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사경로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31초

Mechanism of Alcoholic Liver Disease

  • 문전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02-112
    • /
    • 1994
  • 알콜성 간장해의 발생, 진전에는 많은 인자가 관여하고 있으며 극히 복잡한 병태를 형성하는데 그 기전으로는 1)간내 [NADH]/[NAD] 비의 상승, 2)에탄올의 주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한 간장해, 3)면역기구에 의한 간장해, 4)과산화지질, 활성산소 및 free radical 에 의한 장해와 5) 중심정맥역의 hypoxia에 의한 간세포장해 기전을 들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알콜을 장기 섭취할 경우 간에서의 대사경로와 현재 고려되고 있는 몇 가지 알콜성 간장해 발생기전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 PDF

Intrasporangium속 방선균의 Phenylalanine 분지대사 경로의 조절 (Regulation of Phenylalanine Specific Pathway in a Species of Intrasporangium)

  • 조원대;최용진;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8-245
    • /
    • 1988
  • 토양에서 분리 동정한 phenylalanine 생산균인 Intrasporangium속 방선균의 phenylalanine 생합성 분지경로의 대사조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chorismate mutase와 prephenate dehydratase를 부분정제한 결과 chorismate mutase는 prephenate dehydratase와 전혀 별개의 단백질로서 두 종의 isoenzyme, chorismate mutase I (CM I)과 chorismate mutase II (CMII)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CMI은 최종대사산물인 L-phenylalanine, L-tyrosine 및 L-tryptophan에 대해 완전내성을 보였으나 CMII는 1.5mM tyrosine에 의해서 약 50% 활성 저해를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prephenate dehydratase는 0.02 mM phenylalanine 존재하에서 95% 이상의 활성 저해를 나타냈으나 이와 같은 L-phenylalanine 활성 저해효과는 positive effector인 L-tyrosine과 L-methionine에 의해 크게 감소되었다. 또한 chorismate mutase 생합성은 feedback repression을 받지 않는데 비해 prephenate dehydratase는 1mM phenylalanine 존재에 의해 약 94%의 효소합성 저해를 나타냈다. 그러나 5mM tyrosine을 동시에 첨가했을 때는 전혀 저해효과를 인식할 수 없었다. 따라서 Intrasporangium속 방선균 역시 대다수의 다른 미생물 균종과 마찬가지로 phenylalanine 분지 경로에서 prephenate dehydratase에 의해 촉매되는 두번째 반응이 가장 중요한 대사조절 단계가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대사성 뇌 질환 (Metabolic Brain Disease : Leukodystrophy)

  • 김인원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제3차 심포지움
    • /
    • pp.99-108
    • /
    • 1999
  • 선천성 대사 이상은 다양한 뇌질환으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 질환들은 하나 또는 둘이상의 대사경로에 대한 생화학적 이상에 원인이 있다. 정상적 생화학적 산물의 결핍이나 비정상적 산물의 축적에 의한 뇌기능 이상에 의해 임상증상이 나타내게 되는데 그 증상은 대개 경기, 경직성, 발육지연 등으로 비특이적이고 영상소견도 마찬가지로 비특이적이다. 대사 이상에 있어서의 신경병변은 일부 뇌백질을 주로 침범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뇌백질을 침범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일차성 뇌백질 질환이 대사성 뇌질환을 일컫는다고 할 수가 있다. 뇌백질 질환은 뇌백질의 구성원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수초(myelin)를 침범하는 질환을 일컫는다. 중추신경계의 백질은 수초로 싸여있는 축삭(axon)과 선경교세포 (neuroglial cell) 및 혈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대부분을 수초가 차지하고 이 수초로 인하여 정상 뇌백질이 흰색을 나타낸다. 백질내의 신경교세포로는 성상세포 (astrocyte) 와 핍지세포 (oligodendrocyte)가 있으며 신 경교세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핍지세포에 의한 축삭의 외피화 (ensheathment) 즉, 수초이다. 수초는 핍지세포의 세포질 돌기 (cytoplasmic process)의 일부이며 따라서 수초의 생존과 대사는 핍지세포와 운명을 같이한다. 일반적으로 세포의 생존, 대사와 가장 관련있는 기능은 세포질내에 함유되어 있는 구조물인 소기관(organelle)에 의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비록 모든 소기관들이 백질 질환을 이르키는데 직접 연관되어 있지는 않더라도 수초의 생존과 대사에는 핍지세포의 소기관들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세포질내 중요한 소기관으로는 세포 막, 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endoplasmic reticulum, Golgi 체, lysosome, peroxisome 그리고 세포질등이 있으며, 이들중에서 lysosomes, peroxisomes,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가 특정한 유전성 백질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질환들은 최소한 각 소기관에 의한 질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 PDF

