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상선박

Search Result 933, Processing Time 0.249 seconds

해상교량 시설한계 결정시 선박 제원에 관한 고찰

  • 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96-498
    • /
    • 2013
  • 최근 항만을 비롯한 연근해에 해상교량이 계획되어 다수의 해상교통안전진단이 수행되고 있다. 해상교량의 안전진단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해상교량의 형하고와 주경간장에 따른 항로 폭이 될 것이다. 해상교량의 형하고와 항로 폭을 결정하는데 있어 어떤 선박을 대상선박으로 하느냐, 대상선박의 제원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라 해상교량의 시설한계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수행되고 있는 해상교량에 대한 해상교통안전진단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였다. 첫째 삼산 연육교의 대상선박은 대상해역을 통항하지 않은 유도탄고속함(570톤)과 통항빈도가 거의 없는 예인선열이 이슈가 되고 있다. 둘째, 사양-와교의 대상선박은 통항한 적이 없는 여수해양경찰서가 보유한 최대선박인 640톤급 517함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는 해상 교량의 시설한계의 문제만이 아니라 해상교통안전진단 사업인가 안전진단 보고서 제출면제 사업인가에 대한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여건의 해상교량의 안전진단에 대한 안전진단대행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추후 통일된 선박 및 선박의 제원에 대한 통일된 기준안을 마련하여 안전진단시 통일된 기준을 사용하기를 제안한다.

  • PDF

경인항 인천 컨테이너터미널의 안전 접이안을 위한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고찰

  • Kim, Se-Won;Kim, Jong-Seong;Park, Yeong-Su;Yun, Gwi-Ho;Kim,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61-62
    • /
    • 2011
  • 이 연구는 경인아라뱃길 중의 경인항 인천 컨테이너터미널의 부두축조에 있어서 터미널 활용의 경제성을 감안한 대상 선박의 조종성능 및 운동성능을 검토하고, 대상선박의 통항 및 접 이안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적정 수역 및 부두길이를 확정하여 준설토 투기장의 부족문제 해결을 위한 부두전면의 최선의 준설범위를 결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550 TEU급 컨테이너선을 인천갑문 쪽으로 접안 배치하고, 1,000 TEU급의 컨테이너선을 갑문에서 멀리 떨어진 수역에서 접이안 조종함으로써 최대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인천항 도선사협회 전문가들과의 협의를 거쳐서, 안전한 선박조종 수역을 포함한 최적의 부두길이 결정을 위한 부두배치안 2개(제1안, 제2안)를 설정하여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2개의 안에 대한 대상 선박의 접이안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 PDF

해운이슈 - IMO의 선박재활용협약, 세계해운업계의 '뜨거운 감자' - 2013년 발효될 경우 세계해운시장에 상당한 파문일 듯 -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no.3 s.49
    • /
    • pp.18-24
    • /
    • 2008
  •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재활용협약 세계적인 해운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동 협약이 발효될 경우 세계해운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파괴력을 지녔기 때문이다. 동협약의 적용대상 선박은 총톤수 500톤이상 선박으로 현재 협약적용 대상선박은 약 5만여척에 달하고 있다. 이 협약이 발효되면 선주들은 협약 발효후 5년내 선내의 유해물질 조사, 목록을 작성하여 기국정부 인증후 증서를 유지하고, 선박재활용전 유해물질을 사전에 제거해야 하는 등 선주들의 비용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구나, 문제의 핵심은 선박보유 자체가 부담이 되는 협약이라는 것이다. 다음은 선박재활용협약의 논의배경과 전망을 정리한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Standard Methods of the Ship Handling Simulation (선박조종시뮬레이션 표준안 정립에 관한 연구)

  • Lee, Yun-Sok;Park, Young-Soo;Cho, Ik-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293-295
    • /
    • 2007
  • 해상교량의 규모 결정을 위한 선박조종시뮬레이션 표준시행 조건 및 기법(대상선박 설정, 시나리오, 시행회수, 평가기법 등)을 정립함으로써 해상교량 통항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정책 결정의 혼선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수행된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관련 보고서 분석 및 평가를 기초로 선박조종시뮬레이션 표준안에 대한 공통점을 도출하여, 국내 선박조종시뮬레이터 보유기관 항만 이용자 및 항만 건설 관계자 등의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수정 보완함으로써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의 대상선박, 수행 조건, 평가기법, 시나리오 설정 등에 대한 최종 표준안을 제시한다.

  • PDF

신보령1,2호기 해상교통안전진단 대상선박 추가 투입에 따른 연구 사례 소개

  • Kim, Jong-Gwan;Lee, D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99-501
    • /
    • 2013
  • 기 수행된 신보령1,2호기 해상교통안전진단을 바탕으로 신보령1,2호기에 추가 투입되는 18만DWT급 석탄운반선에 대한 추가 용역을 수행하였다. 신보령1,2호기 해상교통안전진단 대상선박 추가 투입에 따른 연구용역 사례를 토대로 기 수행된 해상교통안전진단보고서에 대상선박 추가 투입이 이루어질 경우에 대한 진단 방법을 소개하고,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Strategy for intelligent robot agent for ship sales and purchase (선박매매용 지능형 거래 에이전트 설계)

