 구보다 낮았으며, 탄력성과 부착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T1과 T2가 높았다. 검성은 대조구와 T1에 비하여 T2가 높았다. 조직감의 전 항목에서 T2 가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과 맛은 T1이 가장 높고, 대조구가 가장 낮았다. 색, 향, 다즙성, 연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 PDF

난황형성기 모체내 3,5,3'-triiodo-L-thyronine ($T_{3}$) 주사에 의한 조피볼락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율 향상

  • 강덕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1998.07a
    • /
    • pp.66-67
    • /
    • 1998
  • 난황형성기의 난소를 가진 암컷 어미에게 갑상선 호르몬인 3,5,3'-triiodo-L-thyronine ($T_{3}$)를 20 mg $T_{3}$/kg체중으로 주사하여 출산된 조피볼락 자어를 대조구 자어와 함께 30일간 사육하면서 성장과 생존율을 비교하였고, 실험종료시인 전어체를 갈아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였다. 출산자어의 성장은 대조구에 비해 $T_{3}$구에서 유의하게 빨랐으며, 생존율 역시 $T_{3}$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실험종료시 치어의 비만도는 대조구가 $T_{3}$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실험종료시 $T_{3}$구의 어체내 수분과 회분함량은 대조구의 결과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 함량은 $T_{3}$구에서 대조구 보다 높았으며, 지질은 $T_{3}$에서 오히려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조피볼락에 대한 $T_{3}$의 모체주사는 출산자어의 성장과 생존율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Growth Characteristics of Lily by the Treatment of Aeration in vitro (기내 통기처리에 의한 백합의 생육특성)

  • 구대회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6 no.4
    • /
    • pp.241-244
    • /
    • 1999
  • The effect of Milliwrap and Uniwrap attached to the lid on the growth and acclimation of lily growing in vitro was investigated. Milliwrap treatment increased the plant height 1.6 and 1.2 times higher than control in 'Dame Blanche' and '94-36', respectively, plant height of 'Dame Blanche' was 6.1㎝ and '94-36' line was 13.4 ㎝. Two treatments slightly inhibited the fresh weight in 'Dame Blanche', whereas Milliwrap and Uniwrap enhenced the fresh weight more than 30% in '94-36'. Leaf width (1.0 ㎝) of Milliwrap treatment was most wide, which was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In the fresh weight of bulblets, the fresh weight per bulblet of treatment was higher than control in '94-36', but the number of bulblets per scale were few in the treatment to control. In the air composition of culture vessel, ethylene content (0.03 ppm) was low in the Milliwrap treat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CO₂ content of control was higher than treatments as 0.11% and it was about 3 times to air condition of out side. The acclimation ratio of Milliwrap treatment was higher as 85.1% and control was similar with Uniwrap treatment.

  • PDF

셀레늄 급여원에 따른 쇠고기의 육색 안정성 비교 연구

  • Park, Beom-Yeong;Seong, Pil-Nam;Kim, Dong-Hun;Ha, Gyeong-Hui;Lee, Seong-Hun;Lee, Jong-Mun;An, Jong-Nam;Kim, Wa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267-270
    • /
    • 2005
  • 유기셀레늄급원을 달리하여 쇠고기 육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Myoglobin의 함량은 대조구와 시험구에서 각각 6.39%, 14.18%로 대조구가 시험구에 비하여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Oxy-Myoglobin의 함량은 반대로 대조구 89.07%, 시험구 83.47%로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그러나 Met-myoglobin 함량은 대조구가 4.56%이였고 시험구가 2.35%로 대조구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보다 정확한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시료를 Met화 시킨 후 측정해 볼 필요성이 대두되어 도축후 $4^{\circ}C$에서 14일 및 21일간 숙성한 시료를 $20^{\circ}C$에서 48시간 산화시킨 후 측정 육색소 화학적 조성을 비교한 결과, 육색소 화학적 조성을 비교한 결과로 Myoglobin 함량은 저장 14일차와 21일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Oxy- myoglobin은 저장 14일차와 21일차 모두 유기셀레늄 강화 버섯 폐배지 급여구가 대조구와 무기셀레늄 급여구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 Met-myoglobin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무기셀레늄구가 유기 셀레늄구와 유기셀레늄강화 버섯 폐배지 급여구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유기셀레늄 강화 버섯 폐배지 급여구가 대조구나 유기셀레늄구에 비하여 Oxy-myoglobin production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Met-myoglobin Activity는 유기 셀레늄 급여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유기셀레늄강화 버섯폐배지 급여구가 높았다(p<0.05). 이러한 결과는 소매상품 으로 제조 판매시 Oxy-Mb이 Met-Mb으로의 전환을 억제하여 이상적인 육색을 장시간 유지할 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조직감과 염도에서 매우 좋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 가능한 식염첨가최저수준은 0.5%이상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로인 햄의 제조에 필요로 되는 식염의 첨가량은 0.5${\sim}$1.5% 범위로 평가된다. 차후의 연구로는 저염 로인 햄의 경우 품질의 저하를 보완할 수 있는 기능성 첨가물이나 가공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97.22로 가장 낮았고, 기타 처리구는 1.19${\sim}$1.59의 처리를 보이고 있는데 비하여, 대조구(100) 대비 증체율에서는 생봉독 처리 2구에서 103.30으로 3.30%가 높았다.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지역자원 활용 소스 중심의 문화관린 산업의 seeds 발굴과 향토상품의 상품화와 네트워크 조직망 구축을 위한 지역중심의 복합 생활문화 공간이 필요할 것이며, 이를 촉진키 위한 mentor academy시스템 접근을 통해 점점 고령화되어 가고 있는 재래시장에 대해 차별적 특성이 반영된 종합적이고 체계적 접근 방법연구가 필요하다./TEX> 자체기술개발, 선진기술 도입, 산업간 및 산업내 기술확산, 국제기술협력 ${\rightarrow}$ 기술혁신의 촉진 ${\rightarrow}$ 총요소생산성과 기업경쟁력(자원 및 역량, 프로세스 경쟁력, 품질경쟁력, 시장경쟁력, 고객성과, 시장성과, 재무성과)의 제고 ${\rightarrow}$ 가격경쟁력(임금, 금리, 물류비용, 환율 등)과 비(非)가격경쟁력(디자인, 에프터서비스, 품질, 운송 등)의 제고 ${\rightarrow}$ 국가경쟁력의 제고 ${\rightarrow}$ 국제수지 흑자 ${\rightarrow}$ 성장 ${\rightarrow}$ 물가 및