GC/MS를 이용한 소변 중 Pseudoephedrine과 Dexrormethorphan 및 대사체의 동시분석 (Determination of pseudoephodrine, dextromethorphan and their metabolites in human urine by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 이원웅;안성호;이성우;홍종기
    • 분석과학
    • /
    • 제20권4호
    • /
    • pp.315-322
    • /
    • 2007
  • 본 연구는 1명의 건강한 성인남자로부터 pseudoephedrine과 dextromethorphan 복합제제 약물의 복용 후 24시간동안 배설된 소변을 채취하여 이들 혼합약물의 대사과정과 배설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 하였다. 소변 중에 약물과 대사체의 검출을 위하여 가수분해 및 추출과정을 거쳐 MSTFA와 MBTFA를 사용하여 유도체 반응 후 GC-MS로 동시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대사체는 질량스펙트럼의 해석을 통하여 구조가 규명되었으며, 시간에 따른 모 약물과 대사체의 배설율을 조사하였으며, 본 실험결과로부터 pseudoephedrine과 dextromethorphan의 체내 대사경로를 제안하였다.

토영사상균(土壤絲狀菌) Chaetomium globosum에 의(依)한 3,4-Dichloroaniline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특(特)히 Acetylation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Degradation of 3,4-Dichloroaniline by a Soil Fungus, Chaetomium globosum (Part I) -With Special Emphasis on Acetylation-)

  • 이재구;김기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1권3호
    • /
    • pp.197-203
    • /
    • 1978
  • 3,4-DCA의 미생물(徵生物)에 의(依)한 분해기구(分解機構)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토양사상균(土壤絲狀菌) C. globasum과 배양(培養)하여 다음의 結果를 얻었다. 1. 3,4-Dichloroacetanilide가 주(主)된 대사산물(代謝産物)로 밝혀졌으며 이는 Acetylation이 주된 대사경로(代謝經路)임을 시사(示唆)해 준다. 2. 소량(少量) 생성(生成)된 3,4-dichloronitrobenzene, TCAB, 3,4-dichlorophenylhydroxylamine, 그리고 3.4-DCA의 존재(存在)는 부차적(副次的)인 경로(經路)로 방향족(芳香族) A-mine의 산화(酸化)를 암시(暗示)해 준다. 3. m/e 112, 114 및 279인 대사산물(代謝産物)이 분리(分離)되었으나 이들의 구조(構造)는 계속 연구중(究硏中)이다. 4. 배양중(培養中) 발생(發生)하는 탈염소(脫鹽素) 반응(反應)은 수산화(水酸化) 및 기타(其他) 대사산물(代謝産物)의 형성(形成) 가능성(可能性)을 시사(示唆)해 준다.

  • PDF

박하(Mentha piperita) 세포 현탁배양에서 멘톨생합성 경로 (Menthol biosynthesis pathway in Mentha piperita suspension cells)

  • 박시형;채영암;이형주;김수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5호
    • /
    • pp.358-363
    • /
    • 1993
  • 박하(Mentha piperita) 세포현탁배양에(-)-menthol 생합성 중간체를 투여하여 배양된 세포의 대사경로를 연구하였다. (-)-Limonene을 투여 하였을 때 이는 다른 대사물로 변환되지 않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Pulegone은 (+)-isomenthone 및 (-)-menthone으로 변환되었으며, (-)-menthone은 (-)-menthol로 변환되었다. 이 실험은 현탁배양세포가 대부분의 생합성 활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limonene hydroxylase의 활성이 제한적임을 보여 주었다. (-)-Isopiperitenone을 투여하였을 때는 (+)-pulegone, piperitenone, (-)-7-hydroxyisopiperitenone, (R)- 및 (S)-6-hydroxyisopiperitenone이 생성되었다.

  • PDF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와 KEGG경로 흐름 네트워크의 비교 (Correlation Between Protein-Protein Interaction Network and KEGG Path Flow Network)

  • 조성진;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7-348
    • /
    • 2011
  •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은 거시적인 생물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써 보편적인 연구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매우 복잡한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도출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는 단백질 네트워크에 있는 단백질들이 KEGG 경로에 있는 생체대사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구축된 네트워크를 KEGG 경로 흐름 네트워크로 명명하고 두 네트워크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피루브산 탈수소 효소 및 알파-케토글루탐산 탈수소 효소 2차 상호작용 네트워크의 전체 단백질 목록을 기반으로 각각의 KEGG 경로들을 추출하였다. 각 KEGG 경로들에 나타난 단백질들을 통해 KEGG 경로 흐름 네트워크를 구축하였고 이 흐름 네트워크에 포함된 단백질의 분류를 통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였다.

