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상선정방법

Search Result 3,07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HP-based Priority Decision Method for Enterprise Ontology System (기업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AHP기법 기반의 시스템 우선 순위선정 방법)

  • Choi, Byoung-Jin;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299-302
    • /
    • 2007
  • 최근 기업 정보에 대한 온톨로지 구축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기업의 투자 비용과 시간을 고려한 온톨로지 구축 대상 선정을 위한 효율적인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온톨로지 구축 방법론에서 제시한 대상선정 기법은 전체를 대상으로 하거나, 특정 영역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요소를 포함하는 다기준 의사결정에서 정량적인 평가를 지원하는 의사결정지원기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계층화분석법)기법을 온톨로지 구축 대상 선정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온톨로지 적용대상의 우선순위를 결정지을 수 있으며, 기업의 온톨로지 구축시 목표와 전략에 맞는 대상선정의 정량적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Process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for Construction VE Object Selection of Performance-Oriented (성능중심의 건설VE 대상 선정 프로세스 개발 및 검증)

  • Kim, Soo-Yong;Yang, Jin-Ko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3 no.4
    • /
    • pp.25-32
    • /
    • 2012
  • The current VE activity is recognizing the VE object selection in job-plan simply as formal procedure. Therefore, many problems are happening in the process of selecting VE object during the preparatory stage. As a result of trying to analysis problem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 the problems were surveyed such as the lack of connectivity between preparatory stage and analytical stage, the temporal cost-based restrictions, and lack of recognition in VE team members in the existing method of selecting subjects centering on the high-cost field.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d method of selecting VE objec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stage of selecting VE objects. An improvement method of selecting VE objects is what selects the secondary VE subjects by applying again Fish-Bone diagram and Worth technique based on the primary VE objects, which were selected by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selecting objects in the high-cost field. To verify effectiveness in the proposed improvement method, it tried to apply it to the actual case of the road construction VE project. As result of, the improvement method was analyzed to be considerably effective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selection method of VE objects. Therefore, the Improvement method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VE performance.

Improvement for Subject Selection using SWOT Analysis in the Design Value Engineering (설계VE에서 SWOT분석을 이용한 대상선정 개선방안)

  • Yun, Su-Won;Kim, Hong-Hyun;Min, Ky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872-876
    • /
    • 2008
  • 설계VE 프로세스 과정 중 기능분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위해서는 VE대상의 선정이 중요하다. 그러나 설계VE활동시 대상선정 단계에서 설계VE 집중검토대상을 선정해야 하지만 그 활용성이 미비하였으며, 활용방법에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선정을 명확하게 하여 차후 기능분석에서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으로 SWOT분석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Software process assessment for small companies - Cases of Korean small companies - (소기업의 S/W 프로세스 심사 및 적용사례)

  • 권원일;정창신;이양규;김종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33-140
    • /
    • 2001
  • 소기업의 프로세스 심사는 재정 및 인적 자원의 한계로 실행되기 어려운 여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규모 조직의 프로세스 심사 과정과 심사 대상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중견 또는 대기업을 대상의 그것과는 차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프로세스 심사 방법을 제안하였고 실제로 2개 기업에 적용하여 보았다. 여기에서 심사 대상 프로세스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데, 이는 해당업체가 주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업체선정" 프로세스와 전문가가 객관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전문가선정" 프로세스를 조합하는 방법을 취했다. 여기서 "전문가선정" 심사 대상 프로세스의 선정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2차에 걸친 델파이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최종 산출물이다. 그리고, 선정된 심사 대상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두 업체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시범적으로 심사하여 보았다.체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시범적으로 심사하여 보았다.

  • PDF

A Study on Process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for Business Process Management (BPM 대상 프로세스 선정 방법론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Choi, Jin-Ho;Lee, Jin-Mii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8 no.1
    • /
    • pp.25-41
    • /
    • 2006
  • This paper is about how to drive a Business Process Management(BPM) implementation project from selecting a target process to BPM deployment. For guidance of BPM implementation, LG CNS BPM Methodology and enPAM(Entrue Process Assessment Model) were used. This paper focuses on the methodology of process selection and presents a case study from the telecommunication industry. The enPAM consists of three major criteria in determining process priority for BPM system deployment: business impact, BPM adequateness and implementation feasibility. These three criteria can be easily modified for other telecommunication business just as we did to suit this telecom case. Moreover, it could provide useful ideas to companies that consider introducing a BPM solution for process management. Although we propose a comprehensive design methodology for selecting a proper target business process for BPM implementation, more work is still needed to extend the results for rigorous and practical method.

