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상기술

Search Result 19,306,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the Indicator Development for the Target Technology Selection of Technology Assessment (기술영향평가 대상기술 선정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Han, Min-Kyu;Kang, Ji-Mi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9 no.1
    • /
    • pp.55-78
    • /
    • 2011
  • The social impac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increasing, the meaning of technology assessment is not small in modern society, Specially, the technology assesment(TA) has been institutionalized and performed by Korean administration and its official results has reflected directly in the S&T policy. Therefore, the technology assesment is a device that prepare the negative effects of S&T and the social controversy in advance. To select the target technology of technology assessment will be done carefully in various perspective and concer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assessment emphasizing social assessment, the institutional system of selecting one technology in each year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valuation that ar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echnology characteristics. However, the method of selecting target technology in TA is mostly peformed by qualitative discussion and vote rather than by reflecting various opinion and understanding TA until now. In this paper, we developed the indicator has to be considered to select target technology for TA by using factor analysis. Developed indicator is consist of five factor, such as the need for social consensus and the size of social/cultural impact etc., and we weight each factor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Futhermore, we show the example how to applicate directly these indicator and weights to select target technology and suggest institutional application in TA. Though using developed indicator in this paper, we expect to select appropriate technology for institutional TA and the application of TA results in society and public policy can be strengthened.

  • PDF

자율적 방위산업기술보호를 위한 보호체계 구축 방안

  • Lee, Seung Hun
    • Review of KIISC
    • /
    • v.28 no.6
    • /
    • pp.20-24
    • /
    • 2018
  • 2018년부터 방위사업청 주관으로 방위산업기술을 보유한 대상기관에 대한 방위산업기술보호 실태조사가 처음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하지만, 대상기관이 방위산업기술보호를 위한 보호체계 구축에 대한 핵심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본 고에서는 대상기관이 자율적 방위산업기술보호를 위한 보호체계를 빨리 구축하여 기술 유출예방에 기여하도록 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고속열차 대상의 위성통신 및 방송 서비스 기술

  • Sin, Min-Su;Gwak, Chang-Su;Jang, Dae-Ik;Yeom, In-Bok;Lee, Ho-J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6
    • /
    • pp.16-22
    • /
    • 2009
  • 최근에는 이동환경에서의 고속 위성통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유럽 및 북미지역에서는 지난 수년간 Ku대역을 활용한 고속이동체 대상의 이동형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동형 위성통신 시스템은 수십 Kbps 정도의 전송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고속열차와 같이 다수의 그룹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위성 인터넷 및 방송서비스 제공에 한계가 있다. 또한, 철도 운행구간에서 발생하는 N-LOS 환경에 대처하는 기술의 부재로 서비스 가용도가 크게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열차 승객을 대상으로 위성무선연동 전송기술을 이용하여 지상무선망과 동일한 수준의 끊김 없는 인터넷 서비스 및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형 광대역 위성 접속 시스템에 대해 기술한다. 고속열차를 대상으로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터널이나 역사(Railway Station)와 같은 N-LOS 환경에 대한 대처기술이 필요하며, LOS 환경에서도 철로상의 신호열화 현상에 대한 극복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열차를 대상으로 한 이동형 위성통신 서비스에 대한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및 국제 표준화 동향에 대해 기술한다.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Valuation of Technology (기술가치평가의 분석틀)

  • 설성수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3 no.1
    • /
    • pp.5-21
    • /
    • 2000
  • 본 연구는 이론적 계보가 다른 다양한 기술평가 방법론을 종합하여 어떠한 기술가치평가에도 적용할수 이는 방법론적인 일관성을 제시한 것이다. 실제 기술평가에 있어서 어떠한 가치개념이 분석 초기부터 설정되어야하고 이어 대상기술의 어떠한 측면이 평가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다양한 이론이나 기법이 어떻게 적용될수 있는지를 언급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이론이나 기법의 적용은 공공기술과 민간기술이라는 분석대상의 구분에서부터 출발해야 함을 보였다.

  • PDF

보는 대로 바로 연결하는 시선(視選)통신 기술

  • Kim, Seon-Ae;Kim, Yeong-Hun;Kim, Su-Chang;Lee, Mun-Sik;Bang, Seung-Ch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
    • /
    • pp.89-93
    • /
    • 2013
  • 본 고에서는 수많은 기기들이 산재하는 무선 통신환경에서 근접거리 내의 디바이스 및 서비스 발견 과정 시에 사용자 개입을 최소화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통신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시선(視選)통신 기술에 대하여 알아본다. 시선통신(Look-and-Link) 은 사용자가 통신대상의 식별자(전화번호, MAC address 등)를 모르더라도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대상을 보고 선택하면 바로 연결시켜주는 기술이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통신대상을 선택하는 최소한의 관여만으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대상(프린터, TV, 상점, 사람)을 사용자의 기기가 자동으로 통신대상을 인식하고 해당 디바이스의 통신식별자를 획득해서 손쉽고 빠르게 통신대상과 접속 할 수 있다. 시선통신 기술은 무선 트래픽이 폭증하는 최근 통신환경에서 별도의 네트워크 도움 없이 주변 단말과 직접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근접인식 기반의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한다.