  • PDF

유기인계 화합물의 산화대사중 반응성 중간체와 반응기작에 관한 고찰 (Reactive Intermediates and Reaction Mechanisms in the Oxidative Metabolism of Organophosphorus Compounds)

  • 김정한;;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6-261
    • /
    • 1996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기합성 농약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기인계 농약의 대부분은 분자에 황 원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환경이나 생체 내에서 대사되어 활성화 되거나 무독화 된다. 이에 관련된 다양한 반응 중 산화반응이 주요 대사반응으로 여겨지는데 이산화대사에 의해 생성된 대사물의 특성도 중요하거니와 반응 중 생성되는 반응성 중간체에 대한 연구는 대사반응의 경로 및 기작 구명에 필수적이고 농약의 독성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총설은 유기인계 농약을 중심으로 관련 유기인 화합물을 대상으로 산화대사 반응 중 생성되는 반응성 중간체에 대한 연구들을 그 구조구명과 반응 기작면에서 다루었다.

  • PDF

양식 넙치, 참돔의 사료 Carotenoids 대사와 체색개선에 미치는 영향 (Metabolism of Dietary Carotenoids and Effects to Improve the Body Color of Cultured Flounder and Red sea bream)

  • 하봉석;강동수;김종현;최옥수;유호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1-101
    • /
    • 1993
  • 양식 참돔과 넙치에 대한 사료 carotenoid의 대사와 체색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beta}$-carotene, lutein ester, astaxanthin 및 ${\beta}$-apo-8'-carotenal을 각각 첨가한 사료로서 8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돔에 있어서 carotenoid 축적율은 astaxanthin diester 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체색개선 효과가 가장 컸었으며, ${\beta}$-apo-8'-carotenal, astaxanthin monoester 첨가구의 순으로 효과가 컸었다. 2) 참돔의 carotenoid 대사경로는 astaxanthin이 tunaxanthin으로 되는 환원적 대사과정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3) 참돔 표피의 carotenoid 색소는 astaxanthin diester, tunaxanthin 및 ${\beta}$-carotene이 주성분을 이루고, 천연산과 양식산은 astaxanthin diester와 ${\beta}$-carotene의 함량에서 서로 차이가 있었다. 4) 넙치에 있어서 carotenoid 축적율은 ${\beta}$-carotene첨가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체색개선 효과가 가장 컸었으며, 그 다음으로 lutein ester첨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5) 넙치의 carotenoid 대사경로는 lutein이 tunaxanthin으로 환원대사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6) 넙치 표피의 carotenoid 색소는 zeaxanthin, lutein이 주성분을 이루고, 천연산과 양식산은 lutein과 ${\beta}$-carotene의 함량에서 서로 차이가 있었다.

  • PDF

고세균 122종의 보존적 COG pathways와 유전자 (Conserved COG Pathways and Genes of 122 Species of Archaea)

  • 이동근;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944-949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122종의 고세균 종에 보존된 대사 경로와 보존된 유전자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각각의 122개 고세균이 63개의 COG 대사 경로, 이를 구성하는 822개의 COG, 총 4,877개의 COG를 보유하고 있는지 분석했다. 대사경로에서는 archaeal ribosomal proteins만이 가장 보존적이었다. 122종의 고세균 모두에 공통적인 COG는 7개의 COG pathways에서 46개, 그리고 그 외가 20개였다. COG pathways에서는 ribosome을 구성하는 29개, tRNA synthetase와 전사인자가 각각 5개, RNA polymerase를 구성하는 3개, 그리고 tRNA modification에 관련된 2개의 COG가 공통적이었다. COG pathways에 속하지 않고 122종의 고세균에 공통적인 보존적 유전자까지 고려하면 외부와 세포질을 구분 짓는 세포벽과 세포외기질의 합성, 복제, 전사, 번역, 단백질 대사에 관련된 유전자들 중에서 일부가 공통적이었다. 계통수에서 구한 각 고세균의 distance value를 분류단위로 보면 Euryarchaeota 문의 Halobacteria강의 평균이 가장 낮았고 표준편차는 Thaumarchaeota 문의 Nitosospharia강, 강을 알 수 없는 Thaumarchaeota문의 고세균, Euryarchaeota 문의 Halobacteria 강, Crenarchaeota 문의 Thermoprotei 강, 기타 고세균(OA)이 높았다. 계통수 분석으로 6가지의 공통점을 찾았다. 본 연구결과는 보존된 유전자에 관한 자료 외에도 의약품 개발, 균주 개선을 위한 유전자의 선택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