A DEA-based methodology for benchmarking and target setting in terms of organizational operation: global efficiency vs. local efficiency (조직운영 관점을 고려한 DEA 기반의 벤치마킹 대상 및 목표 설정 방법론 : global efficiency와 local efficiency의 통합적 고려)

  • Seol Hyeon-Ju;Kim Seung-Gyeom;Park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45-1850
    • /
    • 2006
  • 적절한 벤치마킹 대상의 선정은 조직 계획 및 통제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조직의 상대적 성과 평가와 이를 바탕으로 벤치마킹 대상을 결정하는 DEA(data envelopment analysis)의 출현은 벤치마킹에 대한 연구를 증대시켜왔다. 하지만, 벤치마킹 대상 선정은 기술적 생산 가능성 측면 외에도 조직의 정책적 고려, 관리적 우위 그리고 외부 제약 등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수리적 결과에 바탕을 둔 기술적 생산 가능성만을 가지고 벤치마킹 대상을 제공하는 현재의 DEA 접근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즉, 고려하는 모든 대상을 기반으로 한 global efficiency 관점에서 제공하는 해가 비 효율적 조직 입장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local efficiency 개념을 도입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벤치마킹 대안들을 살펴 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DEA를 이용하여 비교하고자 하는 모든 DMU(decision making unit)의 투입/산출물을 바탕으로 각 DMU의 효율성 값과 비효율적 DMU의 참조집합 (reference set)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도출된 참조집합이 조직 운영 관점에서 적절한 벤치마킹 대상이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를 평가한다. 이때 도출된 벤치마킹 대상이 적절하다면 분석과정을 종료하고, 적절하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우선, 각 참조 집합을 중심으로 DMU를 그룹핑하고, 각 그룹별로 효율성 값 및 참조집합을 도출한다. 이때 도출된 효율성 값이 local efficiency 값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참조 집합 그룹을 중심으로 도출된 비효율적 DMU의 참조집합이 적절한 벤치마킹 대상인가를 판단한다. 적절한 벤치마킹 대상을 도출하였으면 분석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적절한 벤치마킹 대상을 도출할 때까지 추가적인 분석과정을 반복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하여 조직은 기술적 생산 가능성 외에도 다양한 조직 운영 관점에서 적절한 벤치마킹 대상을 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목표를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더 나아가 global efficiency 관점에서 효율적 조직이 되기 위하여 단계적인 벤치마킹 대상 선정과 이에 따른 목표를 수립하는데도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otal Sediment in the Stream (중소하천에서의 유사특성에 대한 연구)

  • Choi, Gye-Woon;Seo, Jong-Ok;Jang, 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33-937
    • /
    • 2008
  • 유사(sediment)란 지각의 풍화작용에 의해 생성되어 유수나 바람 등에 의해 침식, 이송, 퇴적된 물질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하천유사(fluvial sediment)를 말한다. 유사의 크기는 작게는 미세한 점토입자부터 크게는 자갈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하천에서의 소류사량과 부유사량을 포함한 총유사량의 추정은 하천유사 문제의 기본이며 하천내의 수리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홍수터 관리, 저수지의 설계 및 운영 등 수자원 개발 및 관리를 위한 하천계획에 필요한 기본적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하천에서의 실측을 통한 유사산정을 위해 대상하천에서 각 유량에 따른 부유사를 채취하여 시료분석을 통한 결과와 대상하천의 수리특성을 분석하여 총유사량의 산정 및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상하천에 대하여 알맞은 측정조사지점을 선정하여 15회에 걸쳐 현장측정을 시행하였으며, 현장 측정시 유량측정을 위한 수위 및 유속을 측정하였고, 부유사농도 및 부유사입도분석을 위한 시료를 채취하여 실내 실험시 SS분석 및 BW관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하천의 현장실험 측정성과와 수리특성을 기초자료로 하여 각 회차에 걸친 총유사량의 산정을 하였으며, 총유사량의 산정은 총유사량 추정 방법들인 직접 실측에 의한 방법, 간접계산에 의한 방법, '실측+계산'에 의한 방법 중 신뢰도가 높으며 경제성이 높은 '실측+계산'에 의한 방법과 간접계산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는 공식으로 산정하였다. 결과들의 비교와 대상하천의 수리특성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적정공식을 선정하고 공식의 선정 원인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 PDF