  • PDF

화학제제를 깔짚에 첨가시 육계의 생산성과 계사내의 암모니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최인학;손장호;남기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2003.11a
    • /
    • pp.123-124
    • /
    • 2003
  • 6개의 화학제제를 육계의 깔짚에 첨가한 후 6주간의 사육기간 동안 육계의 생산성, 계사 내의 암모니아 발생량을 측정하여 6개의 화학제제를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본 실험은 A계사와 B계사 각각에 대조구(4케이지)와 시험구(4케이지)를 배치하였으며 대구대학교 동물사육실에서 실시하였다. 시험은 각 방에서 4반복으로 실시하였다. A계사는 화학제제 I (T$_1$)을 깔짚에 첨가하고 나머지는 대조구로 하였다. B계사에는 화학제제II(T$_2$)를 깔짚에 첨가하고 나머지는 대조구로 하였다. 대조구와 실험구는 철저히 막아서 공기가 서로 내통되지 않게 하였다. 화학제제 I (T$_1$)과 II(T$_2$)의 실험이 끝난 후 같은 방법으로 화학제제III(T3)과 IV(T4)도 실시하였으며 계속해서 화학제제V(T$_{5}$)와 Ⅵ(T$_{6}$)이 실시되었다. 총 시험기간은 2002년 10월 31일부터 익년 3월 22일까지 143일간 계속되었다. 6개의 화학제제를 각각 깔짚에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교하여 육계의 생산성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암모니아 가스 농도는 화학제제 I (T$_1$)과 II(T$_2$)의 경우 2주에서 6주까지 처리구와 대조구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화학제제III(T$_3$)의 처리구는 5주 동안 암모니아 가스발생은 거의 없었으며 대조구와는 큰 차이를 나타냈다. 화학제제IV(T$_4$)와 V(T$_{5}$) 그리고 Ⅵ(T$_{6}$)에서도 처리구와 대조구간에 차이가 인정되었으나 처리IV(T$_4$)와 Ⅵ(T$_{6}$)의 경우는 처리구에서도 5주와 6주의 경우 암모니아 농도는 25 ppm이거나 그 이상을 유지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계사내 암모니아 가스농도는 25 ppm보다 낮았으나 화학제제III(T$_3$)에서는 계사내의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거의 0에 가까웠다. 결론적으로 6개의 처리들간의 비교는 할 수 없지만 화학제제III(T$_3$)의 경우에서 처리구는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다른 처리구에 비교하여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Supplemental Bio-Active Substances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Utilization, Blood Characteristics, Microflora Population and Diarrhea Frequency of Weanling Pigs (생리활성 물질(쑥, 두충 및 어성초)의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이용율, 혈액특성, 장내 미생물 및 설사빈도에 미치는 영향)

  • 김재황;안경호;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8 no.3
    • /
    • pp.383-392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upplemented mixture of herbs (artemisia, eucommia ulmoids and houttuynia cordata)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utilization, blood characteristics, microflora population and diarrhea frequency in weanling pigs. Eighty-four pigs were randomly allotted into one of the four dietary treatments, each of which had 3 replicates.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by adding (0.0, 0.5, 1.0 and 2.0%) a mixture of artemisia, eucommia ulmoids and houttuynia cordata to a commercial feed, and were given to pigs for 42 days. Daily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s supplemented with the mixture at 1.0% group and 2.0% group.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1.0% for protein and ether extract, and in 1.0% group and 2.0% group for NFE. Total bacillus and lactobacillus sp. were significantly (p<0.05) improved in 1.0% group and 2.0% group, respectively. Glucose concentrations of serum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in 0.5% group and 1.0% group, and HDL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in 1.0% group and 2.0% group. Diarrhea decreased by treatments except control (p<0.05). It is concluded that pigs fed the diet supplemented with 1.0% mixture of herbs can improve daily body weight gain, feed efficiency, nutrient utilizations and diarrhea frequency in pi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