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응성

검색결과 7,563건 처리시간 0.033초

친환경 마그네슘 개발 (Development of Eco-Mg Alloy)

  • 이진규;김세광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01-112
    • /
    • 2009
  • 경량성, 자원의 무한성 그리고 재활용성으로 대표되는 친환경의 마그네슘은 향후 Eco-Mg 개발을 통하여 무한한 성장이 예상된다. 본 자료에서는 첨가제로서의 CaO 관점에서 $non-SF_6$ 공정, 유동성의 공정 대응성, 압출 대응성, 스트립 캐스팅 대응성, 압연 대응성, 접합 대응성 그리고 마그네슘 합금의 산화 저항성 및 발화 저항성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또한 첨가제로서의 CaO 측면에서는 고온용, 내화용, 제진용 합금의 개발을 비용 절감측면을 강조하여 기술하였다. 물론 본 자료에서 Eco-Mg의 모든 측면들을 다루지는 않았다. Eco-Mg는 지금까지 개발된 것 보다는 앞으로 이루어내야 할 것들이 훨씬 많고 중요하다. 연구개발 뿐만 아니라 상업적 제품 개발에 대한 국내외적인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앙행정기관의 정보공개청구에 대한 대응성 분석 (Responsiveness of Request to Information Disclosure)

  • 최정민
    • 기록학연구
    • /
    • 제45호
    • /
    • pp.155-18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공개제도 시행 이후 높은 정보 공개율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만족도는 이에 상응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결과적 대응성과 실질적 대응성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공개결정과 걸린 시간 등의 결과적 대응성 측면의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실질적 측면에서 청구한 정보와 공개된 정보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앞으로 국민의 정보공개청구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본 연구는 28개 중앙행정기관의 동일한 정보공개청구에 대한 대응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질적 대응성 면에서 청구한 정보와 공개형태가 아닌 다른 정보와 다른 형태의 자료를 공개하여 정확성이 떨어졌고 청구한 정보의 일부 내용이 없거나 내용을 파악할 수 없게 공개하여 공개된 정보의 완전성이 떨어졌다. 기관 특성 가운데 기관 기능 면에서는 국가관리기능이 공개율은 낮았지만, 실질적 대응성 면에서 공개내용은 경제산업기능, 사회문화기능보다 청구내용에 더 가까운 정보를 공개하였다. 결과적 대응성과 실질적 대응성 간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공개결정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공개된 내용은 청구한 정보가 아닌 경우도 상당하였고 공개에 여러 날이 소요되었음에도 즉시공개로 판정되어 즉시공개 본래의 취지를 무색하게 하였다. 한편 실질적 대응성을 떨어뜨리는 주된 이유는 문서보존기간의 경과와 자료의 부존재 등 이었다. 따라서 기관의 정보공개에 대한 의지와 함께 공공기관의 기록 생성과 보존의 의무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정된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지만 결과적 대응성과 실질적 대응성 간의 차이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한중일 침해사고 대응체계 비교에 관한 연구 - 사이버보안 법규, 대응기관, 대응절차를 중심으로

  • 김희연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3-57
    • /
    • 2015
  • 국경을 넘나드는 사이버공격에 대한 효과적인 사이버보안 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간 협력이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맞닿아 있는 중국 및 일본과 우리나라의 침해사고 대응 관련 법, 대응기관, 대응절차 등 국가별 침해사고 대응체계를 비교하고 효과적인 침해사고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사이버보안 관련 법의 체계성에 중국 및 일본의 사이버보안 관련 정책의 유연성을 접합하고, 사이버보안 컨트롤타워를 성문화함으로써 인터넷 침해사고 대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엄격성 지수 분석에 따른 감염병 대응 정책 효과성 분석 (Analysis of Coronavirus Response Policy Effiectiveness According to the Strigency Index)