음향 에너지, 파워, 인텐시티의 능동소음제어 방법론

  • 김양한;강성우
    • 전기의세계
    • /
    • v.44 no.10
    • /
    • pp.40-46
    • /
    • 1995
  • 소음을 줄이고자 하는 위치 혹은 공간의 선정문제, 또한 제어용 음파가 원래 제어하고자 하는 음파와 함께 섞인 상태에서 관찰하게 됨으로서 발생하는 문제, 제어용 음원의 위치 선정에 관련된 사항 등 가관측성 및 가제어성으로 대별될 수 있는 부분과 제어대상 물리량, 즉 제어대상 가격함수 선정의 물리적 적합성 등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가관측성 및 가제어성 관련 사항은 참고문허[3]에 비교적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본 고에서는 제어대상 가격함수의 선정과 관련된 음향학적 사실들을 중점적으로 다루도록 한다.

  • PDF

A Critical Review and Assessment of 10 Years of New Product Awards from 10 Major Newspapers (히트 상품 선정 10년의 현황 및 수렴 타당성 분석 :10개 주요 일간지들을 대상으로)

  • 박찬수;이준석
    • Asia Marketing Journal
    • /
    • v.4 no.4
    • /
    • pp.97-119
    • /
    • 200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주요 일간지들이 실시해 온 히트상품 선정행사의 현황을 집계하고, 그 타당성을 분석하며, 이러한 선정 결과의 공신력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지난 10년간 10개 주요 일간지들이 실시한 히트상품 선정행사와 여기에서 선정된 5269개의 히트상품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대상 일간지들 중에서는 '히트상품'으로 선정되기 위한 요건을 규정하지 않은 경우와 선정 기준들을 연도별로 변경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전적으로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존하거나 전적으로 심사위원들의 판단에 의존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선정된 히트상품들의 수렴타당성에 있어서는, 일간지들간에 적지 않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상위권의 일간지들과 하위권의 일간지들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일간지들의 히트상품 선정행사의 타당성과 공신력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선정 기준들을 핵심기준과 확장기준으로 이원화하여 선정 기준의 일관성과 융통성 사이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둘째, 히트상품의 대상을 출시 후 1년 이상 2년 미만의 상품으로 한정하여야 한다. 셋째, 상품의 상업적 성공여부와 함께 상품의 윤리성에 대해서도 충분한 고려를 하여야 한다. 넷째, 같은 카테고리에서 경합하는 경쟁 상품들을 동시에 선정하는 경우는 최대한 지양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문가들의 판단과 객관적인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The Analysis of Priority Setting in Community Health Planning in Korea and its Implications (지역보건의료계획에서 우선순위선정 방법에 대한 분석과 함의)

  • Kim, Jae-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
    • /
    • pp.264-275
    • /
    • 2015
  • While the method of prioritization has been practicing in the community needs-based program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ommunity health planning, i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used. This study aims to suggest more sophisticated method of prioritizing. Based on the analysis of 81 community health plans which adopt prioritizing method,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ir methods and criteria and evaluate their adequacy. In the prioritization process, projects themselves, rather than health problems, were commonly adopted for the subject of the analysis. The most used was the Basic priority rating, followed by the Prioritization matrix. Looking at the size of health problem among the prioritization criteria, the prevalence for chronic diseases and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health problems for health behaviors, mainly were used as indicators. Along with the size of health problem, other factors such as the degree of seriousness of health problem,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have been used as the criteria of prioritizing, not fully supported by objective data base and the clear standard of scoring. In the prioritization, the analysis need to be limited only to health problems, and the scoring criteria for each health problem area b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