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전지역 지하수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대전지역 지열별 지하수중의 라돈 및 우라늄 분포 특성연구

  • Yun Yun-Yeon;Jo Su-Yeong;Lee Gil-Yong;Kim Yo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300-303
    • /
    • 2005
  • 대전지역 화강암지대에 존재하는 75개 지하수를 5개 지역구에서 채취하였으며, 상ㅁ하반기 동안 2차례 시료를 채취하여 건기와 우기후의 라돈 및 우라늄 농도를 분석하였다. 5개 지역에 대한 라돈과 우라늄의 평균 농도는 유성구에서 270.9 Bq/L, $43.8{\mu}g/L$ 였으며, 동구의 경우 41.3 Bq/L, $4.9{\mu}g/L$, 대덕구는 131.8 Bq/L, $54.3{\mu}g/L$, 중구의 경우 44.0 Bq/L, $8.1{\mu}g/L$ 그리고 서구는 112.9 Bq/L, $0.4{\mu}g/L$ 이었다. 라돈과 우라늄의 함량은 건기가 우기후에 비해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건기시의 평균값은 라돈은 $253{\pm}14\;Bq/L$ 우라늄은 $63{\mu}g/L$ 이었으며, 우기시는 $195{\pm}11\;Bq/L,\;45.4{\mu}g/L$ 이었다.

  • PDF

Water Budget Analysis for the Target Area Assessment of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지하수 인공함양 대상지역 평가를 위한 물수지적 접근 방안)

  • Kim, Gyoo-Bum;Hwang, Chan-Ik;Choi, Myou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24
    • /
    • 2020
  • 전세계적으로 지하수 인공함양은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가뭄 시대에 효율적인 물확보 방안으로 평가되고 있는 기술로서, 우리나라에서도 2015년 충청 및 강원 지역의 극한 가뭄이 발생한 이후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수 인공함양 대상지역의 평가를 위해서는 물의 수요에 대한 진단, 대상지역의 수리수문학적 특성, 지층의 인공함양 가능성, 원수의 확보 여부, 현행 공급 능력의 진단 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신곡마을은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상시 가뭄지역으로서 현행 지하수 관정에 의한 취수능력으로는 주기적인 물 부족이 발생하는 지역이며, 대용량의 암반 지하수 관정 개발도 대수층의 특성상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인공함양의 원수로서 하천수 또는 함양영역 밖의 소용량의 암반 지하수를 고려할 수 있다. 월별 물수지 분석 결과, 농번기 초기인 4월에는 수요량 대비 기존 용수원(관정)에 의한 공급량이 충분하여 99 ㎥/d의 여유가 존재하나, 5월에는 215 ㎥/d의 물부족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하천유출량은 3월 1,297 ㎥/d, 4월 2,899 ㎥/d 등으로서 함양원수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수량이 존재할 뿐 아니라, 이 기간의 지하수위가 지표하 약 4~5 m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지하수 함양에 충분한 공간도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정밀한 수치모델링을 통하여 지하수 인공함양을 위한 적정 물량, 지하수위의 분포 변화 예측, 적정 취수량의 결정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 PDF

대전시 민방위 비상용 지하수의 수질특성과 문제점 및 개선대책

  • 정찬호;김은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0.11a
    • /
    • pp.78-80
    • /
    • 2000
  • 대전광역시에 분포하는 민방위 비상용 지하수 급수시설은 현재 총 225개소가 확보되어 있고 확보된 수량은 약 51,597톤/일이다. 비상용 지하수 중 정부지원시설은 년간 4회에 걸쳐 수질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1996년∼1999년 사이에 수질분석 내용을 보면 약 36% 정도가 음용수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부적합 항목으로 일반세균, 대장균, 질산성질소, 불소 등이다. 수질분석자료를 근거로 보면 동구와 중구의 구도심권의 수질이 나쁜 상태이고, 도시계획도상 녹지지역이 가장 많은 유성구가 가장 좋은 수질특성을 보인다. 대덕구는 공단지역 등을 중심으로 수질이 저하되어 있고, 서구는 신도시보다는 기존도심지의 지하수의 수질이 저하되어 있음을 보이는데, 이는 대전시 지하수의 수질특성이 토지이용 및 도시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대전 지하수의 수질 향상을 위하여, 부적합 판정을 받은 급수시설에 대해서는 정밀한 조사를 통하여 오염물질의 종류와 농도변화, 오염의 원인, 오염물의 확산 등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한 후, 오염정화를 통한 복구나 폐공처리 조치 또는 관측정으로의 전환 등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표본지역에 대한 양수시험결과 기록된 지하수량과 실제치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어 비상급수시설에 대한 정확한 1일 적정 채수량을 다시 산정할 필요가 있다.