  • 전은구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3-14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엄격성 지수(Strigency Index)분석에 따른 OECD 가입국들의 코로나19 대응 정책 엄격성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발생 이후 전 세계 대다수 국가들은 점진적 일상회복 단계로 접어들어 'with corona' 시대로 가고 있다. 코로나19의 완전 방역을 이루며 이전과 같은 일상으로 돌아가고 있지만, 또다시 대규모 감염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옥스퍼드 코로나바이러스 정부대응추적 프로젝트(OxCGRT)에서 제시된 21개 지표 중 OurWorldinData서 엄격성 지수 분석에 활용되는 9개 지표를 분석하여 정책의 엄격성을 분석하여 추후 발생하는 대규모 감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엄격성 지수 분석 결과, 9개 지표 중 6개 지표에서 정책의 도입한 시점부터 확진자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 유사한 변화를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엄격성 지수 분석을 통해 국가 대응의 적절성·효과성을 입증하기에는 판단 기준이 0~4점 사이의 임의의 기준으로 분류되고 있었으며, 변수설정 또한 제시되어 있지 않아 대응 정책의 엄격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어 보인다. 본 연구에서 엄격성 지수 분석을 통한 감염병 대응 정책의 효과성을 찾고자 하였다. 지수와 확진자 추세 간 유사한 변화는 찾았지만, 엄격성 지수의 한계점이 존재하는 연구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추후 확진자 증감 대비 엄격성 지수 분석을 통한 상관관계 분석, 지표별 평균치와 확진자 추세 분석을 통한 공통적인 효과성 분석 등 다른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제조 기업의 대응성 향상을 위한 로제타넷 기반 비즈니스 통합 모델 (RosettaNet based Business Integration Model for Enhancing Manufacturing Firm's Responsiveness)

  • 박목민;박정호;신기태;박진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9-101
    • /
    • 2010
  •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기업의 경쟁력이 제품 측면에서 점차 서비스 측면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는 치열한 경쟁 상황 등으로 인해 제품 생산 비용이나 제품의 품질에서 차별화를 확보하기 힘들어지고 수요의 불확실성과 동적인 시장 상황으로 인해 점차 유연성과 대응성 등 서비스 측면이 차별화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의 유연성과 대응성은 기업의 판매주문처리를 통해 다른 기업들에게 평가된다. 따라서 기업은 판매주문처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판매주문처리 관련 연구들은 주로 생산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납기 결정과 생산 일정 수립 및 납기 준수를 위한 리드타임 결정에 비중을 두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판매주문처리 관련 연구들이 대상으로 하는 목적함수가 비용 관련 요소에 비중을 두고 있었으며, 유연성과 대응성 향상을 위한 고객과의 유연하면서 긴밀한 연결 비용과 실시간 주문 관련 정보 취득 비용이 높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보 기술(IT)과 유비쿼터스 기술(UT)의 발전으로 점차 연결성과 가시성 확보와 관련한 비용이 줄었으며 기술적으로 구현 가능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 기술과 유비쿼터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변화된 기업의 판매주문관리에서의 유연성과 대응성 향상을 위해 납기를 재협의하는 프로세스와 이를 지원하기 위해 로제타넷 PIP(Partner Interface Process) 기반의 비즈니스 통합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증강현실기반 재난대응 통합훈련 시뮬레이터용 시나리오 개발 소개 (Introduction to Development of Scenario for Augmented Reality Emergency Response Training Simulator)

  • 김영진;이광희;문일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년 정기학술대회
    • /
    • pp.75-7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기술을 사용하여 재난 대응 훈련에서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용 시나리오의 작성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기존의 재난 대응 훈련은 시나리오의 비현실성, 훈련내용의 부실로 인한 실효성의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하여 효과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되어 왔으며, 세월호 사건은 그러한 문제점이 직접적으로 드러난 재난으로 꼽히고 있다. 점차 다양화, 복잡화되는 재난에 따라 실질적인 훈련과 다양한 기능, 부처간 연계를 위한 훈련체계가 요구되는 현실에 맞춰 재난대응에 있어 통합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시뮬레이터에 사용되는 시나리오는 단순한 도상훈련이 아닌 직접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훈련 시나리오와는 다른 성격을 가지며, 실효적 재난대응을 위해 국내 외 사례에서 기반한 재난대응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것을 집중적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여러 돌발적인 이벤트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그에 적절한 대응방안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 PDF