  • 박남규;송한범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1.12a
    • /
    • pp.348-361
    • /
    • 2001
  • 최근 몇 년 사이에 인터넷(Internet) 공간상에서 거래되는 선박매매 사이트의 출현으로 인하여 사이버해운거래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인터넷은 다양한 정보제공자에 의해 광범위한 분야의 정보를 멀티미디어 형태로 전달한다는 점에서 매우 각광을 받고 있지만 이용자의 증가로 무수한 정보들이 걸러지지 못한 채로 Web상에 존재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용자들의 구미에 맞게 가공된 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용자가 원하는 것을 스스로 인지하고 판단하여 요구사항을 해결해주는 '지능적 대리인' 또는 '지능을 가진 도우미'라고 일컫는 지능형 에이전트(Intelligent Agent)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지능형 에이전트는 그 다양한 기능으로 인하여 인터넷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게 되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선진 해운국에서는 선박매매사이트를 개설하여 사이버 공간상에서 거래를 수행하고 있지만, 사이트별 등록된 선박의 수가 많지 않을 뿐 아니라 거래대상 선박의 표현 방식도 사이트별 국가별로 매우 달라, 선박 매매 시 충분한 매매대상 선박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박매매 시 고객에게 매매 선박정보를 제공해주는 선박매매용 에이전트 설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 Bargainfinder, Bargainboat, Shopboat, Price watch 등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비교쇼핑에이전트는 상용화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선박매매용 에이전트에 관한 연구는 시도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선박매매용 에이전트를 개발하기 위한 설계연구로서 다음 사항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a) 구매 선박에 대한 요구사항 표현 방법 (b) 관련 선박의 표현, 등록 및 색인방법 (c) 공급 선박의 분류와 표현 방법 (d) 에이전트의 정보 수집을 위한 메시지 표현 방법 (e) 수집된 선박정보의 데이터베이스 저장 표현방법 (f) 요구 선박을 찾아주는 정보제공 서비스가 요구된다.

  • PDF

해양선박 대상 사이버 복원력 연구 동향

  • Areum Ko;HeeWon Choi;Seungho Jeon;Jung Taek Seo
    • Review of KIISC
    • /
    • v.33 no.6
    • /
    • pp.55-63
    • /
    • 2023
  • 현대 해양선박은 PLC 등 기존의 OT 시스템과 선박자동식별시스템 등 IT 시스템의 접목으로 스마트선박, 자율운항선박으로 진화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 통합은 공격이 가능한 접점이 늘어나며, 이는 사이버보안 위협을 증가시키고 있다. 선박은 대부분 항만으로부터 고립된 환경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사이버공격이 발생 시 외부의 기술 지원이나 긴급대응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배경으로 해양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 복원력은 해양선박 환경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 논문은 해양선박 환경 표준 통신 네트워크인 SAN을 분석하고, 사이버 복원력을 소개한 후, NIST의 사이버 복원력 모델을 기반으로 해양선박 대상 사이버 복원력 연구를 분석한다.

자율운항선박의 디지털 선박교통관제 업무 수행을 위한 시나리오 연구

  • 김남수;신재구;김대원;박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52-254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은 선원의 운항 조작 없이 스스로 운항하는 선박을 의미하며 자율운항선박의 기술개발에 대해서 국내외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선박교통관제에서는 관제사와 선박간의 VHF 교신을 통해 선박교통관제 운영 절차를 수행하였으나 자율운항선박 Level 3에 맞춰 관제사의 개입을 최소화한 디지털 기반의 선박교통관제 업무 수행이 요구되며 이에 자율운항선박을 대상으로하는 디지털 기반의 관제시스템의 선박교통관제 업무 수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선박교통관제 업무 수행을 위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 PDF

울산신항 남항지구 동북아오일허브 남방파제 선박 통항안전성 분석

  • Kim, Se-Won;Lee, Yun-Seok;Yun, Gwi-Ho;Park, Yeong-Su;Jo, Ik-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93-495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울산신항 오일허브 1-2단계 20부두 계획안 중에서 대상선박 20만 DWT급, 30만 DWT급 유조선의 제4항로와 신항 북쪽과 남방파제 사이에서의 교행통항 등에 대하여 최악의 자연환경조건을 설정하여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선박통항 안전성 평가의 결과에 따른 대상선박 및 항행여건의 개선방안 등에 대하여 제안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Necessity to Revise the Standards for the Main Dimensions of Liquefied Gas Carriers (액화가스운반선 주요치수에 대한 기준 개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Yun, Gwi-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7
    • /
    • pp.810-819
    • /
    • 2020
  • Recently, the demand for liquefied gas has been increasing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as a result, transportation of liquefied gas through a ship is increasing, and several terminals are also being constructed to accommodate it. The size of the terminal to be constructed shall follow the result if the target ship is clearly determined. Otherwise, the size of the vessel that the terminal intends to accept shall be determined, and then, the dimensions of the vessel given in the regulations or standards shall be used. In this regard, it was found that the main dimensions of the proposed vessels a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ose actually operating and the standard for large-sized vessel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ize of the target vessel by using the "Port and Fishing Port Design Standards" and commentary(2017), which recently is most commonly used as port design criteria in order to construct the liquefied gas terminal. Because of these problems, a revision of the standard for the major dimensions of liquefied gas carriers was propos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ships in service, as there could be many differences between interested parties in determining the size of the target ships and terminals and evaluating the safety of terminal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revision will be used as a more appropriate and realistic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ize of ships and terminals in the future and will prevent unnecessary terminal construction c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