  • PDF

대전 유성지역 소유역에서의 유출수문곡선 분리를 이용한 지하수 함양률 추정

  • 조성현;하규철;조민조;문상호;송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440-445
    • /
    • 2004
  • 본 연구는 대천 유성지역 유성천 소유역에서 강우시 유출수문곡선으로부허 기저유출성분과 강우성분을 분리하여 동적 평형에 의한 강우의 지하수 함양률을 추정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보존적인 산소동위원소(18O) 추적자를 이용하여 2성분(기저유출성분과 강우성분) 유출수문곡선 분리하였으며 이로부터 추정된 지하수 함양률은 강우의 0.13이었다. 추적자를 이용한 유출수문곡선분리는 지하수 함양률을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Occurrence of U-minerals and Source of U in Groundwater in Daebo Granite, Daejeon Area (대전지역 대보 화강암내 우라늄 광물의 산출상태와 지하수내 우라늄의 기원)

  • Hwang, Jeo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3 no.4
    • /
    • pp.399-407
    • /
    • 2013
  • Some groundwater in Korea contains high U concentrations, especially where two-mica granite occurs in the Daejeon area. The elemental U in the two-mica granite is lower than that in normal granites elsewhere in the world, and U-minerals have yet to be reported in the two-mica granite in the Daejeon area.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occurrence of U-minerals serving as the U source in groundwater. In situ gamma ray spectrometry and mineralogical analyses using EPMA were performed. U-count anomalies were identified in a granitic dyke and in hydrothermally altered granite. Uraniferous granitic dykes occur along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two-mica granite and mica-schist. The uraniferous parts within the two-mica granite are developed in the hydrothermally altered zone, which contains numerous quartz veinlets within a fracture zone. Hydrothermal alteration is dominated by potassic and prophylitic alteration. Uraninite is a common U-mineral in granitic dykes and hydrothermally altered granite. Coffinite and uranophane occur in the hydrothermally altered granite. All of these U-minerals are commonly accompanied by hydrothermal alteration minerals such as muscovite, chlorite, epidote, and calcite. It is concluded that granitic dyke and hydrothermally altered granite are the main source rocks of U in groundwater.

Hydrochemistry of Groundwater in the Uraniferous Sedimentary Rocks of the Ogcheon Belt, Republic of Korea (옥천대 우라늄 광화대 부근 퇴적암 지하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 Hwang,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3
    • /
    • pp.205-213
    • /
    • 2010
  • A hydrochemical comparative study of groundwater in uraniferous sedimentary rock of the Ogcheon bel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uraniferous groundwater of Daejeon area and uraniferous sedimentary rocks of the Ogcheon zone. The groundwater shows weak alkaline pH values rangingfrom 6.4 to 8.1 and low Eh values ranging from -50 to 225 mV. The groundwaters to Ca-$HCO_3$ type that shows high concentration of $Ca^{2+}$ and $HCO_3^_$ due to the dissolution of carbonate mineral in limestone. The concentration of uranium in the groundwater was measured very low below $3.2{\mu}g/L$, while it was detected as much as $1165{\mu}g/L$ in the mine waste water. The low Eh value of groundwater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low uranium concentration of groundwater in uraniferous sedimentary rocks in the Ogcheon belt. It is suggested that the uranium of groundwater in granitic region of Daejeon area was not mainly provided from uraniferous sedimentary rocks in the Ogcheon belt.

Preliminary assessment of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effect using vertical wells based on a numerical model (수치모델을 활용한 수직정의 지하수 인공함양 효과 예비 평가)

  • Choi, Myoung-Rak;Hwang, Chan-Ik;Kim, Gyoo-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0-290
    • /
    • 2020
  • 연구지역인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신곡마을은 상시 가뭄지역으로서 농번기 물부족을 겪고 있으며, 물 확보의 수단으로서 지하수 인공함양이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수직정 방식의 지하수 인공함양시 주입 효과를 예비 평가하였다. 모델 지역은 가로 세로 2,450 × 2,350 m로서 10 × 10 m 간격의 격자로 구성하였으며, 현장에서 실시된 지하수위 조사 및 9공의 시추조사, 1개공의 양수시험 결과로부터 수리전도도, 지층분포 등을 구성하였다. 정류모델결과, 실측 및 예측 지하수위의 표준오차(Standard error of the estimate)는 0.53 m, 표준화제곱근오차(Normalized RMS)는 6.79%, 상관계수는 0.99%로 나타났다. 수직정을 통한 주입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주입량을 5 ㎥/d, 10 ㎥/d, 15 ㎥/d, 20㎥/d, 주입기간을 1일, 3일, 7일, 우물의 개수를 1개, 3개, 5개일 때 등 다양한 조건하에서의 부정류 모델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주입의 효과인 지하수위 상승량 및 상승 범위 등을 토대로 물 부족 기간의 인공함양 시나리오(주입정의 위치, 갯수, 심도, 기간 등)를 예비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추후 정밀 모델 및 실제 현장 주입 시험 등을 토대로 인공함양 설계를 추진할 예정이다.