국내 방사능재난대응체계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제언 (Suggestio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 Radiological Emergency Response System)

  • 문주현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5-206
    • /
    • 2020
  • 국내 방사능재난대응체계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최근의 국내 대형 재난 교훈 등을 바탕으로 개선돼 오고 있지만, 아직 방사능재난 특성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교훈을 완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하나의 방사능재난대응체계에 복수의 국내법이 적용되면서, 실제 상황 시, 대응체계의 실효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는 법 조항 간 불일치 사항이 존재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방사능재난대응 속성을 분석하고, 방사능재난대응체계 적절성 측면에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과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에서 규정한 방사능재난대응체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시 일본측의 방사능 재난 대응 활동을 분석하고,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응체계와 조직 측면에서 국내 방사능재난대응체계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재난유형별 메커니즘 분석을 통한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재난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aster Response Plan of Large-scale Complex Building through the Analysis of Mechanism by Disaster Type)

  • 안승민;임성빈;민세홍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1-342
    • /
    • 2023
  • 본 연구는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이 증가하여 재난에 취약성이 높아짐에 따른 재난대응 반안에 관해 연구를 진행했다. 사회재난과 자연재난 중 건축물에 영향을 미치는 재난을 국내외 사례와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하고 각 재난의 공통된 취약성과 개별적 취약성을 찾았으며, 재난유형별 복합재난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위험성이 높아지면서 소방청은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 계획 수립 세부지침서를 만들었지만, 한정적인 재난과 구체적 예시의 부재로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앞서 제시한 재난의 재난대응 방안을 만들어 재난대응흐름도를 작성하여 실제적인 대응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 PDF

자동화된 침입대응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utomated Intrusion Response System)

  • 이보경;이호재;김영태;최중섭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A)
    • /
    • pp.392-394
    • /
    • 2003
  • 침입이란 컴퓨터 자원의 무결성, 비밀성 및 가용성을 저해하고, 시스템의 보안정책을 파괴하는 행위로서,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호스트 기반, 다중 호스트 기반 및 네트워크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만으로는 침입이 발생한 사후에 판단, 추적이 어려우며, 침입 중 차단이 불가능하므로 대규모 분산 시스템에 대한 침입에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지능화된 공격에 자동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공격의 심각도 및 피해정도 그리고 침입탐지시스템이 탐지능력의 신뢰도에 따라 대응 수준 및 대응방법이 결정되도록 하는 자동화된 침입대응 시스템 및 사용된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PDF

컬러 보정을 위한 컬러 간의 유사성 측정 기법 (Method of Measuring Color Similarity for Color Correction)

  • 황영배;김제우;최병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20-423
    • /
    • 2011
  • 두 카메라 혹은 다수의 카메라에서의 컬러 보정은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 및 양안식 3D 카메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최근 컬러 보정 방법들이 다수 제안되었지만 이 방법들의 결과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방법이 많지 않으며 기존의 측정 방법은 두 영상이 카메라의 위치에 따른 서로 다른 장면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보정을 위한 컬러 간의 유사성 측정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대상이 되는 두 영상의 장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하여 대응점 검색을 통해 두 장면 간의 같은 컬러를 가져야 하는 대응점을 찾고 이 대응점 주위의 영역으로부터 통계치를 계산하여 컬러의 유사성을 비교한다. 이 경우 두 영상의 위치 변화에 따른 장면 변화와 대응점의 약간의 어긋남에 대해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대응점들이 영상의 모든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영상의 통계치를 계산하여 컬러의 유사성을 비교도 동시에 수행하여 결과적인 컬러의 유사성은 대응점 기반과 전체 영상 기반의 유사성의 가중치의 합으로 결정되며 이 가중치는 대응점 기반의 컬러 비교가 영상 내의 얼마만큼의 영역을 포함하는지에 따라서 결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