Korea Printing Industry Award (Interview - 제9회 대한민국인쇄산업대상 수상자)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61
    • /
    • pp.100-103
    • /
    • 2015
  • 2014 대한민국인쇄산업대상 시상식이 구랍 18일 인쇄정보센터 7층 강당(서울인쇄조합건물)에서 열렸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대한민국인쇄산업대상은 선조 인쇄인들의 훌륭한 기술력과 창의력을 되새기고, 인쇄산업 종사자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하는 취지로 2006년에 대한인쇄기술협회에서 제정, 시행하고 있으며 범 인쇄인을 대상으로 기술, 경영, 산업, 인력 진흥에 공헌한 분들을 발굴, 추천받아 정부포상(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협회장상, 우수임직원표창으로 나누어 매년 시상하고 있다. 김진배 대한인쇄기술협회 회장은 "우리 경제가 선진경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쇄산업과 같은 중소기업들의 기술혁신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중소기업의 기술력은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다"고 전하면 "지금 우리가 처한 현실이 비록 낙관적인 것은 아니지만 역사는 희망과 좌절 그리고 기회와 위기를 동시에 제공해오고 있듯이 우리 인쇄인들이 화합을 바탕으로 도전하는 지혜를 모은다면 우리가 원하는 꿈은 반드시 이루어지리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제9회 대한민국인쇄산업대상 수상자들의 활약상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 PDF

Development of Object Tracking Algorithm by Image Processing (영상처리에 의한 목표물 추적 시각 알고리즘 개발)

  • 손재룡;강창호;한길수;정성림;권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42-149
    • /
    • 1999
  • 최근 주변첨단기술이 발달하여 수확, 접목 및 착유 등 농작업에 로봇을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작업의 특성에 따라 응용되는 로봇기술도 차이는 있겠으나 수확용 로봇의 경우 대상물을 인식하고 위치를 검출하는 기술개발이 선행되어야만 대상물을 파지 또는 절단하여 수확이 가능하며, 대상물의 인식 및 위치 검출에는 영상처리기술이 많이 응용되고 있다. 따라서 수확로봇의 작업성능은 대상물을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하고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작업대상이 일정한 조건에서 표준화 되어있는 일반 산업분야와는 달리 농산물의 수확작업현장은 대상물의 배치, 크기 및 형상 둥이 일정하지 않고 작업환경 또한 다양하여 외란의 영향을 많기 받기 때문에 시각장치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중략)

  • PDF

정보통신 중점 기술 표준화 로드맵(2004 판)(초안) 수립

  • 구경철
    • TTA Journal
    • /
    • s.89
    • /
    • pp.45-52
    • /
    • 2003
  • TTA에서는 2002년부터 매년 Rolling Plan으로서 정보통신기술 표준화 특성을 고려한 국내 중점 표준화 대상기술을 선정하여 기술표준화 로드맵을 수립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지난 9월 18일$\~$19일 100여명의 전문가가 참가한 가운데 한국전산원에서 성황리에 끝난 정보통신 중점 기술 표준화 로드맵(2004판)(초안) 검토워크숍 결과를 토대로 현재까지의 진행 현황 및 향후계획을 소개한다.

  • PDF

기술사업화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1987-2016)

  • Jeong, Bu-Il;Hyeon, By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733-75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술사업화 관련 198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등재학술지에 발표된 198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함으로써 관련 국내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동안 축적된 국내 기술사업화연구의 시대별 흐름과 전체적인 경향을 살펴보고자 기술적분석(descriptive analysis)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영역,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대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시기별 분석을 통해 "기술이전촉진법" 제정 후 약 2년 후인 2002년부터 국내등재학술지에 기술사업화 연구논문 게재가 본격화되었고, 지난 2016년에는 2002년 대비 5배에 달하는 연구논문 증가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영역분석에서는 기술혁신 연구관련 4대 학회지(기술혁신학회지, 벤처창업연구, 기술혁신연구, 지식재산연구)의 연구논문이 전체의 40% 점유사실이 관찰되었으며, 분석대상논문들에 적용된 연구방법들을 살펴본 결과, 양적연구가 전체의 53%, 문헌연구 29%, 질적연구 11%, 혼합연구 8%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별 연구동향은 기술수요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전체의 33%, 정부의 정책 제도 및 시스템을 연구대상하는 연구가 29%를 점유하고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으며, 연구주제의 동향분석과 관련해서는 '사업화 프로세스'를 주제로 연구한 논문이 전제의 28%, '기술사업화 요소'에 대한 연구가 전체의 23%를 차지함을 살표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30여년에 걸친 기술혁신정책들과 연계하여 그 동안 축적된 연구들을 분석하여 국내학계의 연구동향을 보다 넓은 시각에서 조망해보는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우선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기존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해 봄으로서, 그 결과로부터 향후 기술사업화 정책방향에 대한 시사점 제공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실질적인 함의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