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역통과 여파기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4초

5.8GHz ISM밴드용 평행 결합선로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Design and Fabrication of Parallel Coupled Line Band Pass Filter for 5.8GHz ISM Band)

  • 장인석;손태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81-38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5.8Ghz ISM대역 평행 결합선로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긴본적인 설계는 저역통과 여파기에서 대역통과 여파기로 변환한 후, 직 병렬 공진기를 이용한 설계와 J-인버터를 이용해 평행 결합선로 대역통과 여파기를 구현하였다. 2개의 공진 주파수를 실제로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하나의 공진기만을 사용하기 위해 인버터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의 layout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우수 기수 모드 임피던스를 해석하고 근사식을 통해 스트립라인의 치수를 결정하였다. 이런 과정을 토대로 5.8GHz ISM밴드용 평행 결합선로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 PDF

저지대역의 중첩을 이용한 캐스캐이드 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Design of Cascaded Lowpass Filter using Combination of Stopbands)

  • 김경훈;김상인;박익모;임한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644-65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급전면의 개방스터브와 접지면의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는 초광대역의 저지대역을 갖는 저역통과 여파기 단위 구조를 캐스캐이드한 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하였다. 초광대역의 저지대역을 갖는 저역통과 여파기 단위 구조는 급전면 개방 스터브에 의해 통과대역 특성을 결정하는 여파기 구조와 이러한 여파기의 dual 구조로 접지면 슬롯에 의해 통과대역 특성을 결정하는 여파기 구조가 있으며, 각각의 단위구조를 캐스캐이드함으로써 단일 여파기보다 더욱 향상된 저지대역과 skirt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개방 스터브에 의해 통과대역 특성이 결정되는 구조와 dual 구조의 캐스캐이드 여파기는 각각 1.035㎓와 1.286㎓에서 -3㏈ 차단 주파수를 가지며 저지대역은 두 구조 모두 -20㏈ 기준으로 20㎓ 이상의 광대역을 이루었다.

소형화된 2-Pole 대역 통과 여파기 (A design of a miniatured 2-pole bandpass filter)

  • 김철수;임종식;김동주;안달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3 No.1
    • /
    • pp.309-31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유전체 기판형태에서 대역통과 여파기의 크기를 줄이며, 감쇄극을 통과대역 양쪽에 적절하게 위치시키어 감쇄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제시된 구조는 일반적인 헤어핀구조와 접지면에 슬롯라인을 구현해주어 2단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대역 여파기의 등가회로를 제시하였고 시뮬레이션 및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구현된 여파기는 일반적인 결합선로 여파기에 비해 크기를 크게 줄 일수 있었고, 감쇄특성은 3단 대역통과 여파기의 감쇄특성에 비교할 수 있다. 제시된 구조는 소형화 및 성능개선에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른 소자에도 많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TCC를 이용한 GPS와 WLAN 대역통과 여파기 (GPS and Wireless LAN Bandpass Filter based on LTCC)

  • 김영;윤정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27-233
    • /
    • 2012
  • 본 논문은 LTCC를 이용하여 구현된 GPS와 WLAN용 대역통과 필터 설계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여기서 구현한 여파기는 버터워스 저역통과 여파기와 CRLH(Composite Right/Left-Handed) 전송선로의 고역통과 특성을 결합한 대역 통과 여파기를 설계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여파기는 유전율 7.2의 그린쉬트를 이용한 LTCC 공정을 사용하여 1.5 GHz의 GPS와 2.4 GHz의 WLAN 대역의 대역통과 여파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여파기의 삽입손실 결과는 1.5 GHz GPS대역에서 1.66 dB 또, 2.4 GHz WLAN 대역에서는 3.20 dB를 만족하는 대역통과 특성을 얻었다.

적층 Inter-Digital 공진기를 이용한 2.4 GHz 대역 LTCC 대역통과 여파기의 등가회로 설계 (Equivalent Circuit Design of 2.4 GHz Band LTCC Bandpass Filters Using Multilayer Inter-Digital Resonators)

  • 성규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8-8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적층 Inter-digital 공진기를 이용한 LTCC 대역통과 여파기의 등가회로를 제안하고, 2.4 GHz 대역의 여파기 설계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의 LTCC 적층 칩 대역통과 여파기는 평면상에서는 Comb-line 구조이고 단면상에서는 Inter-digital 구조로 구성된다. Comb-line 구조와 Inter-digital 구조의 평행 결합선로의 등가회로를 본 논문의 여파기에 적용하여 여파기 전체의 등가회로를 구성하였다. 이 등가회로는 공진기 사이의 결합 구조가 다중의 결합 구조를 갖는다. 이를 하나의 결합 구조로 통합하여 인버터를 이용한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방법을 적용하였다. 2.4 GHz 대역에서 3단의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특성 임피던스의 주파수 의존성을 이용한 도파관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A Design of Rectangular Waveguide BPF by using Frequency Dependency of its Characteristic Impedance)