  • PDF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Acidification and Mixing with Seawater, and Origin of Liquefaction-Expelled Water in a Tertiary Formation in the Pohang Area (포항지역 제3기층내 지하수와 지표수의 산성화 및 해수혼합, 그리고 액상화 유출수 기원에 관한 연구)

  • Jeong, Chan Ho;Ou, Song Min;Lee, Yu Jin;Lee, Yong Cheon;Kim, Young Seog;Kang, Tae Seob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2 no.4
    • /
    • pp.559-569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idification and mixing with seawater of groundwater, stream water, and reservoir water in the Hunghae area of Pohang City, as well as the source of water expelled to the stream by liquefaction induced by the Pohang earthquake on 15 November 2017. Geologically, the area consists of Tertiary sedimentary rocks. We collected six samples of groundwater, five of reservoir water, four of stream water, two of liquefaction water, and one of seawater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table isotopes (𝛿D and 𝛿18O). Gogkang Stream flows eastward through the central part of the study area into the East Sea. The groundwater and reservoir water in the lower part of the stream are acidic (pH < 4), have a Ca(Mg)-SO4 composition, and high concentrations of Al, Fe, and Mn, likely due to the oxidation of pyrite in Tertiary rocks. The groundwater in the upper part of the stream have a Ca(Na)-HCO3(Cl) composition, indicating the mixing of seawater with the stream water. The 𝛿D and 𝛿18O isotope data indicate the isotopic enrichment of reservoir water by evaporation. Based on the chemical and isotopic data, it is inferred that the two samples of liquefaction water originated from alluvium water in a transition zone with stream water, and from deep and shallow groundwaters that has been infiltrated by seawater, respectively.

Uranium and Rado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f the Daejeon Granite Area: Comparison with Other Granite Areas (대전 화강암지역 지하수의 우라늄과 라돈 함량: 다른 화강암지역과의 비교)

  • Yun, Uk;Kim, Moon Su;Jeong, Do Hwan;Hwang, Jae Hong;Cho, Byong Wook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4
    • /
    • pp.631-643
    • /
    • 2018
  • Uranium and rado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from 80 wells from Daejeon area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range of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geology. The median uranium content of groundwater was $11.14{\mu}g/L$ for the two-mica granite, $0.90{\mu}g/L$ for the biotite granite, and $0.47{\mu}g/L$ for the Ogcheon group. The median radon content of groundwates was 114.3 Bq/L for the two-mica granite, 61.6 Bq/L for the biotite granite, and 42.2 Bq/L for the Ogchon group, respectively. The uranium content of two-mica granite is 3.78 mg/ kg, which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biotite granite 3.20 mg/kg. However, the uranium content in groundwatewr of two-mica granite groundwater is much higher than that of biotite granite.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two-mica granite is vulnerable to weathering than biotite granite, so uranium in mineral is easily leached into groundwater. The exceeding rate of samples having uranium content above $30{\mu}g/L$ in granite area was 23.8%,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6.7% in Jurassic granite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exceeding rate of samples having radon content above 148 Bq/L in granite rate area was 31.0% which is similar to that of Jurassic granite area of 31.7%.

대전 유성지역 심부단열대의 연결성 확인

  • 박경우;배대석;김경수;조성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95-498
    • /
    • 2004
  • 대전시 유성구 한국원자력연구소 부근 지역의 심부 단열대 확인을 위해 BHTV 검층, 일정구간별 정압 주입시험을 실시하였다. BHTV 조사 결과 A Zone(100m~120m)과 B Zone(250m~280m)이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며, 일정구간별 정압주입시험을 통해 B Zone(250m~280m)과 C Zone(400~420m)의 연결성을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시추공의 심도별 지하수위 자료를 통해 지하 250m 부근에서 그 상부와 하부의 지하수 시스템이 연속되지 않은 독립된 시스템을 갖는다고 추측된다. 이러한 결론은 MP system이 설치된 시추공의 구간별 압력변화 결과에 의해서도 확인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