  • 황희용;윤상원;장익수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4호
    • /
    • pp.42-47
    • /
    • 1999
  • 통상의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의 여파기는 전기적 길이의 주파수 의존성을 이용한 1/2파장 또는 1/4파장의 공진기를 널리 사용한다. 그러나 차단 주파수가 존재하는 도파관은 특성임피던스도 주파수에 의존적이므로 이를 이용한 공진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여 1/4파장 보다 짧은 도파관의 공진기 등기회로를 추출하였고 상응하는 대역통과 여파기 설계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 공진기와 집중소자 및 도파관 인버터를 이용한 대역통과 여파기를 각각 시뮬레이션하고, 후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유전체로 채워진 도파관 4단 대역통과 여파기의 형태로 제작하였다. 본 논문의 여파기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도파관을 공진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DF

접지면에 어퍼쳐를 사용한 협대역 hairpin-comb 대역통과 여파기 (Narrowband Hairpin-comb Bandpass Filter Using Gound Aperture)

  • 이진택;박정훈;신철재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2 No.1
    • /
    • pp.82-8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접지면에 어퍼쳐를 갖는 협대역 hairpin-comb 대역 통과 여파기를 제안하였다. Hairpin-comb 공진기는 두 공진기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더라도 약한 커플링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 제작시 여파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마이크로스트림에서는 공진기 사이가 최소한의 거리가 되더라도 커플링이 너무 미약하여 사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접지면의 어퍼쳐를 사용하여 약한 커플링을 보상함으로써 일반 마이크로 스트립에서도 협대역을 대역통과 여파기를 제작할 수 있었다. 또한 공진기 사이의 거리변환 없이 어퍼쳐의 크기에 의해서 커플링을 조절함으로써 전체 여파기의 크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심 주파수가 1.78 ㎓ 이고 대역폭이 62MHz(3.5%)인 여파기를 제작하였다.

  • PDF

밀리미터파를 위한 도파관 E-면 금속삽입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및 제작에 관한 연구 (Analysis and Fabrication of Waveguide E-Plane Metal Insert Bandpass Filter for Milli-meter Waves)

  • 이용민;박종화;최진일;전형준;나극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08-11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도파관 E 면 금속삽입 방볍에 의한 밀리미터파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를 위해 모드매칭법에 의해 산란행렬올 계산하여 설계한 여파기의 전달특성을 분석하고, 설계 방법의 타당성 여부 검증을 위해 WR-34 구형 도파관을 사용하여 30.085-30.885 GHz 대역의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설계, 제작된 대역통과 여파기의 전달특성은 모드매칭법에 의한 해석파 거의 일치하게 측정되었으며, 통과대역내 삽입손실은 최대 0 0.8 dB, 반사손실 -15 dB의 우수한 여파특성을 나타냉으로써 도파관 E-면 금속삽입 형태에 의한 밀리미터파용 대역통과 여파기로서의 적합성을 입증하였다.

  • PDF

접힌 스텝 임피던스 공진기를 이용한 CPW 대역 통과 여파기 (Coplanar Waveguide Bandpass Filter Using the Folded-line Stepped- Impedance Restorator)

  • 이진택;이창언;신철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8A호
    • /
    • pp.620-62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접힌 스텝 임피던스 공진기(SIR)를 사용한 CPW 대역통과 여파기를 제안하였다. 한쪽 끝이 접지된 접힌 스텝 임피던스 공진기의 길이는 coplanar waveguide의 동일 평면상 접지면을 이용하면 λ/8까지 줄일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λ/4 스텝 임피던스 공진기를 사용한 대역 통과 여파기와 비교하여 크기를 거의 반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여파기의 등가회로를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중심주파수 f$_{0}$=5GHz이고 대역폭이 3%인 대역통과 여파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된 4 폴 대역통과 여파기에 대한 측정치가 IE3D의 시뮬레이션 결과 및 등가회로로 계산된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제작된 대역통과 여파기는 하모닉 주파수가 2.5f$_{0}$에서 발생하는 좋은 스퓨리어스 특성을 가진다. 제안된 접힌 스텝 임피던스 공진기를 이용한 대역 통과 여파기는 MMIC 및 고온 초전도체 여파기 등에 응용될 수 있다.다.

저지대역 반사특성을 개선한 대역통과 여파기 설계 (The Design of Bandpass Filter with Improved Return Loss at the Stopband)

  • 조정훈;황희용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2 No.1
    • /
    • pp.434-44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RF 여파기가 대역 내에서만 정합이 되는 특성을 개선하여 대역 외에서도 50$\Omega$ 정합 특성을 가지는 여파기 설계 기술을 제안하였다. 대역 외에서 정합 시켜 주는 방법으로 결합기와 대역 통과 여파기로 구성된 Balance Type과 결합기와 대역 저지 여파기로 대역 통과 여파기 특성을 가지는 Reflection Type을 제시하여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형태는 광대역 90도 3-㏈ 결합기를 사용한 것으로 결합기의 대역폭과 진폭 및 위상 오차에 따라 저지 대역에서의 정합 특성이 좌우되며, 이에 광대역의 3-㏈ 결합기를 설계 및 적용하여 광대역의 반사 손실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작 결과 Balance type의 경우 1.2 GHz~2.6GHz까지 대역 내에서 -10㏈에서 -15 ㏈의 반사 손실 특성을 가지고 대역 저지 특성이 우수하며, Reflection type은 DC에서 3.3GHz까지 반사손실이 -15 ㏈ 내외로 광대역 정합 특성을 가진다. 특히, 저주파 반사 특성이 우수하여 저주파 발진 가능성이 큰 회로 설계에 유용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